• 제목/요약/키워드: Bolus

검색결과 435건 처리시간 0.036초

전자선 치료 시 Bolus를 적용한 경우 표면선량의 Treatment Planning System(TPS) 계산 값과 실제 측정값의 비교 (Comparison of Treatment Planning System(TPS) and actual Measurement on the surface under the electron beam therapy with bolus)

  • 김병수;박주영;박병석;송용민;박병수;송기원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3-170
    • /
    • 2014
  • 목 적 : 표재성 종양 치료를 위하여 선택한 전자선은 bolus와 동시에 사용할 경우 표면선량에 급격한 변화를 보이게 되며 이는 치료결과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자선 치료에서 bolus가 적용될 경우 표면선량을 좌우할 수 있는 4 가지 변수에 따른 치료계획시스템(Treatment Planning System, TPS)의 표면선량 계산 값과 실제 측정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치료계획시스템(Pinnacle 9.2, philips, USA)과 실제 측정값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제 치료 시 주로 발생되는 4가지 변수(A: bolus 두께 - 3, 5, 10 mm, B: 조사야 크기 - $6{\time}6$, $10{\time}10$, $15{\time}15cm2$, C: 에너지 - 6, 9, 12 MeV, D: 겐트리 각도 - 0, $15^{\circ}$)를 설정하였다. 16 cm 두께의 solid water phantom을 이용하여 bolus(Action Products, USA) 없이 전산화단층촬영(lightspeed ultra 16, General Electric, USA)을 시행하였고 치료 계획은 TPS 상에서 각각 3, 5, 10 mm bolus를 생성하여 A, B, C, D를 조합한 총 54개의 beam으로 계획하였다. 이때 SSD 100 cm, 300 MU를 조사하였고 TPS와 실제 측정값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EBT3 film(International Specialty Products, NJ, USA)을 이용해 iso-center에 위치시켜 2회 반복 측정하였다. 측정된 film은 디지털 평판 스캐너(Expression 10000XL, EPSON, USA)와 선량 농도 분석시스템(Complete Version 6.1, RIT, USA)을 사용하여 각각의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bolus 두께에 따른 값은 3, 5, 10 mm에서 실제 측정된 값이 TPS의 계산 값보다 각각 101.41%, 99.58%, 101.28%, 표준편차는 각각 0.0219, 0.0115, 0.0190 으로 나타났다. 조사야 크기에 따른 실제 측정값은 $6{\time}6$, $10{\time}10$, $15{\time}15cm2$ 각각 계산 값에 비해 99.63%, 101.40%, 101.24%, 표준편차는 0.0138, 0.0176, 0.0220 으로 나타났다. 에너지에 따른 값은 상대적으로 6, 9, 12 MeV 각각 99.72%, 100.60%, 101.96%, 표준편차는 0.0200, 0.0160, 0.0164로 나타났다. 빔 각도에 따른 실제 측정값은 계산된 값에 비하여 0, $15^{\circ}$에서 각각 100.45%, 101.07%, 표준편차는 0.0199, 0.0190 으로써 $15^{\circ}$에서 $0^{\circ}$보다 0.62% 높게 측정되었다. 결 론 : 본 논문에서 사용한 변수에 따른 계산 값과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5 mm bolus, $6{\time}6cm2$ 조사야, 저 에너지 전자선, $0^{\circ}$ 겐트리 각도에서 TPS로 계산한 값이 측정값에 더 가까웠지만 다른 변수를 적용한 비교에서도 최대 2% 오차범위 내에 포함되는 결과를 보였다. 전자선과 bolus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본 논문에서 선택된 변수의 범위를 벗어난다면 각각의 변수에 따라 실제 측정값이 TPS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표면선량에 대한 QA를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

복벽에 발생한 데스모이드 종양의 급속 조영 CT 소견 : 2례 보고 (CT Findings of Desmoid Tumor arising at Abdominal Wall: Two Cases Report)

  • 조대현;조재호;장재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386-392
    • /
    • 1995
  • 데스모이드 종양은 섬유아세포양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심부 섬유종증으로 조직학적으로 양성이지만 침습적인 성장 양상과 높은 재발율을 보인다. 방사선학적으로 초음파상 경계가 비교적 뚜렷한 고형종괴로 보이며 내부의 에코는 비특이적이며 CT 소견상 근섬유의 주행방향을 따라 길쭉한 모양을 보이고 조영제 주입전에는 주변 근육과 비슷한 등음영 또는 약간 저음영을 보이고 조영후에는 시간이 감에 따라 점차 조영증강되는 소견을 보인다. 저자들은 급속조영 CT를 시행하여 시간에 따른 조영 양상을 관찰함으로써 종괴의 조직학적 구성을 짐작할 수 있었고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데스모이드 종양 2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Measuring the effects of estrus on rumen temperature and environment, behavior and physiological attributes in Korean Native breeding cattle

  • Jae-Young Kim;Jae-Sung Lee;Yong-Ho Jo;Hong-Gu Le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3호
    • /
    • pp.579-587
    • /
    • 2023
  • In this study, rumen temperature and environment in estral and non-estral Korean Native breeding cattle were evaluated by using a bolus sensor.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study animals were also assessed. To assess the rumen temperature and environment, we inserted bolus sensors into 12 Korean Native cattle with an average age of 35.5 months, then measured temperature and activity within the rumen using the wireless bolus sensor. Drinking, feeding and mounting behavior, and measured vaginal temperature and levels of intravaginal mucus resistance were recorded. We found that cattle in estrus exhibited more acts of mounting (37.4 vs. 0 times/day), increased vaginal temperature (39.0℃ vs. 38.4℃), and decreased vaginal mucus resistance (136.3 Ω vs 197.4 Ω), compared with non-estral animals. Furthermore, increased levels of rumen activity were most significant in estrus cattle at the highest activity levels (p < 0.01). Overall, the estrus group exhibited increased rumen temperature (p = 0.01), compared with the non-estrus group.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not only provide basic physiological data related to estrus in improved Korean Native breeding cattle, but also suggest that monitoring of rumen temperature and activity might be used as an effective smart device for estrus detection.

CT Bolus Tracking System을 이용한 조영제의 혈관외유출 검출 (Detection for Contrast Media Extravasation using Bolus Tracking Systems of CT)

  • 권대철;이용구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9호
    • /
    • pp.137-142
    • /
    • 2016
  •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의 정맥주사(IV)시 조영제의 혈관외유출은 조직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Bolus tracking 시스템을 이용하여 조영제를 주입과정에서 발생하는 혈관외유출을 검출한다. 또한 조직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MPR 및 VR 영상을 이용하여 혈관외유출을 검출하였다. 조영제의 혈관외유출을 검출하기 위하여 16MDCT, 64MDCT를 사용하였다. 혈관외유출에 대한 3차원영상은 환자치료에 중요한 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영제와 조직 간의 선예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edge enhancement 영상처리기법을 적용하였고, 선예도 및 대조도가 개선되었다.

Esophageal Bolus Transit in Newborns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ymptoms: A Multichannel Intraluminal Impedance Study

  • Cresi, Francesco;Liguori, Stefania Alfonsina;Maggiora, Elena;Locatelli, Emanuela;Indrio, Flavia;Bertino, Enrico;Coscia, Alessandra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8권4호
    • /
    • pp.238-245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bolus transit during esophageal swallow (ES) and gastroesophageal reflux (GER) event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ES and GER events in a population of term and preterm newborns with symptoms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term and preterm newborns referred to combined multichannel intraluminal impedance (MII) and pH monitoring for GERD symptoms. The frequency and characteristics of ES and GER events were assessed by two independent investigator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0.05. Results: Fifty-four newborns (23 preterm)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Median bolus head advancing time corrected for esophageal length (BHATc) was shorter during mealtime than during the postprandial period (median, interquartile range): 0.20 (0.15-0.29) s/cm vs. 0.47 (0.39-0.64) s/cm, p<0.001. Median bolus presence time (BPT) was prolonged during mealtime: 4.71(3.49-6.27) s vs. 2.66 (1.82-3.73) s, p<0.001. Higher BHATc (p=0.03) and prolonged BPT (p<0.001) were observed in preterm newborns during the postprandial perio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HATc and bolus clearance time was also observed (${\rho}=0.33$, p=0.016). Conclusion: The analysis of ES and GER events at the same time by MII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physiopathology of GERD. In particular, the analysis of BHATc during the postprandial period could help clinicians identify newborns with prolonged esophageal clearance time due to impaired esophageal motility, which could allow for more accurate recommendations regarding further tests and treatment.

간 국소 결절성 과형성의 방사선학적 소견 (Focal Nodular Hyperplasia in Liver: A Case Report)

  • 성기호;조재호;장재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400-404
    • /
    • 1995
  • 국소 결절성 과형성은 섬유성 격막에 의해 나누어지는 간세포와 Kupffer 세포의 결절로 이루어진 양성 종괴이다. 방사선학적으로 다른 종괴와 유사한 소견을 보이나 그 예후와 치료는 달라 감별이 요구된다. 저자들이 경험한 증례는 조영 후 영상을 조영전기영상과 조영후기영상으로 분리함으로써 종괴의 혈류형태를 관찰할 수 있는 급속조영 CT를 설시하여 감별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었고 병리조직학적으로 국소 결절성 과형성으로 확인된, 급속조영 CT 설시 후 국내에서 보고되는 최초의 증례이다.

  • PDF

Split-bolus CT urography with synchronous nephrographic and excretory phase in dogs: comparison of image quality with three-phase CT urography and optimal allocation ratio of contrast medium

  • Je, Hyejin;Lee, Sang-Kwon;Jung, Jin-Woo;Jang, Youjung;Chhoey, Saran;Choi, Jihye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4호
    • /
    • pp.55.1-55.11
    • /
    • 2020
  • Background: Computed tomography urography (CTU), based on the excretion of contrast medium after its injection, allows visualization of the renal parenchyma and the renal collecting system. Objectives: To determine the optimal contrast medium dose allocation ratio to apply in split-bolus CTU in dogs. Methods: This prospective, experimental, exploratory study used 8 beagles. In 3-phase CTU, unenhanced-, nephrographic-, and excretory-phase images were obtained with a single injection of 600 mg iodine/kg iohexol. In split-bolus CTU, two different contrast medium allocation ratios (30% and 70% for split CTU 1; 50% and 50% for split CTU 2) were used. Unenhanced phase image and a synchronous nephrographic-excretory phase image were acquired. Results: Although the attenuation of the renal parenchyma was significantly lower when using both split CTUs than the 3-phase CTU, based on qualitative evaluation, the visualization score of the renal parenchyma of split CTU 1 was as high as that of the 3-phase CTU, whereas the split CTU 2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two others. Artifacts were not apparent, regardless of CTU protocol. The diameter and opacification of the ureter in both split CTU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using 3-phase CTU. Conclusions: Split-bolus CTU with a contrast medium allocation ratio of 30% and 70% is feasible for evaluating the urinary system and allows sufficient enhancement of the renal parenchyma and appropriate distention and opacification of the ureter, with similar image quality to 3-phase CTU in healthy dogs. Split-bolus CTU has the advantages of reducing radiation exposure and the number of CT images needed for interpretation.

악성 두피 종양(Scalp) 환자의 M3 Wax Bolus를 이용한 방사선치료 (Radiation Therapy Using M3 Wax Bolus in Patients with Malignant Scalp Tumors)

  • 권다은;황지혜;박인서;양준철;김수진;유아영;원영진;권경태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5-81
    • /
    • 2019
  • 목 적: 두피 악성종양의 치료에 광자선을 사용할 때 필요한 Bolus 재질들의 단점으로 인하여 3D Printer용 헬멧형 bolus가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사용되는 재질인 PLA은 조직등가물질에 비해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환자가 착용할 경우 불편한 점들이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Printer를 이용한 M3 wax 헬멧을 제작하여 악성 두피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헬멧형 M3 wax의 모델링을 위해 두부인체모형팬텀을 CT로 촬영해 DICOM file로 획득하고, 두피 위에 헬멧이 위치할 부위를 Helmet contour로 제작하였다. M3 Wax 헬멧의 제작은 paraffin wax를 녹이고, 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을 섞어 용해시킨 후 PLA 3D 헬멧의 내부에 넣고 표면의 PLA 3D 헬멧을 제거하였다. 치료계획은 총 10 Portal의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IMRT)로 세웠으며, 치료선량은 200 cGy로 eclipse의 Analytical Anisotropic Algorithm(AAA)를 사용하였다. 그 후 EBT3 film과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USA)를 이용해 선량검증을 실시하였으며, CT 모의치료실과 동일한 조건으로 두부인체모형팬텀을 재현해 IMRT Plan을 측정하였다. 결 과: CT상에서 측정된 Bolus의 Hounsfield unit(HU)는 $52{\pm}37.1$으로 나타났다. M3 wax bolus 측정점 A, B, C에서 TPS의 선량은 186.6 cGy, 193.2 cGy, 190.6 cGy으로 확인되었고, Mostet으로 3회 측정한 선량은 $179.66{\pm}2.62cGy$, $184.33{\pm}1.24cGy$, $195.33{\pm}1.69cGy$, 오차율은 -3.71 %, -4.59 %, +2.48 %였다. EBT3 Film으로 측정된 선량은 $182.00{\pm}1.63cGy$, $193.66{\pm}2.05cGy$, $196{\pm}2.16cGy$이었으며, 오차율은 -2.46%, +0.23 %, +2.83 %로 확인되었다. 결 론: M3 wax bolus는 2 cm의 두께로 제작되어 뇌 부분의 선량을 보다 쉽게 낮추어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었다. 치료선량 검증에서의 EBT3 Film과 Mosfet의 선량계의 A, B, C 측정값에서도 두피의 표면선량 최대 오차율은 5 % 이내로 측정되었으며, 일반적으로 3 % 이내로 정확하게 측정되었다. M3 wax bolus는 제작과정 기간이 3D Printer보다 빠르고 비용이 저렴하며, 재사용 가능하고, 인체조직 등가물질로서 두피 악성종양 치료에 매우 유용한 Bolus이다. 따라서 3D Printer의 대용량 Bolus, Compensator의 제작시간 및 비용이 비싼 단점을 극복하는 주조형 M3 wax bolus의 사용이 추후 확대될 것으로 사료된다.

악성두피종양환자에게 사용되는 보루스헬멧(Bolus-helmet)의 제작방법 및 유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usefulness of Bolus-helmet used for malignant scalp tumor patients)

  • 이정진;문재희;김희성;김군주;서정민;최재훈;김성기;장인기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3권
    • /
    • pp.15-24
    • /
    • 2021
  • 본 연구는 악성두피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자체 개발한 보루스헬멧(bolus-helmet)의 제작방법에 관한 소개 및 유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이다. 두피종양환자의 치료를 위한 헬멧제작(helmet-production)에 있어 매우 창의적이고 다양한 방법의 연구들이 시도되어 왔고, 앞으로도 지속되어져 나갈 것이지만, 보고된 대부부분에 연구자료에서 헬멧(helmet)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적 경제적인 비용이나 제작의 편의성과 과정의 복잡성으로 인해 환자가 부담해야 하는 심리적인 부담감과 신체적 물리적 불편함은 크게 감소되지 않았으며,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 연구되고 있는 3D-프린터(printer) 기술과 같이 보다 첨단화된 기술과 장비를 사용하는 등에 연구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안들 또한 시간적 경제적인 소요비용과 심리적 물리적 부담을 오롯이 환자의 몫으로 보다 가중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의 생각 또한 지울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원에서는 보루스(bolus)가 가진 물리적 성질을 그대로 유지하고 사용함으로 별도의 추가비용의 발생이 없이, 보루스(bolus)를 이용해 헬멧(helmet)을 제작함으로 환자에게 발생된 물리적 신체적인 불편함을 감소시키고자 하였으며, 헬멧의 제작에 요구되는 절차와 시간을 줄이고자 안내서(guide-line)를 제작하여 공유함으로 약 3~40분의 시간이면 누구나 쉽게 제작이 가능한 시스템을 마련하도록 했다. 헬멧(helmet)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환자가 부담해야 하는 경제적 비용 및 물리적인 불편함을 감소시킴으로 보이지 않게 발생되는 환자의 심리적 부담 또한 최소화할 수 있었다고 사료되며, 추가적으로 헬멧의 유용성 평가에 있어서도 공기층(air-gap)의 발생간격을 줄이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발전시켜 나감으로 결과적으로 2.0mm이내로 유지하는 방안을 본 연구를 통해 제작방법과 함께 소개할 수 있게 되어 매우 반갑게 생각된다. 본원에서 제공한 헬멧의 제작에 관한 안내서(guide-line)을 통해 방사선종양학과에 종사하는 누구나 보루스(bolus)를 이용하여 방사선 치료에 요구되는 헬멧(helmet)을 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며, 제작과정에서 생기는 궁금한 사항이나 문의가 있다면 언제든지 본 연구자의 메일과 휴대폰을 통해 문의해 주시기를 적극적으로 바라고 소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