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le biomas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Production of Mass and Nutrient Content of Decaying Boles in Mature Deciduous Forest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Station, Korea

  • You, Young-Han;Kim, Joon-Ho
    • 한국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태학회 2002년도 VIII 세계생태학대회
    • /
    • pp.127-131
    • /
    • 2002
  • In order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standing crop biomass, production and nutrient content of dead bole in mature ecosystem, we surveyed the dynamics of decaying bole of old-aged deciduous forest in 1993 and 2002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Station. In addition, we and estimated annual bole production, water content, wood density and nutrient content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at of temperate ecosystem. Total dead wood biomass was estimated to be 5.6ton/ha in 1993 and 17.6ton/ha in 2002. Standing dead tree accounted for a total of 1.1ton/ha in 1993 and 4.8ton/ha in 2002, which was 20% and 27% of the sum of dead bole mass in 1993 and 2002, respectively. Annual production of bole biomass was 1.3 ton/ha/yr. These values fall into the low range of dead wood biomass for the mature temperate ecosystems. Tree species composing standing bole was mainly Quercus and Carpinus trees. This bole species composition resembles alive species composition of this forest. Water content of bole increased as positive logarithmically, but wood density of bole decreased as negative exponentially along with the progress of decay. N, P, Ca and Mg concentrations in decaying boles generally increased with decay, except for K. Annual nutrient input via dead bole is 1.6kg/ha/yr for N, 0.04 kg/ha/yr for P. 1.0 kg/ha/yr for K, 1.7kg/ha/yr for Ca and 0.3 kg/ha/yr for Mg, respectively.

  • PDF

Production of Mass and Nutrient Content of Decaying Boles in Mature Deciduous Forest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Station, Korea

  • You, Young-Han;Kim, Joon-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4호
    • /
    • pp.261-265
    • /
    • 2002
  • In order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standing crop biomass, production and nutrient content of dead bole in mature ecosystem, we surveyed the dynamics of decaying bole of old-aged deciduous forest in 1993 and 2002 in Kwangnung Experimetal Forest Station. In addition, we and estimated annual bole production, water content, wood density and nutrient content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at of temperate ecosystem. Total dead wood biomass was estimated to be 5.6ton/ha in 1993 and 17.6 ton/ha in 2002. Standing dead tree accounted for a total of 1.1 ton/ha in 1993 and 4.8 ton/ha in 2002, which was 20% and 27$\%$ of the sum of dead bole mass in 1993 and 2002, respectively. Annual production of bole biomass was 1.3 ton/ha/yr. These values fall into the low range of dead wood biomass for the mature temperate ecosystems. Tree species composing standing bole was mainly Quercus and Carpinus trees. This bole species composition resembles alive species composition of this forest. Water content of bole increased as positive logarithmically, but wood density of bole decreased as negative exponentially along with the progress of decay. N, P, Ca and Mg concentrations in decaying boles generally increased with decay, except for K. Annual nutrient input via dead bole is 1.6 kg/ha/yr for N, 0.04 kg/ha/yr for P, 1.0 kg/ha/yr for K, 1.7 kg/ha/yr for Ca and 0.3 kg/ha/yr for Mg, respectively.

Red Pine(Pinus resinosa Ait.) 간벌지(間伐地)의 Biomass와 Net Primary Production(NPP)에 관(關)한 연구(硏究)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in a Red Pine (Pinus resinosa Ait) Thinned Plantation)

  • 이수욱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257-262
    • /
    • 1983
  • 미국(美國) Wisconsin주(州) Plainfield에 있는 35년생(年生) Red pine(Pinus resinosa Ait.) 간벌조림지(間伐造林地)에서 Biomass와 Net Primary Prodnction (NPP)을 추정(推定)하였다. 지상부(地上部) Biomass는 ha당(當) 97.3ton이었고 이중 수간목부(樹幹木部) Biomass가 67.8%, 지조부(枝條部)가 15.4%, 엽(葉)이 8.4%, 수피(樹皮)가 6.1%를 구성하고 있었다. NPP는 $11.5Mg\;ha^{-1}yr^{-1}$로 추정되었고 그중 수간목부(樹幹木部)는 30.4%, 엽(葉)은 25.2%, 지조(枝條)는 36.5%, 수피(樹皮)가 2.6%이었다. Red pine의 다른 추정공식을 사용하였을때 Biomass에 차이가 있었다. 그차이는 주로 수간목부(樹幹木部)의 비중(比重)과 흉고형수(胸高形數)의 차이로 인한 것이었다.

  • PDF

신갈나무 장령임분(壯齡林分)의 물질생산(物質生産) 구조(構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tructure of Biomass Production in Thrifty-Mature Quercus mongolica Stand)

  • 한상섭;김도영;심주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1호
    • /
    • pp.1-10
    • /
    • 1992
  • 본(本) 연구(硏究)는 신갈나무 장령임분(壯齡林分)의 물질생산(物質生産) 구조(構造)의 특성(特性)을 밝히기 위한 일련의 연구(硏究)로 특히, 줄기의 변재단면적(邊材斷面積)의 변화(變化)에 따른 엽중(葉重)과 엽면적(葉面積)의 변화(變化)를 구명(究明)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줄기, 가지, 잎의 분배비율, 줄기에 있어 심재(心材), 변재(邊材), 수피(樹皮)의 분배비율, 수고에 따른 줄기량과 엽량(葉量)의 분포구조 등을 밝히고자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 줄기, 가지, 잎의 물질생산량(物質生産量)의 평균 분배비율은 건중량(乾重量)을 기준할 때 줄기량이 70-84%로 가장 많고, 가지는 11-25%. 엽량이 3-6%로 가장 적었다. 2. 줄기에 있어 심재(心材), 변재(邊材), 수피(樹皮)의 분배비율은 건중량(乾重量)을 기준으로 할 때 심재(心材)가 37-43%, 변재(邊材)가 38-46%, 수피(樹皮)가 16-19% 이었다. 3. 우세목(優勢木)과 중간목(中間木)에서는 변재량(邊材量)이 심재량(心材量)보다 많았으나, 열세목(劣勢木)에서는 심재량(心材量)이 더 많았다. 4. 줄기의 변재단면적(邊材斷面積)과 엽중(葉重)또는 엽면적(葉面積)과의 관계는 높은 직선상관(直線相關)(r=0.9 이상, 1% 유의(有意))을 나타냈다. 5. 수고(樹高)에 따른 엽면적(葉面積)($m^2$)/변재면적(邊材面積)($cm^2$)의 비(比)인 k값은 0.24-2.05 까지 변화하였다. 6. 가지의 기부직경(基部直徑) 또는 기부단면적(基部斷面積)과 엽중(葉重)또는 엽면적(葉面積)과는 높은 상관(相關)(r=0.9 이상, 1% 유의(有意))을 갖는 직선식(直線式)을 나타냈다. 7. 수고(樹高)에 따른 우세목(優勢木), 중간목(中間木), 열세목(劣勢木)의 엽량(葉量)은 정규분포(正規分布)를 나타냈고, 누적(累積) 간재적량(幹材積量)은 심한 첨형분포(尖形分布)를 나타냈다.

  • PDF

독일가문비나무(Picea abies [L.] Karst)의 지상부(地上部)와 지하부(地下部) 생체량(生體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 흉고직경(胸高直徑)에 의한 뿌리생체량(生體量) 추정(推定) (Relationship Between Above-and Below-Ground Biomass for Norway Spruce (Picea abies) : Estimating Root System Biomass from Breast Height Diameter)

  • 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338-345
    • /
    • 2001
  • 본 연구는 독일가문비나무의 지하부인 뿌리구조와 지상부인 수관과의 상호관계를 밝혀, 어렵게 뿌리를 굴취하거나 침엽 생체량을 측정하지 않고도 수고와 흉고직경에 의한 상대적인 뿌리와 침엽 생체량 추정을 위한 회귀식을 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독일 중부 Harz 지방의 Barbis 임분에서 30~40년생의 우세목 5본과 준우세목 3본을 선발한 후 조사목의 지상부에 대하여 수고, 흉고직경, 지하고, 침엽량, 가지량, 횡단면, 변재면 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5본에 대해서는 지하부의 뿌리길이, 뿌리수, 뿌리무게, 뿌리횡단면 등을 수평과 수직뿌리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염분에서 독일가문비나무의 지상부(수고, 흉고직경, 침엽량, 가지량 등)와 지하부(뿌리길이, 무게, 수, 횡단면 등) 생체량 사이에는 서로 밀접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측정이 용이한 흉고직경에 대한 지하부 뿌리생체량은 Y = 3.56X - 45.94의 관계식으로 결정계수가 0.96으로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가지량, 침엽량과 수고에 있어서도 지하부 생체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회귀식은 30~40년생 독일 가문비나무 임분에서 흉고직경을 이용하여 지하부의 상대적인 뿌리 생체량을 추정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Wisconsin의 Pinus resinosa 조림지(造林地) 생태계(生態系) 내(內)의 양료분포(養料分布) 및 순환(循環) (Distribution and Cycling of Elements in a Pinus resinosa Plantation-Ecosystem, Wisconsin)

  • ;이수욱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507-518
    • /
    • 1982
  • Typic Udipsamment 토양(土壤)에 생장하고 있는 red pine (Pinus radiata) 조림지의 biogeochemistry가 Wisconsin의 central sand plains에서 조사(調査)되었다. Biomass와 net primary production은 각각 106Mg/ha 및 110Mg/ha/yr이었다. 식생(植生) 내(內)의 양료 농도는 2-3년생(年生) 침엽(針葉)에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당년생(當年生) 침엽(針葉), 당년생(當年生) 초지(梢枝), 수피, 생지(生枝), 고사지(枯死枝), 수간생성물, 수간 순(順)이었다. 조사된 수체(樹體) 성분에 있어서 당년생(當年生) 초지(梢枝)를 제외하고는 양료의 농도가 상부 3분지 1 부위(部位)에서 가장 높았고, 하부(下部) 3분지 1 부위(部位)에서 가장 낮았다. 식위(植位) 내(內)의 전체 양료는 N($222kg\;ha^{-1}$), Ca(217), K(85), Mg(38), S(31), P 순(順)이었다. 생태계 내(內)의 토양은 가용(可溶) P.K, Ca, Mg, S의 60-80%를 함유하고 있었다. N과 S의 약간의 급원(給源)이 강수(降水)인 반면에 Ca, Mg, P, K의 대부분은 토양풍화(土壤風化)로서 공급되었다. 조사양료의 용탈량(溶脫量)은 7 kg ha/yr미만이지만 S의 경우는 12kg ha/yr 이었다. Throughfal에 의(依)해서 N, K, S는 대부분 임상(林床)으로 순환되지만 Ca, Mg, P의 대부분은 litterfall에 의(依)해 돌아오는 것으로 사료된다. 엽(葉)의 양분용탈 때문에 throughfall의 양료의 함량은 강수의 함량보다 많았다. 강수(降水) 내(內)의 ammonium량(量)은 세근(細根)에 위한 흡수(吸水)때문에 토양상부(土壤上部) 7.5cm내(內)에서 3 가지 요인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