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dy position measurement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8초

Comparisons of Test-Retest Reliability of Strength Measurement of Gluteus Medius Strength between Break and Make Test in Subjects with Pelvic Drop

  • Jeon, In-Cheol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1권3호
    • /
    • pp.147-150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liability of unilateral hip abductor strength assessment in side-lying with break and make test in subjects with pelvic drop. Hip abduction muscles are very important in the hip joint structur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valuate their strength in a reliable way. Methods: Twenty-fiv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Unilateral isometric hip abductor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in side-lying, with use of a specialized tensiometer using smart KEMA system for make test, of a hand held dynamometer for break test. Coefficients of variation, and intra 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est-retest reliability of hip abductor strength. Results: In make test, maximal hip abductor strength in the side-lying posi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break test (p<0.05). Additionally, Test-retest reliability of hip abductor strength measurements in terms of coefficients of variation (3.7% for make test, 16.1% for break test) was better in the side-lying position with make test. All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break test were lower than make test (0.90 for make test, 0.73 for break test). Conclusion: The side-lying body position with make test offers more reliable assessment of unilateral hip abductor strength than the same position with break test. Make test in side-lying can be recommended for reliable measurement of hip abductor strength in subjects with pelvic drop.

Measurement of Human Behavior and Identification of Activity Modes by Wearable Sensors

  • Kanasugi, Hiroshi;Konishi, Yusuke;Shibasaki, Ryosuk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046-1048
    • /
    • 2003
  • Recently, various researches in respect of the positioning technologies using satellites and the other sensors have made location-based services (LBS) more common and accurate. Consequently, concern about position information has been increasing. However, since these positioning systems only focus on user's position, it is difficult to know the user's attitude or detailed behaviors at the specific position. It is worthy to study on how to acquire such human attitude or behavior, because those information is useful to know the context of the user. In this paper, the sensor unit consisting of three dimensional accelerometer was attached to human body, and autonomously measured the perpendicular acceleration of ordinary human behaviors including activity modes such as walking, running, and transportation mode using transportation such as a train, a bus, and an elevator. Subsequently, using the classified measurement results, the method to identify the human activity modes was proposed.

  • PDF

자세 교정훈련을 위한 체위 변환 감지 센서 디바이스의 개발 (Development of body position sensor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training)

  • 최정현;박준호;서재용;김수찬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80-85
    • /
    • 2020
  • 최근 학생 및 사무직 종사자에게서 근골격계 질환의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바른 자세의 유지 및 교정 훈련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나, 관련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의자 방석부분에 멤브레인 센서 또는 압력센서를 배치하여 무게의 편중을 보거나, 사용자를 구속하는 센서를 부착하여 체위 변환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착용편의성을 고려한 체위 변환 감지 센서 디바이스를 개발하였으며, 측정한 각도를 분석앱을 통해 확인하였다. 앉은 자세에서 체위 변환을 측정하기 위하여 경추 및 척추에 IMU 센서로 구성된 센서 디바이스를 부착한다. 두 개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체위의 변화값을 각도로 변환하였으며, 각도값은 실시간으로 분석앱을 통해 보여 진다. 본 연구에서는 체위 변화에 따른 실시간 변화값의 측정 가능성과, 착용편의성, 각도 측정의 경향성을 확인해 보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정밀한 각도의 연산 및 동잡음의 보정을 위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몬테카를로 방법론을 이용한 측정 대상의 인체 크기와 측정 위치에 따른 전신계수기 계수효율 평가 (Assessment of Counting Efficiency of a Whole Body Counter by Human Body Size and Standing Position Using Monte Carlo Method)

  • 박민정;유재룡;하위호;이승숙;김광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9권1호
    • /
    • pp.46-53
    • /
    • 2014
  • 방사선사고 시 내부오염 평가대상의 범위는 성인뿐만 아니라 소아까지 전 연령층으로 확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신계수기의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측정대상의 인체 크기와 측정 위치에 따른 계수효율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원자력의학원에서 사용하는 전신계수기인 FASTSCAN에 대해 방사선수송코드를 이용하여 전산 모사하였다. 측정한 계수효율과 계산한 계수효율의 상대편중은 4세 소아의 경우 2% 이하이였으며, 성인의 경우에도 5% 이하로 일치하였다. 측정 대상의 키가 작을수록 검출기와의 거리가 멀어지는 문제를 보완하고 인체 크기에 따른 계수효율의 일관적인 경향성을 도출하기 위해, 측정대상의 측정 위치를 조절하여 전신계수기의 계수효율을 평가하였다. 조절된 측정 위치에서의 전신계수기 계수효율을 바탕으로 측정 대상의 인체 크기 차이에 의한 내부오염도 평가 시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인체 크기 보정인자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보정인자는 전신계수기 측정결과에 곱하여 측정대상의 내부오염도를 쉽게 평가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방사선사고 시 전신계수기를 이용한 내부오염도의 측정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컨테이너의 자동랜딩을 위한 레이저센서 기반의 절대위치 검출 알고리즘: 3차원 측정 (Part I) (Position Detection Algorithm for Auto-Landing Containers by Laser-Sensor, Part I: 3-D Measurement)

  • 홍금식;임성진;홍경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5-54
    • /
    • 2007
  • In the context of auto-landing containers from a container ship to a truck or automatic guided vehicle and vice versa,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ree schemes, one in Part I and two in Part II, for measur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container. Coordinate transformations between the reference-coordinate, sensor-coordinate, and body-coordinate systems are briefly discussed. The scheme explored in Part I aims the use of three laser-slit sensors, which are relatively inexpensive. In this case, nine nonlinear equations are formulated for six unknown variables (three for orientation and three for position), so a closed-form solution is not available. Instead, an approximate solution through linearization was derived. An advantage of the method in Part I is its ability to measure an absolute position in 3D space, while a disadvantage is the computation time required to obtain pseudo-inverses and the approximate nature of the obtained solution. Numerical examples are provided.

자세교정을 위한 체위변환 감지 센서 디바이스의 정확성 평가 (Evaluation of measuring accuracy of body position sensor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 최정현;박준호;강민호;서재용;김수찬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28-133
    • /
    • 2021
  • 최근 학생 및 사무직 종사자의 자세 불량으로 인한 척추계 질환의 발병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바른 자세 유지를 돕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의자 방석부분에 멤브레인 센서 또는 압력센서를 배치하여 무게의 편중을 보거나, 사용자를 구속하는 센서를 부착하여 체위변환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에서 점착성 겔시트로 간편히 몸에 부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자세 및 체위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출력하는 센서 디바이스를 개발하였으나 센서값의 정확성에서 한계점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체위변환 센서 디바이스의 성능을 개선하고, 각도변환 측정값의 정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오차율 2.53%의 높은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요소가 추가된 자세교정 훈련 컨텐츠를 보다 다양화하여 실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자계 센서를 이용한 캡슐형 내시경의 위치 측정 (Position Detection of a Capsule-type Endoscope by Magnetic Field Sensors)

  • 박준병;강헌;홍예선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6-71
    • /
    • 2007
  • Development of a locomotive mechanism for the capsule type endoscopes will largely enhance their ability to diagnose disease of digestive organs. As a part of it, there should be provided a detection device of their position in human organs for the purpose of observation and motion control. In this paper, a permanent magnet outside human body was employed to project magnetic field on a capsule type endoscope, while its position dependent flux density was measured by three hall-effect sensors which were orthogonally installed inside the capsule. In order to detect the 2-D position data of the capsule with three hall-effect sensors including the roll, pitch and yaw angle, the permanent magnet was extra translated during the measurement. In this way, the 2-D coordinates and three rotation angles of a capsule endoscope on the same motion plane with the permanent magnet could be detected. The working principle and performance test results of the capsule position detection device were introduced in this paper showing that they could be also applied to 6-DOF position detection.

CT 측정 위치에 따른 내장지방 면적과 Inbody로 측정한 내장지방 면적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of the Results VFA Measured by CT Position with VFA Measured by InBody)

  • 이상헌;임인철;이효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691-698
    • /
    • 2019
  •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CT 지방측정 위치에 따른 내장지방 면적과 Inbody로 측정한 내장지방 면적의 차이를 비교하여 보았다. CT 지방측정에서 L4-5와 CT Umbilicus 위치에서 측정한 내장지방 면적은 남 여 성별에 다른 차이는 없었다. 또한, CT 지방측정 위치에 따른 내장지방 면적과 Inbody로 측정한 내장지방 면적과의 상관관계에서 CT 내장지방 면적과 Inbody로 측정한 내장지방 면적 간의 차이가 없었다. CT 내장지방 측정 위치는 남자 L4-5, L5-S1 위치, 여자 L3-4, L4-5, L5-S1, Umbilicus 위치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Inbody 내장지방 면적과 CT 내장지방 면적 관계 간의 연구를 할 때 CT L4-5 위치의 내장지방 면적과 비교하는 것을 제안한다.

인체 움직임과 안테나 위치가 WBAN 채널 용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 of Body Movement and Position of Antenna on the Capacity of WBAN Channel)

  • 안춘수;안병직;김선우;최재훈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29-23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wireless body area network(WBAN)에서의 채널 성능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실험은 무반향실에서 다양한 인체 움직임과 송신 안테나 위치에 따라서 2.45 GHz ISM 대역 채널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졌다. $2{\times}1$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의 다이버시티 이득과 상관 관계를 비교하기 위하여 두 송신 안테나를 인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실험 결과는 송신 다이버시티 시스템의 outage 채널 용량은 두채널 간의 상관 관계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자세에 따른 골반경사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발 접촉양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elvic Tilt Exercise with Changing the Body Position on Foot Contact Pattern in Hemiplegic Patients)

  • 장상훈;박수진;김민희;김중휘;김진상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445-453
    • /
    • 201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lvic tilt exercise with changing the body position on foot contact pattern in the hemiplegic patients. Methods : Thirty seven hemiplegic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3 groups; control group (CG), sitting exercise group (SIEG) and standing exercise group (STEG). F-mat system and F-scan system were used for the measurement of foot contact pattern of hemiplegic side in walking.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paired t-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Contact area of CG and SIEG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walking. Contact area of STEG was significant increased in walking. 2) Anteroposterior distance of COP of SIEG and STEG were significant increased in walking.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lvic tilt exercise in sitting and standing position are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Anteroposterior distance of COP and gait stability are increased in only standing 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