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dy Scan

검색결과 569건 처리시간 0.026초

3D 핸디형 스캐너와 3D 프린팅 기술 기반 드레이핑용 커스텀 메이드 드레스폼 개발 (Development of a Custom-Made Dress Form for Draping Based on 3D Handheld Scanners and 3D Printing Technology)

  • 유은주;송화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51-459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a custom-made dress form for draping using a live model's 3D body scan obtained from an entry-level 3D handheld scanners, 3D modeling software and 3D printing technology. A female subject was recruited whose body size fell under the normal (N) body shape criteria suggested by KS K 0051. First, the handheld scanner reduced the length of the legs in scanning, but most of the scanning operations between the neck and crotch levels were conducted accurately.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torso dress form. The full body 3D scan was edited into a torso shape using ZBrush® software. Using Rhinoceros® and Materialise's Magics software, a 3D body scan was modeled so that the user could fit two types of mannequin stands (one with a neck fixation from above and one with an insert from below) to the dress form. The body scan was divided into 9 pieces to fit the printable size of the Stratasys 3D printer Fortus 250mc, and the cross-sectional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was downsized by 2 mm. After outputting the dress form scan file with a 3D printer, the dress form was manufactured by the first covering it with a 4 oz nonwoven pad and the second covering with a single jersey material.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한 20대 남성의 하반신 신축량 분석 (A study of the variations by motion of the Lower body Using 3D Body Surface Scan Data of a man in his early twenties)

  • 손부현;홍경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29-740
    • /
    • 2009
  •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rate of expansion or contraction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lower body of the man their twenties using Rapid Form software. And aim of this study is to get information of ease allowance in developing slacks pattern using 3D body surface scan data through comparison with existing slacks patterns. Considering on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according to movement, it need to set the more ease allowance in hip circumference than waist circumference, and the more ease allowance in back hip width than front hip width in slacks. In crotch length, the length of front crotch is revealed contraction but the length of back crotch is revealed expansion. It is desirable lowering front waist line and raising back waist line to possess ease allowance in back crotch area. The length of side seam is revealed a little expansion but the length of inseam is showed a great expansion. To develop slacks pattern of scientific approach using 3D body surface scan data, it need to analysis the rat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lower body based on the movement, shear deformation, slip in fabrics and skin, or in fabrics and fabrics, and slip down from waist line.

풀바디 스캔과 모션 캡처를 활용한 3D 애니메이션 바디 프로필 (3D Animation Body Profiles from Full-body Scans and Motion Capture)

  • 송재원;전상욱;이수빈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59-67
    • /
    • 2023
  • 본 논문은 몸체 3D 스캔과 모션 캡처 장비를 활용한 3D 애니메이션 형태의 바디 프로필을 제안한다.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몇 개의 포즈에 대하여 3D 스캔을 수행함으로써 애니메이션 형태를 가진 자신만의 바디 프로필을 제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련의 포즈를 수행하는 템플릿 애니메이션을 모션 캡처를 통하여 획득하였고,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3D 스캔 데이터를 애니메이션의 각 정점 포즈에 포즈 공간 디포머(Pose-space deformer)를 통하여 매핑시켰다. 이를 통하여 만들어진 3D 애니메이션 형태의 바디 프로필은 기존의 정적인 2D 이미지나 3D 스캔데이터보다 사용자에게 더 큰 만족도를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암환자의 추적 골스캔에서 관절주위 섭취증가시 전신골섭취계수 측정이 골수전이 평가에 도움이 되는가-골수스캔과의 비교 (The Usefulness of Measurement of Whole Body Count in Assessing Bone Marrow Metastasis in Cancer Patients with Increased Periarticular Bone Uptake on Follow-up Bone Scan: A Comparison with Bone Marrow Scan)

  • 진성찬;최윤영;조석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28-436
    • /
    • 2003
  • 목적: 암환자의 추적 골스캔에서 관절주위 섭취증가를 보이는 경우 관절염 이외의 원인으로 말초골수 확장에 의한 이차적 골섭취 증가를 생각할 수 있다. 이 때 막초골수 확장의 원인으로. 즉 중심골수 침범에 의한 이차적 말초골수 확장과 만성빈혈에의한 이차적 골수확장의 감별에 골스캔상 전신골섭 취계수 증가 소견이 도움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의 골스캔상 관절주위 섭취증가 소견을 보인 12명의 환자에서 골스캔과 골수스캔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추적 골스캔에서 관절주위 섭취증가를 보인 12명의 암환자에서 1 주일 이내에 Tc-99m colloid 골수스캔을 시행하였다. 골스캔상 전신골섭취계수 증가 여부를 알아보고 골수스캔에서는 중심골 섭취감소 여부와 말초골수 확장여부를 각각 알아 보았다. 임상적으로 관절염, 관절통 여부와 빈혈이 동반되는지 알아 보았다. 결과: 원발암의 진단명은 혈액암 5례, 위암 3례, 유방암 2례, 전립선암 1례, 폐암 1례였다. 남녀비는 7:5 이고 평균연령은 47.5 14.3세였다. 골스캔에서 전신골섭취계수 증가는 3례에서 관찰되었으며 모두 골수스캔상 중심골수 섭취감소 소견과 말초골수 확장 소견을 보여 전신 골수전이로 진단되었다. 골스캔상 전신골섭취계수 증가를 보이지 않았던 9례 중 1례는 중심골수 섭취가 감소되고 말초골수가 확장되었으며 만성골수성백혈병의 급성기로 진단되었다. 7례는 중심골수 섭취는 정상이었고 말초골수 확장이 관찰되었으며 빈혈이 동반되어 있어 악성질환의 만성빈혈로 추정되었다. 결론: 암환자의 추적 골스캔에서 관절주위 섭취증가와 함께 전신골섭취계수가 증가된 경우 전신 골수전이에 의한 이차적 말초골수 확장을 고려해야 하며 이의 감별진단에 골수스캔이 유용한 검사이다.

임플란트 디지털 인상용 코핑의 정확성 비교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implant digital impression coping)

  • 안교진;이준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1호
    • /
    • pp.29-40
    • /
    • 2020
  • 목적: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를 이용한 디지털 인상과 pick-up 인상용 코핑을 이용한 인상 채득법의 정확도를 다른 임플란트 식립 각도에서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D 프린터를 이용해 주모형을 제작하고 0°, 10° 및 20°의 근심경사로 3개의 임플란트를 위치 시켰다. 각각의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체결하고 주모형을 스캔하여 참조 모델을 만들었다. P군 모델은 pick-up 인상용 코핑을 사용하여 15개의 석고 모형을 만들고 지대주를 장착 후 스캔하여 제작하였다. E군과 S군의 모델은 각각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를 주모형에 체결하고 구내 스캐너를 이용해 15회씩 인상채득을 하여 제작하였다. 각각의 실험군 STL 파일은 best fit alignment를 이용해 참조 모델과 중첩하였고 root mean square (RMS) 값을 분석하였다. 결과: RMS 값은 P군에서 가장 작았고(25.56 ± 2.53 ㎛), 그다음 S군(35.27 ± 2.56 ㎛), E군(38.29 ± 4.12 ㎛) 순 이었다. S군과 E군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고, P군은 S군과 E군 보다 작았다(P < 0.05). 임플란트 각도와 RMS 값의 상관관계는 E군에서 유의하였다(P < 0.05). 결론:Pick-up 인상용 코핑 방법은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 인상 채득 방법에 비해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 인상 방법은 정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Encoded healing abutment의 임상적 사용은 가능하나 경사진 임플란트의 인상의 경우 주의하여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ncoflash를 적용한 전신 뼈 영상 검사의 스캔 속도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Scan Speed in Whole Body Bone Scan Applying Oncoflash)

  • 양광길;정우영
    • 핵의학기술
    • /
    • 제13권3호
    • /
    • pp.56-60
    • /
    • 2009
  • 전신 뼈 영상 검사에서 영상의 질을 유지하면서 검사 시간 단축을 위해 oncoflash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임상에 적용할 때 영상의 질과 검사 시간 단축의 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며, 적합한 스캔 속도의 결정에 대한 기준 설정이 필요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에서 전신 뼈 영상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분당 30 cm의 스캔 속도로 검사한 영상의 총 계수를 각각 800 K 이하, 800 K, 900 K, 1000 K, 1500 K, 2000 K 이상으로 구분하여 영상의 질을 정성적 분석하고, 전신 총 계수가 1000 K 미만인 비율을 분석하였다. 분당 30 cm의 스캔 속도로 검사한 전신 뼈 영상의 전신 총 계수의 기하학적 평균이 1000 K 미만인 비율을 분석한 결과, 전체 329명 중 58명(17.6%)이다. 전신 총 계수 별로 구분한 영상을 정성적으로 분석 결과, 전신 총 계수 1000 K 이하의 경우에 육안적으로 영상의 입자가 거칠고, 노이즈가 증가한 영상으로 평가되었다. 전신 총 계수의 양과 Oncoflash 적용 여부에 따른 해상력의 비교평가를 위해 전신 뼈 영상 검사의 계수율을 고려하여 2~5 mCi의 선량을 투여한 $^{99m}Tc$ Flood와 4-Quadrant bar phantom을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 한 후, Oncoflash 적용 전과 후의 FWHM을 분석하였다. PPM 계수가 3.6 K 이하에서는 Oncoflash 적용 후의 FWHM이 전과 비교해서 높게 나왔으나, 3.6~4.0 K 이상에서는 Oncoflash 적용 전보다 적용 후에 낮거나 동등하게 측정되었다. 전신 뼈 영상 검사의 시작 시점인 두부와 흉부의 일부가 포함된 상태에서 감마카메라의 PPM (Patient Positioning Monitor) 계수를 측정하고, 분당 30 cm의 스캔 속도를 적용하여 획득한 전신 총 계수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 결과는 PPM 계수가 각각 2.5~3.0 K일 때 전신 총 계수의 평균과 표준 편차는 $965{\pm}173\;K$ (17.8%), 3.1~3.5 K에서 $1,084{\pm}154\;K$ (22.4%), 3.6~4.0 K에서 $1,242{\pm}186\;K$ (18.4%), 4.1~4.5 K에서 $1,359{\pm}170\;K$ (17.1%), 4.6~5.0 K에서 $1,405{\pm}184$ K (10.5%), 5.1~6.0에서 $1,640{\pm}376\;K$ (10.5%), 6.1~7.0 K에서 $1,771{\pm}324\;K$ (1.3%), 7.1 K 이상에서 $1,972{\pm}385\;K$ (2.0%)으로,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상관계수 r=0.775, p<0.01)가 있었다. 전신 뼈 영상 검사 시작 시점의 PPM 계수가 3.6 K 이상일 경우에 분당 30 cm으로 스캔한 후 전신 총 계수가 1000 K 이상인 경우에 Oncoflash를 적용하면 검사 시간을 줄이면서도 기존의 분당 15 cm으로 획득한 영상 수준의 화질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분당 30 cm으로 스캔한 후 전신 총 계수 기준으로 1000 K 미만인 경우에는 Oncoflash를 적용하여도 영상의 질이 저하되므로, 기존의 분당 15 cm의 속도로 다시 시행하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3차원 인체 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남성용 바디스 원형 설계 방법 연구 (Men′s Bodice Pattern Making Method using 3-D Body Scan Data)

  • 서동애;천종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2호
    • /
    • pp.290-29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ify the pattern making method to develop the men's basic bodice pattern using 3-dimensional body scan data. The experimental patterns were made by adding wearing ease on flattened body scan data and tracing the outlines of it. The experimental bodice pattern were composed of front, back, and side panels.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pattern and traditional pattern, two pattern making methods were compared. Two sets of basic bodice patterns were made for each of the 10 male subjects: a set of pattern was made by experimental method and the other set was made by Bunka pattern making method. The experimental and traditional patterns were measured at 13 dimens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patterns and traditional patterns at the front length, back length, front width, front neck width, back neck width, and back neck depth. The fit was also compared for both patterns. The results of the fit test show that the experimental patterns were superior to the traditional patterns at the fit of neck, shoulder, and armhole. The experimental pattern making method was expected to be useful for mass customization.

  • PDF

디지털 고령 인체 모델 구축 Part I : 표준 Anthropometry 및 내외형상 (Digital Elderly Human Body Modeling Part I : Standard Anthropometry and Exterior/Interior Geometries)

  • 한지원;최형연;윤경한;박요한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96-104
    • /
    • 2009
  • An anatomically detailed elderly human body model is under development. Using the anthropometric database of domestic nation-wide size survey, SizeKorea, a standard size and shape of 50th %tile elderly was constructed. Through the local recruitment process, a male volunteer with 71 years of age, 163cm of height and 63kg of weight has been selected. The exterior (skin) and interior (skeleton and organ) geometries were acquired from whole body 3D laser scan and various medical images such as CT, X-ray, and Ultrasonic of the volunteer. A particular attention has been paid into the combining process of exterior and interior geometries especially for joint articulation positions since they were measured at different postures (sitting vs. supine). A whole ribcage of PMHS which possessed similar anthropometry and age of standard 50th %tile elderly was prepared and dissected for the precise gauge of cortical rib bone thickness distributions. After completing the morphological construction of elderly human body, the finite element modeling will be processed by meshing elements and assigning mechanical properties to various biological tissues which reflect the aging effect.

Verification of the Accuracy of Photogrammetry in 3D Full-Body Scanning -A Case Study for Apparel Applications-

  • Eun Joo Ryu;Lu Zhang;Hwa Kyung So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37-151
    • /
    • 2023
  • Stationary 3D whole-body scanners generally require 5 to 20 seconds of scanning time and cannot effectively detect armpit and crotch area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ccuracy of a photogrammetric technique using a multi-camera system. First, dimensional accuracy was analyzed using a mannequin scan,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can-derived measurements and the direct measurements, with an allowable tolerance of ISO 20685-1:2018. Only 2 of 59 measurement items (ankle height and upper arm circumference, specifically) exceeded the ISO 20685-1:2018 criteria. Whe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eight stationary whole-body scanners assessed by the literature, the photogrammetric technique was found to have the advantage of scanning the top of the head, armpit, and crotch areas clearly. Second, this study found the photogrammetric technique is suitable for obtaining the body scans because it can minimize the perform scanning, resulting in a reduction of measurement errors due to breathing and uncontrolled movements. The error rate of the photogrammetry method was much lower than that of stationary 3D whole-body scan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