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dy Metric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 of Supplementary Feeding of Concentrate on Nutrient Utilization and Production Performance of Ewes Grazing on Community Rangeland during Late Gestation and Early Lactation

  • Chaturvedi, O.H.;Bhatta, Raghavendra;Santra, A.;Mishra, A.S.;Mann, J.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7호
    • /
    • pp.983-987
    • /
    • 2003
  • Malpura and Kheri ewes (76) in their late gestation, weighing $34.40{\pm}0.95kg$ were randomly selected and divided into 4 groups of 19 each (G1, G2, G3 and G4). Ewes in all the groups were grazed on natural rangeland from 07.00 h to 18.00 h. Ewes in G1were maintained on sole grazing while ewes in G2, G3 and G4, in addition to grazing received concentrate mixture at the rate of 1% of their body weight during late gestation, early lactation and entire last quarter of pregnancy to early quarter of lactation, respectively. The herbage yield of the community rangeland was 0.82 metric ton dry matter/hectare. The diet consisted of (%) Guar (Cyamopsis tetragonoloba) bhusa, (59.2), Babool pods and leaves (17.2), Bajra (Pennisetum typhoides) stubbles (8.8), Doob (5.3), Aak (4.2) and others (5.3). The nutrient intake and its digestibility were higher (p<0.01) in G2, G3 and G4 as compared to G1 because of concentrate supplementation. The intakes of DM ($g/kg\;W{^0.75}$), DCP ($g/kg\;W{^0.75}$) and ME ($MJ/kg\;W{^0.75}$) were 56.7, 5.3 and 0.83; 82.7, 12.2 and 1.16; 82.7, 12.1 and 1.17 and 83.1, 12.3 and 1.18 in G1, G2, G3 and G4, respectively. The per cent digestibility of DM, OM, CP, NDF, ADF and cellulose was 57.9, 68.8, 68.7, 52.3, 37.5 and 68.4; 67.6, 76.1, 82.3, 60.6, 44.5 and 73.4; 67.6, 76.1, 81.5, 60.6, 44.8 and 74.5 and 67.6, 76.1, 82.3, 60.6, 44.7 and 73.3 in G1, G2, G3 and G4, respectively. The nutrient intake of G2, G3 and G4 ewes was sufficient to meet their requirements. The ewes raised on sole grazing lost weight at lambing in comparison to advanced pregnancy. However, ewes raised on supplementary feeding gained 1.9-2.5 kg at lambing. The birth weight of lambs in G2 (3.92) and G4 (4.07) was higher (p<0.01) than G1 (2.98), where as in G1 and G3 it was similar. The weight of lambs at 15, 45 and 60 days of age were higher in G2, G3 and G4 than in G1. Similarly, the average daily gain (ADG) after 60 days was also higher in G2, G3 and G4 than in G1. The milk-yield of lactating ewes in G2, G3 and G4 increased up to 150-250 g per day in comparison to G1. The birth weight, weight at 15, 30, 45 and 60 days, weight gain and ADG at 30 or 60 days was similar both in male and female lambs. It is concluded from this study that the biomass yield of the community rangeland is low and insufficient to meet the nutrient requirements of ewes during late gestation and early lactat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concentrate supplementation at the rate of 1% of body weight to ewes during these critical stages to enhance their production performance, general condition as well as birth weight and growth rate of lambs.

가리맛조개(Sinonovacula constricta: Bivalvia)의 성장과 생산 (경기 남양만 화성조간대) (Growth and Production of Sinonovacula constricta (Bivalvia) from the Hwaseong Tidal Flat in the Namyang Bay, Korea)

  • 고철환;양미라;장원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권1호
    • /
    • pp.21-30
    • /
    • 1997
  • 본 연구는 한국 조간대의 주요 수산자원인 가리맛조개(Sinonovacula constricta)의 서식밀도, 성장 및 생산량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가리맛조개를 포함하는 맛류(razor clam 또는 jack knife clam)의 어획량은 연간 약 6,000여톤으로, 이들은 굴, 바지락, 동죽 다음으로 많이 어획된다. 1992년 5월부터 1993년 8월까지 약 1개월의 간격으로 총 14회에 걸쳐 맛류 생산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가리맛조개를 경기도 화성 조간대에서 채집하였다. 가리맛조개의 서식밀도는 1 $m^2$당 92~165개체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고연령군일수록 서식밀도가 낮았으나, 예외적으로 1991년에 가입한 연령군의 서식밀도는 1990년 연령군 보다 낮았다. 패각의 최장길이는 가을과 겨울사이에 두개의 크기군으로 나누어졌으나, 2월 이후에 어린 가리맛조개의 빠른 성장으로 하나로 합쳐지는 양상을 보였다. 어린 가리맛조개의 빠른 성장은 성장곡선에 의해서도 잘 나타났다. 전 생애동안 패각의 길이성장은 von Bertalanffy 성장식, $L_t=89.3{\times}[1-{\exp}\{-0.58{\times}(t+0.73)\}]$으로, 육질부의 건중량은 Gompertz 성장식, $W_t=5.00{\times}{\exp}\{-4.31{\times}{\exp}(-0.043{\times}t)\}$으로 적합되었다. 특히 육질부의 무게는 산란기인 8월에 전체 몸무게의 30% 정도가 감소하였다. 1992년 9월부터 1993년 8월까지 1년동안 가리맛조개의 육질부 총생산량은 약 150g $DW{\cdot}m^{-2}{\cdot}yr^{-1}$로 추정되었다. 각 연령군별로 보면, 1992년생 가리맛조개의 생산량은 87.5 g $DW{\cdot}m^{-2}{\cdot}yr^{-1}$ 1991년생은 53.4 g $DW{\cdot}m^{-2}{\cdot}yr^{-1}$, 1990년생은 59.0g $DW{\cdot}m^{-2}{\cdot}yr^{-1}$ 1989년생은 -30.0 g $DW{\cdot}m^{-2}{\cdot}yr^{-1}$이었다. 가리맛조개의 생산량은 다른 이매패류에 비해 약 2~50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icro-CT 시스템에서 제한된 조건의 Total Variation (TV) Minimization을 이용한 영상화질 평가 (Evaluation of Image Quality in Micro-CT System Using Constrained Total Variation (TV) Minimization)

  • 조병두;최종화;김윤환;이경호;김대홍;김희중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3권4호
    • /
    • pp.252-260
    • /
    • 2012
  • 최근 Computed tomography (CT) 조사선량의 인체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부각됨에 따라 선량을 줄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이로 인하여 소 동물에 관한 연구는 점점 임상전의 연구로서 필수적으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에는 피폭 선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서 이론적으로 투영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을 때 정확하게 영상을 재구성 하는 것이 가능한 Total Variation (TV) minimization 알고리즘이 각광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icro-CT (DRGem, Harmony80H series, Korea) 시스템에서 획득한 적은 수의 투영 데이터를 가지고 TV minimization에 기초한 반복적 영상 재구성 알고리즘과 기존의 Feldkamp-Davis-Kress (FDK)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하고 두 알고리즘의 영상 화질을 비교 및 평가하였다. TV minimization 알고리즘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먼저 서로 다른 농도의 조영제, 물, 공기가 들어있는 원통형 팬톰을 제작하였고, micro-CT를 사용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Tube와 검출기 일회전 당 최대 400개의 투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TV minimization 알고리즘의 영상 복원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20, 50, 90, 180장의 적은 투영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영상 비교평가를 위한 참고 영상(FDK-reference 영상)은 마찬가지로 400개의 투영데이터를 이용하여 FDK 알고리즘으로 재구성하였고, 20, 50, 90, 180장의 투영데이터를 가지고 TV minimization 알고리즘, FDK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재구성한 영상과 FDK-reference 영상의 프로파일, Contrast-to-noise ratio (CNR), Universal quality index(UQI)를 각각 비교평가 하였다. 또한, 소 동물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mouse 영상에 관하여 프로파일과 UQI를 분석하여 비교평가 하였다. 결과적으로 90개의 투영데이터를 사용하여 재구성한 원통형 팬톰 영상을 분석하였을 때, TV minimization 영상(TV-90) 및 FDK 영상(FDK-90)의 CNR과 UQI를 비교하였을 때 FDK-90보다 TV-90에서 CNR이 0.21, UQI가 0.18 증가하였다. 원통형 팬톰 영상과 같은 조건에서 mouse 영상을 사용하였을 때, UQI는 FDK-90보다 TV-90에서 0.08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기존의 micro-CT의 투영 데이터의 사분의 일이 되는 투영데이터를 사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하여 비교평가 한 결과 투영영상 데이터의 수가 제한되는 경우에 FDK 알고리즘보다 TV minimization 알고리즘이 X-ray 조사시간을 줄임으로서 피폭선량을 줄이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조사시간의 단축은 물체의 움직임으로 인한 영상 화질의 저하를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