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ars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7초

이미지 보정을 통한 야간의 유해 동물 인식률 향상 (Enhancing Harmful Animal Recognition At Night Through Image Calibration)

  • 하영서;심재창;김중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1311-1318
    • /
    • 2021
  • Agriculture is being damaged by harmful animals such as wild boars and water deer. It need to get permission to catch a wild boar and farmers are using a lot of methods to chase harmful animals. The methods through deep learning and image processing capture harmful animals with cameras. It is difficult to analyze harmful animals that are active at night. In this case, In this case, using deep learning by image correction can achieve a higher recognition rate.

Identification of African swine fever virus genomic DNAs in wild boar habitats within outbreak regions in South Korea

  • Lee, Kyung-Lak;Choi, Yongjun;Yoo, Jongchan;Hwang, Jusun;Jeong, Hyun-Gi;Jheong, Weon-Hwa;Kim, Seon-Hee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2권2호
    • /
    • pp.28.1-28.6
    • /
    • 2021
  • An African swine fever (ASF) outbreak in wild boars was first reported on October 2, 2019, in South Korea. Since then, additional cases were reported in South Korea's border areas. We here report the identification of ASF virus (ASFV) DNAs from two out of eight environmental abiotic matter samples collected from areas where ASF-positive wild boar carcasses were found. Comparative genomic investigations suggested that the contaminating ASFV DNAs originated from the wild boar whose carcass had been found near the positive sample site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identification of ASF viral material in wild boar habitats.

Successful treatment of gastrocnemius muscle rupture in a long-tailed goral rescued from a live trap: a case report

  • Ahn, Sangjin;Choi, Sooyoung;Kim, Jong-Taek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3권3호
    • /
    • pp.45.1-45.5
    • /
    • 2022
  • We describe a case of gastrocnemius muscle rupture in a goral that got caught in a live trap set up to capture wild boars. We established a diagnostic method based on clinical signs and imaging examination findings, includ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gastrocnemius muscle rupture with symptoms such as hindlimb lameness and plantigrade posture of unknown cause in wild animals. Although this condition is rare, this report will help veterinarians diagnose several diseases of the musculoskeletal and nervous systems in wild animal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uccessful diagnosis and treatment of gastrocnemius muscle rupture in gorals in Korea.

종모돈의 정액성상과 번식성적에 미치는 품종, 연령, 계절, 산차 및 교배방법의 영향 (Effect of Breed, Age, Season, Parity and Mating Type on Boar Semen Characteristics and Fertilizing Capacity)

  • 전용민;윤희진;이종관;손영곤;강권;박창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9-216
    • /
    • 2000
  • 본 연구는 1996년부터 1999년까지 다비 AI 센타에서 사육되는 종모돈 199두와 종빈돈 4,181두를 가지고 종모돈의 정액생산과 번식성적에 미치는 품종, 연령, 계절, 산차 및 교배방법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한 바, 그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정액량은 Landrace (L) 종이 266.8 $m\ell$로 제일 많았고, Yorkshire (Y) 종이 그 다음으로 많았으며, Duroc (D) 종이 제일 적었다. 정자 운동성은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다. 정자농도는 Landrace 종이 4.7$\times$109 sperm/$m\ell$로 제일 낮았고, 정액량이 제일적은 Duroc 종이 5.7$\times$$10^{9}$ sperm/$m\ell$ 로 제일 높았다. 종모돈의 연령에 따른 정액량은 2세 때가 213.3 $m\ell$로 제일 많았고, 4, 3 그리고 l 세의 순서로 정액량이 감소하였다. 2. 종모돈의 계절에 따른 정액량은 겨울철이 228.6 $m\ell$로 제 일 많았고, 가을, 여름, 봄의 순서로 정액량이 감소하였다. 정자농도는 봄철이 5.9$\times$109 sperm/$m\ell$로 제일 높았으며, 여름, 겨울, 그리고 가을의 순서로 낮았다. 3. 교배방법에 따른 복당 생시체중은 품종간 처리구간에 차이점을 인정할 수 없었으나 복당 출생시 생존수에 있어서는 자연종부후 인공수정을 실시한 처리구에서 9.5두로 제일 많았으며, 인공수정을 실시한 처리구에서는 9.2두, 그리고 자연종부를 실시한 처리구에서는 8.9두로 처리구간에 유의성 (P<0.01)이 인정되었다. 4. 교배그룹간에서는 L (우)$\times$Y (♂) 교배조합과 L (♀)$\times$L (♂) 교배조합이 Y (♀)$\times$ L (♂) 교배조합 Y (♀)$\times$Y (♂) 교배조합보다 복당 생시체중이 무거웠으며, 복당 출생시 생존 자돈수에 있어서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자연종부와 인공수정간에 복당 생시체중과 복당 출생시 생존자돈수는 유의차가 없었다. 5. 산차간에 있어서는 2~6 산차의 복당 생시체중과 복당 출생시 생존 자돈수가 각각 13.5 kg 과 9.5 두로 1산차와 7~9 산차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 PDF

두록 정자 운동학적 특성과 Zygote arrest 1 유전자 변이와의 연관성 분석 (Association Study of Zygote Arrest 1 on Semen Kinematic Characteristics in Duroc Boars)

  • 이미진;고준호;김용민;최태정;조규호;김영신;진동일;김남형;조은석
    • 동물자원연구
    • /
    • 제29권4호
    • /
    • pp.150-157
    • /
    • 2018
  • ZAR1은 척추동물의 초기 배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두록 수퇘지 112두에서 ZAR1 유전자의 SNP을 발굴하고 ZAR1 유전자의 인트론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NP)과 정액의 운동학적 특성들과의 연관성을 규명하였다. 돼지의 정액 운동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운동성(motility, MOT), 직선운동 속도(straight-line velocity, VSL), 곡선운동 속도(curvilinear velocity, VCL), 평균운동 속도(average path velocity, VAP), 직진성(linearity, LIN), 선형성(straightness, STR), 측두 이동거리(amplitude of lateral head displacement, ALH) 및 머리 진동수(beat cross frequency, BCF)를 측정하였다. SNP을 탐색하기 위해서 돼지의 혈액에서 genomic DNA를 추출하여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시퀀싱 분석을 하여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ZAR1의 non-coding 영역인 인트론에서 SNP 3개를 확인했으며 각 각 인트론 2 영역에서 g.2435T>C, 인트론3 영역에서 g.2605G>A, g.4633A>C 변이를 보였다. g.2435T>C, g.2605G>A는 각 각 MOT(p<0.01)와 VSL(p< 0.05)에서 높은 연관성을 나타냈고 g.4633A>C는 MOT, VCL, VSL, VAP, ALH에서 높은 연관성을 나타냈다(p<0.01). 본 연구에서는 ZAR1 유전자의 SNP이 돼지 정액의 운동학적 특성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ZAR1이 우수한 수퇘지들에서 번식능력이 높은 개체를 선발할 수 있는 후보유전자로 제시하며 다양한 돼지의 품종과 더 많은 두수를 확보하여 검증연구를 통해 우수한 능력의 수퇘지에서 활력이 좋은 개체를 선발하는 분자마커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Polymorphism in the intron 20 of porcine O-linked N-acetylglucosamine transferase

  • Kim, Jong Gug;Nonneman, Dan;Kim, Doo-Wan;Shin, Sangsu;Rohrer, Gary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8호
    • /
    • pp.1086-1092
    • /
    • 2017
  • Objective: O-linked N-acetylglucosamine (O-GlcNAc) transferase (OGT) catalyzes the addition of O-GlcNAc and GlcNAcylation has extensive crosstalk with phosphorylation to regulate signaling and transcription. Pig OGT is located near the region of chromosome X that affects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level and testes siz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variations of OGT between European and Chinese pigs. Methods: Pigs were tested initially for polymorphism in OGT among European and Chinese pig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sequencing at the U.S. Meat Animal Research Center (USMARC). The polymorphism was also determined in an independent population of pigs including European and Chinese Meishan (ME) breeds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NIAS, RDA, Korea). Results: The intron 20 of OGT from European and Chinese pigs was 514 and 233 bp, respectively, in the pigs tested initially. They included 1 White composite (WC) boar and 7 sows ($2Minzu{\times}WC$, $2Duroc\;[DU]{\times}WC$, $2ME{\times}WC$, $1Fengzing{\times}WC$) at USMARC. The 281-bp difference was due to an inserted 276-bp element and GACTT in European pigs. When additional WC and ME boars, the grandparents that were used to generate the $1/2ME{\times}1/2WC$ parents, and the 84 boars of 16 litters from mating of $1/2ME{\times}1/2WC$ parents were analyzed, the breeds of origin of X chromosome quantitative trait locus (QTL) were confirmed. The polymorphism was determined in an independent population of pigs including DU, Landrace, Yorkshire, and ME breeds at NIAS. OGT was placed at position 67 cM on the chromosome X of the USMARC swine linkage map. Conclusion: There was complete concordance with the insertion in European pigs at USMARC and NIAS. This polymorphism could be a useful marker to identify the breed of origin of X chromosome QTL in pigs produced by crossbreeding Chinese and European pigs.

돼지에서 정액 성상 및 인공수정 분만율과 염색질 구조 분석(SCSA)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orrelation Among Sperm Characteristics, Farrowing Rates by AI and Chromatin Structure in Boars)

  • 유재원;김인철;이장희;조규호;지달영;이주형;김일;이종완;윤희진;방명걸;류범용;정영채;김창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777-784
    • /
    • 2006
  • 본 연구는 돼지에서 정자 SCSA와 정자 운동성 및 인공수정을 이용한 분만율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인공수정센터에서 정액 생산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종모돈 중 개체별 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 번식성적을 가지고 있는 종모돈 26두의 정액 성상 기록과 번식성적을 분석 하였고, 액상정액을 공시하여 정자운동성 분석과 SCSA를 실시하였다. 종모돈의 정액 채취 횟수에 따른 SCSA 분석은 종모돈 26두를 공시하여 정액을 8주간 6회 채취하여 공시하였다. 종모돈은 인공수정 분만율(80% 이상 ; 종모돈 7두, AI 256복, 8070% ; 종모돈 9두, AI 745복 및 70% 미만 ; 종모돈 10두, AI 293 복)에 따라 3개 군으로 구분 하였다. 액상 정액의 CASA 분석 결과는 분만율에 따른 종모돈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종모돈의 SCSA 결과는 분만율이 높을수록 COMP αt, %Red, %Peak R 및 %Mean R 값은 낮게 나타났고, 분만율이 가장 낮은 종모돈 군과 다른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종모돈 정액을 채취 차수에 따른 정액의 성상과 SCSA를 조사한 결과에서 채취 차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종모돈의 인공수정 분만율과 SCSA 결과와의 상관관계는 COMP αt, SD αt, %Red, %Peak R, Mean R는 모두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SCSA는 종모돈 정액의 수정 능력을 평가하고 예측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멧돼지 교잡종육, 재래 흑돼지육, 개량종 돼지육의 냉장저장중 품질비교 (Quality Comparison of M. longissimus from Crossbred Wild Boars, Korean Native Black Pigs and Modern Genotype Pig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강선문;이성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257-268
    • /
    • 2007
  • 본 연구는 멧돼지 교잡종육과 재래 흑돼지육, 개량종 돼지육의 냉장저장중 품질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목사육된 멧돼지 교잡종(멧돼지 ♂×Duroc ♀, 평균 113kg, 거세돈 1두 및 미경산돈 3두) 4두와 옥내사육된 재래 흑돼지 5두(평균 64kg, 거세돈 5두) 및 개량종 돼지 5두(Landrace×Yorkshire×Duroc, 평균 114kg, 거세돈 5두)를 도축한 다음 등심(M. longssimus) 부위를 2±0.2℃에서 12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분석에 이용하였다. 수분 함량은 멧돼지 교잡종육이 재래 흑돼지육보다 높았으나(p<0.05), 조지방 함량은 낮았다(p<0.05). pH는 멧돼지 교잡종육이 저장기간 동안 개량종 돼지육보다 낮았으며(p<0.05), 그에 따라 낮은 보수력을 보였다(p<0.05). 표면육색은 멧돼지 교잡종육의 L*, a*, b*, C* 값이 저장기간 동안 재래 흑돼지육보다 낮았던 반면(p<0.05), 저장 3, 6일부터는 개량종 돼지육보다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은 멧돼지 교잡종육이 타품종 돈육에 비해 포화지방산 함량이 낮고(p<0.05), linoleic acid와 arachidonic acid를 포함한 다가불포화지방산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저장기간 동안 지방산화는 지연되었다. 전자코의 PCA에 의한 향기패턴은 저장 0, 12일에 세 품종의 돈육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Effects of Castration on Androgen Receptor, IGF-I Ea, MGF and Myostatin Gene Expression in Skeletal Muscles of Male Pigs

  • Yao, Yuchang;Cai, Zhaowei;Zhang, Lifan;Zhao, Chunjiang;Wu, Keliang;Xu, Ningying;Liu, Gang;Wu, Changx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8호
    • /
    • pp.1069-1077
    • /
    • 2009
  • Castration of male pig produces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skeletal muscle development. The androgen receptor (AR), two splice variant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Ea and MGF) and the myostatin gene may play important roles in this process. In the present study, the expression of AR, IGF-I Ea, MGF and myostatin genes in three skeletal muscles, the brachialis, longissimus and semitendinosus, were studied using real-time quantitative RT-PCR. Our experimental design used 14 pairs of male Landrace sire${\times}$Yorkshire dam piglets. The two piglets in each pair were full sibs, one of which was castrated at 21 d of age; the other remained intact. The study group was divided into subgroups of equal size. Animals in the first subgroup were slaughtered at 147 d and those of the second at 210 d of age. Carcass weight and lean meat yield were similar between boars and barrows at 147 d of age (p>0.05), whereas barrows had lower carcass weight and less lean meat yield at 210 d of age (p<0.05). Castration caused down-regulation of AR gene expression at both 147 and 210 d of age (p<0.05). The two splice variants of the IGF-I gene from porcine skeletal muscle were cloned using RT-PCR, and it was found that MGF differs from IGF-I Ea in having a 52-base insert in the last coding exon of the mRNA. Both splice variants were down-regulated by castration only at 210 d of age (p<0.05). No differences in expression of the myostatin gene were observed between boars and barrows at either 147 or 210 d of age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ownregulation of AR, IGF-I Ea and MGF gene expression following castration helps to explain the negative effect of castration on skeletal muscle development.

멧돼지(Sus scrofa coreanus Heude)의 임상 교란이 토양의 생물학적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ubbing by Wild Boars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Forest Floor)

  • 차상섭;이상훈;채희명;심재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902-910
    • /
    • 2012
  • 한반도 낙엽활엽수림에서 멧돼지(Sus scrofa coreanus Heude)는 그 수효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들의 임상 교란은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멧돼지의 임상을 파헤치는 교란이 토양생태계의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환경부 장기생태연구지소인 점봉산 지역에서 미생물량 C와 토양 효소의 활성 측정을 실시하였다. 멧돼지에 의해 생성된 교란지형은 표층토양과 하층토양이 섞인 흙더미와 파인 구덩이의 노출된 바닥 2종류로 구분하였고, 인근의 교란을 받지 않은 지역을 대조구로 설정하였다. 토양 유기물 함량은 유기물 함량이 높은 표층의 토양과 하층의 토양이 섞이면서 대조구에서 20.22%로 가장 높은 값이 나타났고, 흙더미와 구덩이의 바닥은 각각 16.91%, 15.52%를 나타내었다. 용적밀도는 구덩이 바닥 토양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미생물량 C와 토양 $CO_2$의 발생은 교란을 받지 않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이 나타났으며 이는 토양의 유기물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토양의 cellulase와 invertase의 활성은 미생물량 C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유기물의 함량이 토양 효소 활성에 영향을 미침을 나타내었다. 질산환원효소는 구덩이 바닥 토양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용적밀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토양 공극이 적은 다소 혐기적 조건에서 그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멧돼지의 파헤치는 교란은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변화시키고, 토양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