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wn Asphalt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4초

세미-브로잉 공정에서 석유 아스팔트의 구조, 물성 변화 (Structures and Properties of Semi-blown Petroleum Asphalt)

  • 민경의;정한모
    • 공업화학
    • /
    • 제22권6호
    • /
    • pp.664-671
    • /
    • 2011
  • 무촉매 공기 브로잉 공정에서 석유계 감압 잔사유로부터 세미-부로운 아스팔트를 제조하는 경우, 시간에 따른 아스팔트의 조성, 구조, 물리적 성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공기 브로잉에 의해 지방족 탄화수소 성분이 방향족 탄화수소 성분으로 전이되고, 고분자화 되어 아스팔텐 성분이 증가함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조성 분석에서 관찰하였다. 처리시간에 따른 방향족화와 고분자화 정도의 증가는 $^1H-NMR$, 열시차분석, 그리고 열중량분석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아스팔트의 조성과 구조의 변화는 침입도의 감소, 연화점과 인화점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Studies on the Bituminization Process of Radioactive Liquid Waste[I]

  • Lee, Sang-Hoon;Chun, Kwan-Sik;Lim, Eung-Keu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7권3호
    • /
    • pp.213-222
    • /
    • 1975
  • 알카리로 처리한 국산 blown asphalt를 사용해서 방사성 폐액을 180-20$0^{\circ}C$ 범위 내에서 고화처리한 것이 산처리 한것보다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방사선 조사선량이 4.0$\times$$10^{7}$ rad까지도 안정된 고화체로 존재하고 있다. 한편 40wt%의 고형분이 함유되어 있는 $^{137}$Cs-asphalt 고화체의 증류수에 의한 $^{137}$Cs의 용출율이 8.27$\times$$10^{-4}$ g/$\textrm{cm}^2$-day 인데 반하여 $^{90}$ Sr은 낮았으며, 일반적으로 증류수보다 해수때가 또한 pH가 증가함에 따라 용출율은 낮아진다.

  • PDF

번커-C 重油의 性狀 (Properties of Bunker-C Residual Oil)

  • 홍성택
    • 대한화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21
    • /
    • 1967
  • For utilization of Bunker-C residual oil produced at KOCO., the auther tested the properties of vacuum fraction and blown asphalt, and as the result of it, (1) Vacuum fraction had so broad range of viscosity and high flash point that could be produced all kind of lublicating oil, but had to be dewaxed for high pour point, (2) Urea dewaxing was suitable to lighter fraction but not to heavier fraction, so, for heavier fraction, solvent dewaxing was needed. (3) Blown asphalt produced from vacuum residue had uniform relation between softening point and penetration in spite of broad change of blowing condition and adding of catalyst.

  • PDF

A Study on the Bituminization Process of Radiative Liquid Waste (II)

  • Lee, Sang-Hoon;Yoon, Myung-Hwan;Lee, Moon-Deu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231-242
    • /
    • 1976
  • 중 준위 방사성 폐액의 증발 농축물을 불용성 물질로 고형화하기 위해 blown asp-halt와 straight asphalt를 혼합사용하여 제조된 bitumen-waste 고화체로부터 방사성핵종의 용출에 대한 고화체의 호학적 특성 및 용출 조건의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고압 및 저온하에서 120일동안 $^{90}$ Sr 및 $^{137}$Cs의 용출율은 상압 및 상온때 보다 낮은 용출율을 보였으며, 40wt%염을 함유한 고화체에 대한 인공 해수 및 증류수에 대한 용출율의 영향은 별로 차이점이 관찰되지 않았다. 순수 asphalt 및 고화체의 연화점은 $^{60}$Co 조사에 의해 총선량 증가와 함께 증가 됐으나, 5.8$\times$$10^{8}$ rad, 까지 조사된 asphalt는 부피 증가나 팽윤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Infrared spectra에 의해 blown asphalt의 functional group을 확인하였고, 계속 방사선에 의한 영향등을 조사중이다.

  • PDF

단열재의 실링재로 사용되는 비닐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의 제조 및 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and Manufacture of Vinylester Resin Mixtures Used as Sealant of Insulator)

  • 서원동;최상구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27권3호
    • /
    • pp.174-182
    • /
    • 1992
  • Main components of manufactured sealant were vinylester resin, polybutadiene rubber, asphalt and inorganic filler. For manufactured sealant, liquid and cure properties were tested experimantally. It showed better mechanical properties at rubber content $5{\sim}15phr$. Blown asphalt represented better properties than streight asphalt, showed the highest cohesive strength at asphalt content $6{\sim}8phr$. Appropriate usage of filler was $60{\pm}2%$ of total components, and $Al(OH)_3$ showed better flame-retardancy than $CaCO_3$.

  • PDF

양산중질유의 대책에 따른 신제품 개발실용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hysical properties and application to new products from the Heavy Residual Feul oil as Raw Materials.)

  • 김주항;강호근
    • 한국기술사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사회 1984년도 제14회 한일기술사 합동 심포지움 참관기
    • /
    • pp.84-91
    • /
    • 1984
  • Heavy Residual Fuel oils is a mixture of reduced crude from crude unit, bottom products from vacuum and/or catalytic cracking unit with distillate to meet the specification and generally used as Heavy Fuel Oil for large combustion engines, boilers, etc…. But this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Heavy Residual Fuel oils for using as industrial raw material and resulted the following possibilties as valuable raw material as well as Heavy Fuel Oil. 1) Production of straight asphalt through vacuum distillation unit. 2) Using straight asphalt from vacuum distillation unit for manufacturing of Blown Asphalts, Cut Back Asphalts, Emulsified Asphalts and Asphalt Compound, etc…. 3) Using waxy oil side streams for manufacturing of raw oil to be Lube Oil base stocks through solvent dewaxing. 4) Production of lube base oils from dewaxed raw oil through chemical treatments. 5) Manufacturing of paraffine wax from slack wax to be produced as by product of dewaxing process.

  • PDF

양산중질유(量産重質油)를 원료(原料)로한 신제품(新製品) 개발실용화(開發實用化)를 위(爲)한 조사연구(調査硏究) (Studies on physical properties and application to new products from Heavy Residual Fuel Oil as Raw Materials)

  • 김주항;강호근;허동섭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20권2호
    • /
    • pp.115-131
    • /
    • 1985
  • Heavy residual fuel oils is a mixture of reduced crude from crude unit, bottom products from vacuum and/or catalytic cracking unit with distillate to meet the specification and generally used as heavy fuel oil for large combustion engines, boilers, etc$\cdots$. But this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heavy residual fuel oils for using as industrial raw material and resulted the following possiblities as valuable raw material as well as heavy fuel oil. 1) Production of straight asphalt through vacuum distillation unit. 2) Using straight asphalt from vacuum distillation unit for manufacturing of blown asphalts, cut back asphalts, emulsified asphalts and asphalt compound, rubber/asphalt sheet, etc$\cdots$. 3) Using waxy oil side streams for manufacturing of raw oil to be lube oil base stocks through solvent dewaxing. 4) Production of lube base oils and rubber process oils from dewaxed raw oil through chemical treatments. 5) Manufacturing of paraffine wax from slack wax to be produced as by product of dewaxing process.

  • PDF

수도용 강관의 도복장 재료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he Properties of Wrapping Material of Steel Pipe for Water Supply)

  • 이현동;이지은;곽필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31-33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의 생산되는 강관의 도복장 재료 및 방법별로 관체 시편을 이용하여 도복장강관의 성능을 시험하였다. 도복장강관의 원관의 물성 및 화학조성의 분석결과 모두 기준에 적합하였다. 강관의 도복장 재료의 물성시험 결과, 블론아스팔트와 콜타르에나멜은 비용이 저렴하고 기계적 성질은 매우 우수하나, 유기용매에 녹는 단점을 지니고 있고, 도복장강관이 도복장재료로서 성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껍게 도복할 경우, 강관 자체의 하중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당김강도 시험과 음극박리 시험결과, PE-3층 도복장방식이 우수하였으며, PE의 도복장방법에 따라서는 압출식(T-Die) 3층 폴리에틸렌(PE 3-Layer)이 분말용착식 폴리에틸렌(PE Fluidized)보다 당김강도가 강하며 음극박리 면적도 작았다. 압출식(T-Die) 3층 폴리에틸렌(PE 3-Layer)은 기계적 특성, 열적 특성 모두 우수하였고, 내화학성도 뛰어났다. 액상에폭시는 수지 선정과 경화 조건에 따라서 도장재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시험에서 사용된 폴리우레탄은 강관과의 접착력도 에폭시에 비하여 낮았으며, 수분 흡수율은 에폭시 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폴리우레탄을 도복장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레탄의 기본물성과 최적의 도장조건을 도출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실험한 시편 중에서는 현재 압출식으로 제조한 PE-3층 도복장방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앞으로 기타 다른 도복장재료와의 추가 검증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습식 분류상 가스화장치를 이용한 중질잔사유(Vacuum residue)의 가스화 특성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acuum residue gasification in an entrained-flow gasifier)

  • 최영찬;박태준;김재호;이재구;홍재창;김용구;나재익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1-184
    • /
    • 2002
  • 우리나라 5개 정유사에서 일간 생산되는 중질잔사유 (Vacuum Residue) 량은 약 200,000 B/d이며, 일부는 Asphalt 또는 Sulfur fuel oil, 기타 탈황공정(RHD)둥에서 upgrading 되고 있다. 중질잔사유는 유황 및 중금속 물질의 함유량이 높아 가스화를 통한 효율적인 이용이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들어 효율적인 중질잔사유의 사용을 위하여 SK정유와 LG, Caltex에서 435-500 MWe IGCC 발전소 및 수소 제조공정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한 바 있다. 현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는 습식분류상 가스화장치를 이용하여 중질잔사유가스화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실험은 반응온도 : 1,100~1,25$0^{\circ}C$, 반응압력 : 1~6kg/$ extrm{cm}^2$G, oxygen/V.R ratio : 0.8~0.9 and steam/V.R ratio : 0.4~0.5를 유지하며 수행되었으며, 실험을 통해 합성가스(CO+H$_2$) 조성 : 85~93%, 생성가스 유량 : 50~110Nm$^3$/hr., 발열량 : 2,300~3,000 ㎉/Nm$^3$, 탄소전환율 : 65~92 및 냉가스효율 = 60~70%를 얻을 수 있었다. 아울러, 평형모델을 이용하여 중질잔사유가스화 공정을 모형화 하였으며 계산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모델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PDF

습식 분류상 가스화장치를 이용한 중질잔사유(Vacuum Residue)의 가스화 특성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acuum Residue Gasification in an Entrained-flow Gasifier)

  • 최영찬;박태준;김재호;이재구;홍재창;김용구;나재익
    • 에너지공학
    • /
    • 제12권1호
    • /
    • pp.49-57
    • /
    • 2003
  • 우리나라 5개 정유사에서 일간 생산되는 중질잔사유 (Vacuum Residue)량은 약 200.000 B/d이며, 일부는 Asphalt 또는 Sulfur fuel oil, 기타 탈황공정(RHD) 등에서 upgrading 되고 있다. 중질잔사유는 유황 및 중금속 물질의 함유량이 높아 가스화를 통한 효율적인 이용이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들어 효율적인 중질잔사유의 사용을 위하여 SK정유와 LG Caltex에서 435~500 MWe IGCC 발전소 및 수소 제조공정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한 바 있다. 현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는 습식분류상 가스화장치를 이용하여 중질잔사유가스화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실험은 반응온도: 1,100~1,25$0^{\circ}C$, 반응압력: 1~6 kg/$\textrm{cm}^2$G, oxygen/V.R ratio: 0.8~0.9 and steam/V.R ratio: 0.4~0.5를 유지하며 수행되었으며, 실험을 통해 합성가스(CO+H$_2$) 조성 : 85~93%, 생성가스 유량: 50~110 Nm$^3$/hr. 발열량: 2,300~3,000 k㎈/Nm$^3$, 탄소전환율: 65~92 및 냉가스효율: 60~70%를 얻을 수 있었다. 아울러, 평형모델을 이용하여 중질잔사유가스화 공정을 모형화하였으며 계산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모델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