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end Shape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2초

물세탁과 드라이클리닝의 세탁성능과 형태안정성 비교 (A comparison of detergency and dimensional stability between wet cleaning and dry cleaning)

  • 곽수경;김아리;오화원;박명자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81-189
    • /
    • 2019
  • The washability, redeposition, fill power, and fabric damage of wet cleaning and dry cleaning solvents were measured to identify the optimal type of washing that would increase washability while maintaining dimensional stability. The soiled fabric is a polyester cotton blend and the types of soil were wine, blood, make-up and sebum with carbon black. Petroleum and silicone solvents were used in dry cleaning.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tergency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type of washing and type of soil. Wet cleaning is superior to dry cleaning. Wet cleaning shows a strong washing performance against hydrophilic soils, whereas, dry cleaning is stronger against hydrophobic soils. Second, redeposition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ype of washing, fabrics, and soils. Redeposition occurred little on cotton during wet cleaning, but showed a high rate for nylon. However, when the two types of fabric were dry cleaned, redeposition occurred on both types. Third, the fill power of duck-down is very affected by the type of washing. Resilience is the best in wet cleaning; and in dry cleaning, petroleum solvents showed a higher resilience when as compared to silicone solvents. Last, the level of fabric damage to cotton fabrics is highly influenced by the type of washing. Wet cleaning damages cotton fabrics significantly more than dry cleaning. For dry cleaning, petroleum solvents damage these fabrics slightly more than silicone solvents. In conclusion, the type of soil must initially be identified to determine the optimal type of washing. Special caution is required when textiles with particulate soil and nylon are washed. When considering the resilience of duck-down clothing, wet cleaning is more appropriate than dry cleaning. Dry cleaning, especially when using silicone-based solvents, is more suitable than wet cleaning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clothing.

목재와 도자 소재의 융합적 접근에 의한 오브제 기능의 가구 연구 (A study on Furniture Design as Object by Fusion Approaching with Wood and Ceramics)

  • 정용현;최경란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19권
    • /
    • pp.601-61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심미적 기능의 오브제로서의 공예와 공간에서 실용적 기능으로서의 소재를 융합한 가구디자인으로 공간에서의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기 위한 시도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가구디자인은 목재와 도자 소재의 융합적 시도로서 그것이 가진 가치와 가능성을 보여준다.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도자인 예술 분야와 목공이라는 디자인 분야의 다른 재료 및 소재의 혼합과 연결되어 있다. 도자로 제작된 다리와 월넛 나무로 제작된 상판의 전혀 다른 소재가 어우러지도록 융합되어 제작한다. 직접 가구를 제작함에 있어 도자기가 쌓아진 형식을 차용한 도자 다리를 제작하여 시각적으로 제한된 기존 가구디자인과 차별된 디자인을 창출하고, 흙과 유약에서 보이는 색감과 질감으로 나무에서 얻을 수 없었던 색다른 느낌을 보여주어 가구와 그것이 놓인 공간의 신선한 어울림을 기대한다. 포스트모던 이후 디자인과 예술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가구 상판에 기능과 형상을 자유롭게 조화시킬 수 있는 개념의 현대의 다양성 그리고 가구와 오브제와의 역할에 대한 경향을 고려한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UHPC 비정형 패널 제작 시 수화열에 의한 PCM 거푸집의 형상오차 분석 (Evaluation of Shape Deviation in Phase Change Material Molds Subjected to Hydration Heat During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Free-form Panel Fabrication)

  • 김홍연;차재혁;윤종영;김성진;이동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1-260
    • /
    • 2023
  • 비정형 건축물은 외부면이 다양한 곡선이기 때문에 비정형 거푸집은 맞춤제작되어 사용된다. 비정형 거푸집 제작에 있어 재활용이 가능한 Phase Change Material(PCM)과 곡률구현에 용이한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UHPC)가 사용된다. 그러나 PCM은 약 58~64℃가 융점이며, UHPC의 수화열로 PCM 거푸집이 손상될 수 있어 실험을 통해 형상을 확인한다. 실험은 제작한 PCM 거푸집에 Silicone sheet 3mm를 설치한 (A)와 설치하지 않은 (B) 거푸집에 UHPC를 타설한다. 실험결과 (A) 3.793mm, (B) 5.72mm가 측정되었으며, (B) 거푸집이 수화열에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초고강도 비정형 패널 및 PCM 거푸집 제작 관련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Mastication에 依한 Polystyrene의 機械的 分裂 (第2報). 廢 Polystyrene 樹脂의 再生利用에 關한 基礎的 硏究 (Mechanical Degradation of Polystyrene by Mastication (II). Basic Studies on Recovery of Waste Polystyrene)

  • 정기현;김국중;김상대
    • 대한화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86-393
    • /
    • 1975
  • Roll을 사용한 mastication에 의한 polystyrene(단독시와 SBR과의 blend시)의 기계적분열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olystyrene-SBR blend계에서 polystyrene 성분의 MWD는, original polystyrene속에 존재하는 고분자량의 polymer 분자가 기계적으로 절단되어 소멸하여 보다 낮은 분자량의 polymer 분자를 생성하며, 분포곡선의 정점은 분열이 진행함에 따라 저분자량역으로 이동하고 점차 높은 정점을 가지는 폭이 좁은 곡선으로 되어 최종적으로 비교적 균일한 polymer로 됨을 실증하였다. 2. Polystyrene chain의 절단수는 roll에 의한 mastication time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140, 150 alc $160^{\circ}C$에서 각각 100분간 mastication시킨 처리물에서는 $2.36{\times}10^{20}개,\;1.76{\times}10^{20}개\;및\;1.52{\times}10^{20}$개의 분열 polymer가 생성하였다. 3. Polystyrene의 mechanical degradation의 분열속도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감소되었고, -8.7kcal/mole이란 부(負)의 활성화에너지를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이 경우의 mechanical degradation은 활성화에너지를 기계적으로 공급받는 화학적 process임을 실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