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eeding risk

검색결과 384건 처리시간 0.033초

실험적 폐색전증에서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의 투여방법이 혈액응고기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osing Regimen of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on Blood Coagulation System in Experimental Pulmonary Embolism)

  • 정희순;김호중;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5호
    • /
    • pp.474-482
    • /
    • 1993
  • 연구배경 :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는 생리적인 플라스미노겐활성체이므로 혈전의 섬유소에 결합된 플라스미노겐만을 활성화시키는 특이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폐색전증에서 치료목적으로 대량투여하는 경우에도 섬유소에 대한 특이성이 유지되어 전신적인 출혈경향을 유발하지 않는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또한 동량의 약제를 투여하더라도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의 투여시간에 따라 혈전의 용해효과가 달라진다고 보고되었지만, 이러한 경우에 혈액의 응고기전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는 명확하지 않아 이를 규명해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실험견에 자가혈병으로 대량의 폐색전증을 유발시킨후 대조군은 특이치료없이, $t-PA_{15}$ 군은 15분동안, 그리고 $t-PA_{180}$군은 3시간에 걸쳐,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를 체중(kg)당 1mg씩 정맥투여하였다. 그리고 실험과정중 시간에 따라, 실험동물의 혈색소치, 적혈구용적, 백혈구수, 혈소판수, 프로트롬빈시간, 활성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섬유소원농도, 트롬빈시간, 플라스미노겐 및 ${\alpha}_2$-항플라스민의 농도, 제 V 및 VIII응고인자의 농도, 그리고 섬유소원분해산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1) 일반혈액검사소견근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실험과정중 혈색소치와 적혈구용적 및 혈소판수는 감소하고, 백혈구수는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프로트롬빈시간, 활성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및 트롬빈시간은 $t-PA_{15}$군이 치료후 15분~60분 사이에, $t-PA_{180}$군은 치료후 30분~180분 사이에 연장되었다가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3) 섬유소원농도 ${\alpha}_2$-항플라스민의 농도, 제 V 및 VIII응고인자의 농도는 $t-PA_{15}$군 및 $t-PA_{180}$ 군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t-PA_{15}$군은 $t-PA_{180}$군에 비해 조기에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고 플라스미노겐의 농도는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4) 섬유소원분해산물의 농도는 폐색전후 증가하였고, $t-PA_{15}$군 및 $t-PA_{180}$ 군에서는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 투여후 더욱 증가하였는데 $t-PA_{180}$군에서 더 현저하였다. 결론 : 폐색전증에서 치료목적으로 대량의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를 투여하는 경우, 약제의 투여시간이 180분일때보다는 투여시간이 15분일때 출혈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따라서 동량의 조직형플라스미노겐활성체를 투여하더라도 약제의 투여시간을 달리함으로써 출혈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흉골절개술을 이용한 개심술 후 발생한 흉골 감염 및 종격동염의 위험인자 분석 (Analysis of Risk Factors in Poststernotomy Sternal Wound Infection and Mediastinitis after Open-heart Surgery)

  • 장원호;박한규;김현조;염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8호
    • /
    • pp.583-589
    • /
    • 2003
  • 흉골절개술 후에 발생하는 흉골 감염과 종격동염의 유의한 위험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지난 2년간 본원에서 개심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법 뜻 대상: 2001년 3월부터 2003년 3월까지 본원 흉부외과에서 정중 흉골 절개술을 이용하여 개심술을 시행받은 123명의 환자 중 12명의 환자에게서 흉골 감염 및 종격동염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대한 위험인자들을 분석하였다. 환자들을 연령, 성별, 당뇨, 만성 폐쇄성 폐질환, 비만의 유무로 나누었고 입원 후 수술까지의 기간, 수술 술기의 종류, 응급 수술의 여부, 재수술의 여부. 수술 시간, 체외 순환 시간, 수혈량, 수술 후 출혈량, 응급 재개흉의 여부, 흉골 재봉합의 여부, 기계 호흡 보조 시간, 그리고 중환자실 재원일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환자의 나이, 성별, 당뇨의 유무, 수술 술기의 종류, 재수술의 여부, 수술 시간이나 체외 순환 시간, 그리고 입원 후 수술까지의 기간 등은 창상 감염과는 유의한 연관이 없었다. 그 외 다른 변인들은 p-value가 .05 이하로 유의한 인자로서 나타났다. 조기에 응급 재개흉을한 경우, 흉골의 재봉합, 환자가 비만이거나 만성 페쇄성 폐질환을 진단 받은 경우, 수술 후 출혈량과 수혈량, 기계호흡 보조시간과 중환자실 재원일수 등의 나머지 인자들은 수술 후 감염과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 결론: 창상오염은 수술 전, 수술 중 그리고 수술 후에 발생할 수 있으며, 수술 후 환자에게 부수적인 수술적 처치를 시행하는 것은 환자의 수술 후 창상 감염에 유발 인자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위종양성 병변에 대한 내시경 절개 점막하 박리법의 임상적 유용성 (Clinical Availability of Endoscopic Incision and Submucosal Dissection for the Treatment of Gastric Neoplasms)

  • 정윤호;은수훈;조수영;정인섭;유창범;이준성;이문성;김부성;심찬섭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2호
    • /
    • pp.76-83
    • /
    • 2006
  • 목적: 최근 위선종 및 조기위암에 대해 새로운 내시경적 치료법인 내시경 절개 점막하 박리법은 기존의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보다 더 넓은 적응증을 가지고 있지만 시술의 난이도가 높고 합병증의 위험이 있어 보편적으로 시술되고 있지 않다. 이에 내시경 절개 점막하 박리법으로 치료한 위의 종양성 병변의 치료 성적을 바탕으로 그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시경 절개 점막하 박리법을 시행한 164명의 환자들의 179개의 위종양성 병변에 대하여 완전절제 및 일괄절제 여부, 합병증, 재발 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179개의 병변은 조기위암 126예(70.3%), 선종 42예 (23.4%)였다. 병변의 침윤 깊이를 확인할 수 있었던 조기위암 420예는 각각 점막1층(sm1) 0.8% (1/120), 점막2층(m2) 38.3% (46/120), 점막3층(m3) 25% (57/120), 점막하1층(sm1) 11.7% (14/120), 점막하2층(sm2) 1.6% (2/120)이었다. 종양의 일괄절제율과 완전절제율은 각각 96.0%, 85.2%였다. 합병증은 천공 8예(4.4%), 출혈 38예(21.2%)가 발생하였으나, 천공 1예를 제외한 나머지는 비수술적으로 치료가 가능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내시경 절개 점막하 박리법은 위종양성 병변의 근치적 치료에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술기이고, 향후 보다 장기간의 추적관찰을 통해 그 유용성이 검증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소아에서 복막투석도관 삽입시 복강경을 이용한 방법과 기존의 수술법에 따른 초기 합병증 발생의 차이 (Comparison of Early Complications after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Implantation by Laparoscopic Surgery and Conventional Surgery in Children)

  • 정수인;이현영;이철구;서정민;이석구;김수진;곽민정;진동규;백경훈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1권1호
    • /
    • pp.51-58
    • /
    • 2007
  • 목적 : 복강경을 이용한 복막투석도관 삽입술은 직접 복강 내를 들여다보며 시술할 수 있어 위치 선정이 쉽고, 조직 손상이 적으며 합병증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소아에서의 경험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에서 복강경을 이용한 복막투석도관 삽입술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삼성서울 병원에서 31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복강경을 이용하여 복막투석도관 삽입술을 시행한 21례와 고식적 수술 방법으로 투석도관을 삽입한 16례의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복막투석관 삽입 후 첫 2개월간 투석도관의 누출, 폐쇄, 삽입 부위의 감염, 위치 이동 등 복막투석관 삽입과 관련된 합병증에 대해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고식적 수술을 받은 군(16례)에서 1례(6.3%)에서 수술 직후 심한 출혈로 재수술을 받았고, 복막액의 누출은 2례(12.5%) 있었으며,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되었다. 삽입 부위 감염은 없었으나, 2례(12.5%)에서 복막염이 발생하였다. 투석도관의 이동으로 인한 기능부전이 3례 있었고 이중 2례에서 재수술을 받았으며, 1례는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되었다. 복강경 수술을 받은 군(21례)에서 2례(9.5%)에서 투석액의 누출이 있었고,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되었다. 삽입 부위의 감염은 없었고, 복막염이 2례(9.5%)에서 있었다. 1례에서 투석도관의 막힘이 있었고, 이 경우는 기존의 고식적 수술로 투석관 삽입 후 투석관 이동으로 재 삽입 후 불응성 복막염으로 투석관을 제거한 뒤 복강경 수술을 받은 증례였다. 투석도관의 이동은 없었다. 두 군의 합병증의 발생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소아에서 복강경적 투석도관 삽입술을 시행한 경우, 1세 미만의 소아에서도 시술이 가능하였으며, 기존의 수술법에 비해 합병증이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절개범위를 더 넓히지 않으면서도 장간막 절제 및 투석도관의 고정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추후 투석도관의 이동이나 폐쇄의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따라서 소아에서 복막투석도관 수술 시 복강경적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복막 투석을 위해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 PDF

초고성능 강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충전슬러리 최적배합 도출 (Optimum Mix Proportions of In-fill Slurry for High Performance Steel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

  • 김승원;박철우;김성욱;조현명;전상표;주민관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196-201
    • /
    • 2014
  • 최근 국내외 정세의 변화와 함께 예상하지 못한 테러 등의 극한의 하중의 발생가능성이 증대하고 있다. 또한 국외 건설시장의 활성화와 함께 몇몇 중동국가를 포함하여 정세가 불안정한 국가로의 진출이 잦아지고 있어 신규 또는 기존 사회기반시설 및 건축물의 물리적인 안전성이 많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콘크리트나 강재로는 저항이 불가한 폭발 또는 충격하중의 저항성이 건설재료로서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폭발 및 충격하중에 저항하기 위한 초고성능 강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고혼입량의 강섬유를 우선 도포하고 내부를 충전하기 위한 슬러리의 최적배합의 결정을 위한 연구이다. 이러한 고혼입량의 강섬유의 내부를 충전하기 위한 슬러리의 기초특성을 분석하고자 재료혼입을 변수로 하여 컨시스턴시, 흐름도, J-Fiber Penetration, 블리딩 및 레올로지 특성 및 역학적 특성으로 압축강도와 휨강도를 측정하였다.

동형접합성 단백 C 결핍 환아의 치과적 치험례 (DENTAL TREATMENT OF A PEDIATRIC PATIENT WITH HOMOZYGOUS PROTEIN C DEFICIENCY: A CASE REPORT)

  • 윤미;김승오;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7-212
    • /
    • 2010
  • 단백 C 결핍증은 항응고인자인 단백 C의 결핍으로 혈전 색전증의 위험성이 높다. 선천성 단백 C 결핍증 중 동형접합성 단백 C 결핍증은 단백 C의 활성도가 측정되지 않을 정도로 낮고 1/25만~50만의 발생 빈도를 가지는 희귀한 질환이다. 동형접합성 단백 C 결핍증의 주요 증상은 자반성 및 괴사성 피부 병변, 반상출혈, 실명, 중추신경계의 혈전증 등이다. 본 증례는 동형접합성 단백 C 결핍증인 만 4세 여아로 치아의 전반적인 우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본 환아는 와파린 복용 중이었고 치과치료시 합병증의 예방을 위해 소아청소년과에 협진 의뢰하였다. 와파린 복용 중단 시 혈전으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이 예상되어 와파린을 적절하게 (INR 3~5) 복용하되 치과 치료 중 과다 출혈 시 신선냉동혈장으로 조절할 것을 권고받았다. 이 환아는 실명을 동반한 중증 장애 아이로 행동조절이 어려웠고 과다 출혈시 신속한 처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전신마취 하에 치과치료를 시행하였다. 저자는 치아의 전반적인 우식을 주소로 내원한 만 4세 단백 C 결핍 환아에 대하여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를 시행하였으며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Osler-Rendu-Weber 증후군 환자에서 색전요법을 이용한 다발성 폐동정맥루 치험 1예 (Treatment of Multiple 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s with Therapeutic Embolization in Osler-Rendu-Weber Syndrome)

  • 김재학;최택희;남승모;장재진;박연희;허남현;최두환;이병희;김유철;이춘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914-921
    • /
    • 1997
  • 저자들은 최근 가족력은 없지만 폐동정맥루와 간동맥혈관 조영술 및 위점막에서 관찰된 혈관기형을 동반한 Osler-Rendu-Weber 증후군 1예에서 폐동정맥루에 대해 금속코일을 이용한 색전요법을 시행하여 특별한 합병증 없이 증상의 개선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Traumatic Shock Patients from the Korean Society of Traumatology

  • Jung, Pil Young;Yu, Byungchul;Park, Chan-Yong;Chang, Sung Wook;Kim, O Hyun;Kim, Maru;Kwon, Junsik;Lee, Gil Jae;Korean Society of Traumatology (KST) Clinical Research Group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3권1호
    • /
    • pp.1-12
    • /
    • 2020
  • Purpose: Despite recent developments in the management of trauma patients in South Korea, a standardized system and guideline for trauma treatment are absent. Methods: Five guidelines were assessed using the 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and Evaluation II instrument. Results: Restrictive volume replacement must be used for patients experiencing shock from trauma until hemostasis is achieved (1B). The target systolic pressure for fluid resuscitation should be 80-90 mmHg in hypovolemic shock patients (1C). For patients with head trauma, the target pressure for fluid resuscitation should be 100-110 mmHg (2C). Isotonic crystalloid fluid is recommended for initially treating traumatic hypovolemic shock patients (1A). Hypothermia should be prevented in patients with severe trauma, and if hypothermia occurs, the body temperature should be increased without delay (1B). Acidemia must be corrected with an appropriate means of treatment for hypovolemic trauma patients (1B). When a large amount of transfusion is required for trauma patients in hypovolemic shock, a massive transfusion protocol (MTP) should be used (1B). The decision to implement MTP should be made based on hemodynamic status and initial responses to fluid resuscitation, not only the patient's initial condition (1B). The ratio of plasma to red blood cell concentration should be at least 1:2 for trauma patients requiring massive transfusion (1B). When a trauma patient is in life-threatening hypovolemic shock, vasopressors can be administered in addition to fluids and blood products (1B). Early administration of tranexamic acid is recommended in trauma patients who are actively bleeding or at high risk of hemorrhage (1B). For hypovolemic patients with coagulopathy non-responsive to primary therapy, the use of fibrinogen concentrate, cryoprecipitate, or recombinant factor VIIa can be considered (2C). Conclusions: This research presents Korea's first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patients with traumatic shock. This guideline will be revised with updated research every 5 years.

Retrospective Analysis on 76 Cases of Cereb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s Treated by Gamma Knife Radiosurgery

  • Choe, Jae-Gyun;Im, Yong-Seok;Kim, Jong-Soo;Hong, Seung-Chyul;Shin, Hyung-Jin;Lee, Jung-Il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3권6호
    • /
    • pp.265-269
    • /
    • 2008
  • Objective : Outcome of gamma knife radiosurgery (GKS) in the consecutive 100 cases with cereb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s (AVMs) was analyzed. Methods : Data from initial 100 patients treated with GKS in the authors' institute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Spetzler-Martin grade at diagnosis were I in 18 patients, II in 27, III in 36, IV in 11, and V in 8. Thirty-five patients had experienced previous bleeding, 27 patients presented with seizure, and 31 patients presented with headache. The mean volume of the lesion was $4.3\;cm^3\;(0.1-29.3\;cm^3)$. The median radiation dose delivered to the margin was 20.0Gy (13-32Gy). Mean follow-up period was 37.5 months (5-63 months). Results : Angiographic follow-up was performed in 48 patients at least 2 years after GKS. Sixteen patients were lost in follow up following 2 years from GKS. Twenty-eight of 48 patients (58%) showed complete obliteration and 20 patients (42%) showed partial obliteration. Seven patients presented with post-GKS hemorrhage. Adverse radiation effect (ARE) was observed at follow-up MRI in 25 of 76 patients, and it was symptomatic in 5 patients. Complete obliteration was confirmed in 24 of 31 (77%) patients with volume less than $4\;cm^3$, meanwhile only 4 of 17 (24%) patients with volume of $4\;cm^3$ or more showed complete obliteration. Complete obliteration rate was 67% with 20Gy or higher marginal dose, 63% with 15-20 Gy, and 17% with less than 15Gy. Conclusion : GKS can provide high rates of obliteration with acceptable risk of morbidity in a subgroup of small AVMs. However, overall outcome in whole spectrum of AVMs, in which large proportion of cases have unfavorable characteristics for radiosurgery, is much worse. More effective therapeutic strategy needs to be developed for large AVMs that are difficult to be managed with current available treatment modalities.

Surgical Experience of Ascending Aorta and Aortic Valve Replacement in Patient with Calcified Aorta

  • Chung, Sur-Yeun;Park, Pyo-Won;Choi, Min-Suk;Cho, Seong-Ho;Sung, Ki-Ick;Lee, Young-Tak;Jeong, Jae-Ha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5권1호
    • /
    • pp.24-29
    • /
    • 2012
  • Background: The conventional method of aortic cross-clamping is very difficult and increases the risk of cerebral infarct due to embolism of the calcified aorta in these patients. Accordingly, we analyzed our experience with 11 cases of ascending aorta and aortic valve replacement with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9, 11 patients had ascending aorta and aortic valve replacement with hypothermic arrest at our hospital.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Results: There were 5 males and 6 females, with a mean age of 68 years (range, 44 to 82 years). Eight patients had aortic stenosis, and 3 patients had aortic regurgitation. An aortic cannula was inserted into the right axillary artery in 3 patients and ascending aorta in 6 patients. Two patients with aortic regurgitation had a remote access perfusion catheter inserted though the right femoral artery. The mean cardiopulmonary bypass time was 180 minutes (range, 110 to 306 minutes) and mean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time was 30 minutes (range, 20 to 48 minutes). The mean rectal temperature during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was $21^{\circ}C$ (range, $19^{\circ}C$ to $23^{\circ}C$). No patient had any new onset of cerebral infarct or cardiovascular accident after surgery. There was no hospital mortality. Early complications occurred in 1 patient who needed reoperation due to postoperative bleeding. Late complications occurred in 1 patient who underwent a Bentall operation due to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32 months (range, 1 month to 8 years) and 1 patient died suddenly due to unknown causes after 5 years. Conclusion: Patients with a calcified aorta can be safely treated with a technique based on aorta and aortic valve replacement under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