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stogenic respons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초

폐흡충 항원 및 Phytohemagglutinin에 의한 마우스 비장 림프구의 아세포화(Blastogenesis)반응 (Blastogenesis of splenic Iymphocytes to specific antigens and PHA in Paragonianus westermani infected mice)

  • 민득영;신명헌;최령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1호
    • /
    • pp.43-48
    • /
    • 1992
  •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피낭유충을 마우스에 감염시킨 후 in vitro상에서 비장 림프구에 폐흡충 항원, phytohemagglutinin(PHA) 및 혈청 첨가시 림프구 아세포화 반응을 관찰하였다. PHA로 자극시킨 감염 마우스의 비장 림프구는 비감염군에 비해 감염 1 주 후에 평균 53.6%의 유의한 증식 억제를 관찰하였고, 폐흡충 성충항원으로 자극시킨 경우 감염 마우스의 비장 림프구의 증식은 감염 1 주 후부터 6 주까지 비감염군에 비해 중가되었으며 특히 감염 1 주와 4 주 후에는 각각 평균 200.9% 및 280.2%의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또한 피낭유충 항원으로 감염 마우스의 비장 림프구를 자극시에도 비감염군의 림프구의 증식에 비해 전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특히 감염 4 주 째에는 평균 180.5%의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폐홉충에 감염된 마우스의 감염 4 주 째 혈청을 PHA로 자극시킨 비감염 마우스 비장 림프구에 첨가하였을 때 유의한 수준의 증식의 억제를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폐흡충 감염 마우스에서 림프구가 세포 매개성 면역에 관여하며 감염 혈청이 PHA에 대한 T 림프구의 증식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실험적 뇌막수염에 있어 Naegleria fowleri 항원에 대한 세포매개성 면역 반응 (Blastogenic responses of splenic Iymphocytes to Naegleria fowleri Iysates and T-cell mitogen in mice with primary amoebie meningoencephalitis.)

  • 박광민;류재숙;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1호
    • /
    • pp.1-6
    • /
    • 1987
  • N. fowleri를 감염시키고 그 경과에 따른 숙주의 면역기능 변동을 알아보고자 마우스에 N. fowleri를 감염시키고 그 경과에 따른 T임파구 기능과 혈청내 항체가를 관찰하였다. T임파구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장세포를 배양할 때 mitogen으로 con. A와 N. fowleri lysate를 첨가하고 42시간 배양후 $methyl-[^3H]-thymidine$을 넣어 비장세포에 uptake되는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혈청내 항체가는 효소표식 면역검사법(ELISA)으로 측정하였다. 실험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T임파구의 기능은 사용된 mitogen con. A와 N. fowleri lysated에 관계없이 감염 후 3일부터 감소되어 11일까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감염후 15일에는 N. fowleri lysate를 사용하였을 경우 T임파구 기능이 계속 감소되어 있었으나 con. A를 첨가하였을때 정상대조군과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Mitogen 투여에 대한 잉어 순환혈액 림프구의 반응 (The response of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against in vivo stimulation with mitogen in carp, Cyprinus carpio)

  • 조미영;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5-109
    • /
    • 1996
  • 잉어의 순환혈액 림프구의 기능적 분화 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포유류를 기준으로한 T 림프구 또는 B 림프구 mitogen인 Con A, PHA 및 LPS와 비특이적 면역 증강제로 Mycobacterium bovis의 약독 균주인 BCG를 각각 잉어, Cyprinus carpio의 복강 내로 주사한 후 시간 경과별 순환혈액 림프구의 수적인 변화와 DNA량의 변화를 조사하고 로젯형성 반응을 실시하였다. mitogen 투여 결과 림프구수와 DNA량 모두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mitogen 투여 후 1주와 2주째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BCG와 Con A 투여구가 PHA나 LPS 투여구에 비해 자극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었다. 또, 동일한 mitogen의 반복 투여에 비해 T cell과 B cell mitogen을 교차 투여한 실험구의 림프구 자극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로젯형성 반응 결과 BCG와 PHA 반복 투여구의 로젯형성 세포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잉어의 순환혈액내에 기능적으로 분화된 서로 다른 림프구가 존재한다고 사료된다.

  • PDF

Naegleria 수막뇌염에 있어 세포매개성 면역에 관한 실험적 연구 (Imrnunodepression during experimental Naegzeria meningoencephalitis in mice)

  • 임경일;유재숙;이근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2호
    • /
    • pp.195-198
    • /
    • 1987
  •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뇌염을 일으키는 Naegleria fowleri를 마우스에 감염시키고 그 급성기에 일어나는 세포 매개성 면역 반응 특히 T림프구 mitogen인 con. A 및 B림프구 mitogen인 lipopolysaccharide에 대한 마우스 비장세포의 배자 발생 정도를 관찰하였다. N. fowleri에 감염된 마우스에서 T림프구의 기능은 관찰기간인 감염 14일후까지 떨어져 있어다. B림프구의 기능도 감염 3일후부터 14일후까지 계속 떨어져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N. fowleri에 감염된 마우스의 혈청내 형광항체가는 1 : 4 내지 1 : 32였다. N. fowleri에 감염된 마우스에서 그 급성기에 세포 매개성 면역이 저하되어 있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실험적 Naegleria 감염에 있어서 세포매개성 면역에 관한 연구 (Studios on the cell-mediated immunity in experimental Nnegleria spp. infections)

  • 이순곤;신호준;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3호
    • /
    • pp.177-186
    • /
    • 1989
  • 병원성이 강한 Naegleria fowleri ITMAP 359, 병원성이 약한 Naegleria jadini 0400, 비병원성인 Naegleria gruberi EGB를 ICR마우스에 각각 감염시켰을 때 세포매개 성 면역반응의 차이를 관찰하고 이들 아메바를 감염시킨 후 경과된 감염 시간에 따른 세포매개 성 면역반응과 혈청내 항체가의 변동을 관찰하였다. N. fowleri를 감염시킨 마우스의 사망률은 75.7%, N. jadini를 감염시킨 실험군에서는 6.2%, N. gruberi 감염에 의한 마우스의 사망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지연형 과민반응은 N. fowleri, 감염시에 감염 초부터 대조군에 비해 반응이 증가하였으나 7일 후에는 감소하였다. N. jadini 감염 시에도 감염 후 1일째부터 과민반응이 증가하였으며 감염기간이 지나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또 N. gruberi 감염시에는 대조군과 비교할 때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7림프구의 아세포화 정도는 N. fowleri 감염시 감염 10일 후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N. jadini에 감염된 경우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고, N. gruberi 감염시에는 감염 후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B림프구의 아세포화 정도는 N. fowleri 감염군, N. gadini 감염군 및 N. gruberi 감염군에서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N. fowleri에 감염된 마우스의 혈청내 항체가는 감염 7일 후부터 증가하였고, N. jadini 감염시에는 14일 후 증가하였으며, N, gruberi게 감염된 마우스의 항체가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 PDF

PHA 및 conditioned medium 이 소의 순환혈액 림프구의 유약화와 rosette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A and conditioned medium on blastogenesis and rosette formation of bovine circulating blood lymphocytes)

  • 강세웅;윤창용;송희종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01-306
    • /
    • 1994
  • This study was planned to estimate the activity of bovine circulating blood lymphocytes using phytohemagglutinin-M(PHA) known as T cell mitogen. Bovine circulating blood mononuclear cells(MNCs) was separated, and cultured with or without macrophage($PHA^+/M{\phi}^+$ or $PHA^+/M{\phi}^-$) in conditioned medium which stimul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 of PHA(0, 5, 10, 15 and $20{\mu}g/ml$ in medium), and then investigated the blastogenic response and rosette formation of lymphocytes. Blastogenic rate(BR) was especially increased in PHA concentration(10 and $15{\mu}g/ml$) of $PHA^+/M{\phi}^+$ group and their BR were $41.5{\pm}6.8%$ and $44.4{\pm}8.9%$, respectively and BR in PHA concentration(15 and $20{\mu}g/ml$) of $PHA^+/M{\phi}^-$ group was $32.8{\pm}6.2%$ and $31.4{\pm}4.6%$, respectively. BR of lymphocytes was more increased in $PHA^+/M{\phi}^+$ than $PHA^+/M{\phi}^-$ group when these cells were stimulated by PHA. Rosette forming rate(RFR) of lymphocytes to SRBC highly increased when SRBC was treated with AET and/or dextran, respectively. On the orther hand, RFR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in $PHA^+/M{\phi}^+$ and $PHA^+/M{\phi}^-$ group than in control group, but when compared with two groups, statistical significancy was recognized only in PHA concentration($15{\mu}g/ml$, p<0.026) of $PHA^+/M{\phi}^+$ group.

  • PDF

고사리 단백다당(Pteridium aquilinum Glycoprotein, PAG)이 마우스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Glycoprotein Isolated from Pteridium aquilinum on the Immune Function of Mice)

  • 박현애;권미향;한형미;성하진;양한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76-982
    • /
    • 1998
  • 고사리 수추출물에서 분리된 단백다당획분(Pteridium aquilinum glycoprotein, PAG)이 마우스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BALB/C 마우스의 복강내에 14일간 반복 투여한 후 마우스의 체중 및 면역장기의 무게변화를 관찰하면서 마우스 항체생성능과 비장세포 증식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PAG를 용량별$(0{\sim}500{\;}{\mu}g/kg)$로 투여한 결과 마우스 체중변화와 면역장기에는 커다란 효과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HEL에 대한 항체생성능에 있어서는 $500{\;}{\mu}g/kg$ 투여시 뚜렷한 증가를 보였다. 시험물질을 투여한 마우스로부터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phytohemagglutinin (PHA) 혹은 lipopolysaccharide (LPS)에 대한 비장세포 증식능을 측정한 결과, PAG 투여군에 있어서는 PHA와 LPS유도 비장세포 증식능이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되었음이 관찰되었다. 비장세포 증식능에 대한 in vitro 시험결과 LPS에 대한 반응증가는 단백다당획분(PAG)의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작용에 의하며, PHA에 대한 반응증가는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작용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PAG의 항체생성능 증가에 기여하는 활성부위를 규명하기 위하여 periodate산화 및 pronase소화를 실시하여 얻어진 각각의 조단백, 조다당분들과 고사리 수추출물에서 정제된 정제다당획분이 항체생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시험결과 조다당투여군과 정제다당 투여군에서는 항체생성능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periodate 산화물인 조단백 투여군에서 뚜렷한 항체생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실험결과 PAG의 단백성분이 항체생성능 증가에 있어서 주요 활성 본체임을 알 수 있었다., 660 mmHg 및 560 mmHg 압력 중 560 mmHg의 감압 하에서 5회 반복 수세하는 것이었다. 분자구조 변형에 의한 것이라 사료된다./TEX>일 경에 점질물과 산패취가 발생하여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였고, $-20^{\circ}C$ 저장구는 저장 100일 까지 상품으로서 가치를 유지하였다.등의 네 가지 요인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효과를 요인간으로 비교하면 한일 양국이 함께 가격의 효과가 가장 작다. 그러나 그 이외 요인별 효과의 상대적 중요성은 양국간에 다른데 한국은 소비지출의 효과가 출생연도나 연령 효과보다 크지만 일본은 경제적 요인인 소비지출보다 세대주의 출생연도나 연령 등의 비경제적 요인의 효과가 크다.가능한 전분으로, 완전한 결정성구조를 가진 전분이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147.33 peak area%인 것과 유사(類似)하게 높았다.tarrow}6$보다 $4{\beta}{\rightarrow}8$의 결합방식이, 그리고 procyanidin 류에서는 gallate를 갖는 물질이 이를 함유하지 많은 물질보다 더욱 높은 ACE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hydroxyl 기가 많을수록 효소 저해효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chocolate의 주원료인 cacao bean의 polyphenol 성분 또한 녹차 등에서 볼 수 있는 생리활성효과에 손색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이러한 기능성에 기초하여 chocolate, 음료 등의 식품이나 의약품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산업적 응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대장균군이 역시 난각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분리되었고, 난황(Yolk)에서는 극히 낮은 수준의 세균오염도를 보였다. 다양한 동물종유래 S. aureus 균주들의 유전학적 분석목적에 가장 신뢰도 높고 감별능력이

  • PDF

Maternal photic regulation of immune status in neonates of Indian palm squirrel Funambulus pennanti

  • Bishnupuri, K.S.;Haldar, C.;Singh, R.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472-474
    • /
    • 2002
  • Till date the phenomenon of maternal transfer of photic information was reported to regulate the fetal/neonatal growth, however its influence on neonatal immune system is still an enigma. In the present study, we observed an increase in maternal plasma melatonin level under short day length (SOL) condition with a consequent decrease in TLC and LC in their respective neonates. However, a significant decrease in maternal plasma melatonin level was noted under constant darkness (DD) with an increase in TLC and LC of their neonates. The blastogenic response (BGR) to Con A of splenocytes exhibi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neonates of SDL females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eonates of DD females. Hence, it appears that the increase in maternal plasma melatonin under SOL condition transmitted information to decrease the immune status. Continuous exposure of females to darkness (DD) negatively regulated the maternal pineal gland activity thereby decreasing their plasma melatonin level. This information was transmitted for elevation of immune status in neonates, so that they exhibit better growth and sexual maturation. Therefore, we may suggest that the maternal photic information transmitted either prenatally through placenta or postnatally via the milk regulate the hormonal profile of Melatonin to regulate the immune status of neonates in order to influence their growth and sexual maturation.

  • PDF

Immunomodulatory Effects of a Methanol Extract from Opuntia ficus indica on Murine Splenocytes

  • Ahn, Gin-Nae;Kim, Jin-Hee;Park, Eun-Jin;Lim, Yoon-Kyu;Jeon, You-Jin;Jee, Young-He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316-1321
    • /
    • 2009
  • Multiple beneficial properties of Opuntia ficus indica (OPF) are well established.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immunological role of OPF extract (OPFE) on murine splenocytes. OPFE dose- and time-dependently enhanced the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without cytotoxicity. Our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number of $CD4^+$ helper T cells and CD45R/$B220^+$ pan B cells increased markedly, but not $CD8^+$ cytotoxic T cells or $CD11b^+$ granulocytes/macrophages. In addition, OPF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duction levels of T helper (Th) 1 type cytokines, interferon (IFN)-$\gamma$,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lthough had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ose of interleukin (IL)-4, a Th2 type cytokine in concanavalin A (Con A)-stimulated blastogenic cells. Furthermore, OPFE alone strongly increased IL-4 production and decreased TNF-$\alpha$ production even in the absence of Con A.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OPFE enhances immunity by regulating the pro- and anti-inflammatory response, indicating that this extract exerts a marked immunomodulatory effect, confirming its usefulness as therapy for immune-related diseases.

Naegleria fowleri 감염 마우스에 있어서 interleukin-2 생성 및 T 림프구 아형변동 (Interleukin-2 production and alteration of T cell subsets in mice infected with Naegleria fowleri)

  • 유철주;신주옥;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3호
    • /
    • pp.249-258
    • /
    • 1993
  •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뇌염을 야기하는 Naegleria fowleri를 사망율에 따라 $1{\;}{\times}{\;}10^4$개 아메바 영양형 접종군과. $1{\;}{\times}{\;}10^5$개 아메바 영양형 접종군으로 나누어 비장세포를 비특이 mitogen인 Phytohemagglutinin(PHA)과 특이항원인 N. fowleri Iysates로 자극하여 T 세포의 interleukin-2 생성정도를 측정하고 T 림프구의 아형 및 아세포화정도를 측정한 결과 N.fowleri 아메바 영양형 $1{\;}{\times}{\;}10^5$개 접종군에서의 마우스 사망율은 72.2%였으며 $1{\;}{\times}{\;}10^4$개 접종군에서의 마우스 사망율은 14.3%였다. 또한 IL릭 생성정도를 접종후 7, 14, 24일째 측정한 결과. 접종 후 14일째에는 두 실험군 모두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IL닉의 생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접종 후 24일째에는 두 실험군 모두에서 접종 후 14일째 보다는 증가하였으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비장세포내 T 림프구 아형의 변동은 전체 비장 림프구에 대한 $Thy-1.2^{+}{\;}T.{\;}L3T4^{+}{\;}T,{\;}Ly^{2+}{\;}T$ 세포는 N.fowleri아메바 영양형 $1{\;}{\times}{\;}10^5$개 접종군에서 접종 후 7일째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접종 후 14일째와 24일째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아메바 영양형 $1{\;}{\times}{\;}10^4$개를 접종시킨 실험군은 경과 일수에 관계없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장세포내 T 세포의 DNA의 분획을 관찰한 결과 두 실험군 모두에서 접종 후 7일째에 S phase 분획이 가장 높이 증가하였으며 접종 후 14일과 24일째에도 대조군에 비하여는 유의하게 증가하여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N.fowleri를 사망율을 기준으로 접종량을 달리하여 아메바 영양형 $1{\;}{\times}{\;}10^4$개 접종군과 $1{\;}{\times}{\;}10^5$개 접종군으로 나누어 접종하였을 때, 접종 후 7일을 전후하여 IL-2를 매개로 활성화되는 세포매개성 면역이 N.fowleri감염의 방어기작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아메바 접종 후 14일째에는 치명적인 수막뇌염으로 진행되어 비장세포의 IL-2의 생성능력이 매우 억제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IL-2 생성능력과 T 세포의 아세포화의 증가 및 T세포 아령의 수의 변동과는 잘 일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