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st media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5초

First Report of Leptosphaerulina saccharicola Isolated from Persimmon (Diospyros kaki) Tree Bark in Korea

  • Fulbert, Okouma Nguia;Ayim, Benjamin Yaw;Das, Kallol;Lim, Yang-Sook;Lee, Seung-Yeol;Jung, Hee-Young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3-18
    • /
    • 2019
  • A fungal strain, designated PTT-2, was isolated from the bark of the trunk of a persimmon (Diospyros kaki) tree in Cheongdo, Korea. The isolate showed morphological similarities with Leptosphaerulina saccharicola. Strain PTT-2 had more rapid growth on potato dextrose agar medium than on oatmeal agar, malt extract agar, and synthetic nutrient poor agar media, with colony sizes of 53.8 mm, 49.8 mm, 48.4 mm, and 28.1 mm after 7 days at $25^{\circ}C$ temperature, respectively. Strain PTT-2 produced ascospores, which had irregular wavy edges, oblong to ellipsoidal shape, hyaline appearance and $23.6{\times}10{\mu}m$ size. The black ascomata were developed on PDA medium, and asci were recorded. A BLAST search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TEF1-${\alpha}$ and RPB2 gene sequences revealed that strain PTT-2 showed more than 99% nucleotide similarity with a strain of Leptosphaerulina saccharicola previously reported from Thailand. A neighbor-joining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by concatenating the above-mentioned sequences, and showed that strain PTT-2 clustered in the same clade with L. saccharicola.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Leptosphaerulina saccharicola occurring in Korea.

우리 나라 식물병 발생예찰의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 of Plant Disease Forecasting System in Korea)

  • 김충회
    • 식물병연구
    • /
    • 제8권2호
    • /
    • pp.84-91
    • /
    • 2002
  • 우리 나라 식물병 예찰사업은 1947년 수원의 중앙농업기술원 기초연구과에서 수도 도열병균과 깨씨무늬병균의 분생포자 비산상황을 조사함으로써 비롯되었다. 국내 식물병 발생예찰은 국가에서 운용하는 200개 기본예찰포(벼 150, 원예작물 50)와 1,403개의 관찰포(벼 1,050, 원예작물 353)에서 얻어진 정보를 중심으로 운용되고 있다. 기본예찰포 및 관찰포에서의 식물병 발생예찰 대상작물 및 병해수는 30작물 104 병해에 이른다. 기본예찰소 및 관찰포의 병해 발생상황 조사는 시·군 농업기술센터 소속의 2명의 예찰전담지도사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으며 조사된 자료는 인터넷을 통하여 즉시 농촌진홍청으로 전송되어 분석되며, 12명으로 구성된 예찰회의에 회부된다. 예찰회의는 농림부, 농촌진흥청, 관련시험연구기관, 농협, 유관대학, 기상청, 방송보도 기관 관계자들이 참여하며, 예찰회의 결과 병해의 발생정도에 따라 3가지의 예찰정보를 격주로 발표하는데, 이 정보는 언론보도기관 등 총245개 기관에 통보되어 농업기술센터를 비롯한 지역행정기관, 농협, 농업인들이 방제에 임하고 있다. 향후 식물병 예찰의 성공여부는 우수한 예찰 전문요원의 확보, 지속적인 교육을 통한 예찰능력의 향상, 우수한 예찰기기 확보 및 활용 등이 전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 나라 식물병 발생예찰은 벼 도열병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상당한 예찰정보가 누적되어 있으나, 다른 병해에 대한 예찰연구는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가 단편적인 연구에 치중되어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워지지 못하고 있다. 식물병의 예찰이 실용성이 없이는 그 가치를 상실함이 자명하므로 앞으로는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시간적, 공간적 측면에서 예찰의 실용성을 높이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예찰의 의의가 경제적인 이득에 직결되므로, 향후 예찰연구는 예찰정보를 기반으로 한, 방제의사 결정이나 합리적인 살균제 살포계획과 연계되어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산-처리 조건이 RBM처리한 티타늄 임플란트의 표면 특성에 주는 영향 (Effects of acid-treatment conditions on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RBM treated titanium implants)

  • 이한아;석수황;이상혁;임범순
    • 대한치과재료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57-274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순수 티타늄(cp-Ti) 임플란트를 SLA (Sandblasting with Large grit and Acid) 처리할 때 산-처리 용액의 유형, 산-처리 온도 및 산-처리 시간 등이 티타늄 표면에 주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원판형의 cp-Ti 시편을 준비하여 표면을 인산칼슘계 세라믹 분말로 RBM (Resorbable Blast Media) 처리하였다. 산-처리 용액으로 염산을 30 vol%로 고정하고 황산의 농도를 10, 20, 30, 35 vol%로 증가시키며 혼합한 용액에 증류수를 추가하여 4종의 산-처리 용액을 준비하였다. 실험군은 4종의 산-처리 용액, 3 종의 처리온도 및 3 종의 처리시간 등 36 가지로 분류하여 실험군당 4개의 시편을 산-처리하였다. 산-처리 전 후 시편 무게를 전자저울로 측정하여 무게 감소비율을 계산하였고, 공초점주사전자현미경으로 표면거칠기를 측정하였다. X-선 회절분석기(XRD)로 XRD 패턴을 측정하였고,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표면 형상을 관찰하였으며, 에너지 분산형 분석기(EDX)와 광전자분광법(XPS)로 표면성분을 분석하였다. 무게 감소비율과 표면거칠기 측정값은 Tukey-multiple comparison test (p = 0.05)로 통계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산-처리에 따른 티타늄 시편의 무게 감소는 황산의 농도 및 산-처리 용액의 온도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산-처리한 티타늄의 표면 거칠기는 산-처리 조건(황산 농도, 온도, 시간)에 일정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XRD 분석에서 산-처리한 모든 시편에서 티타늄(${\alpha}-Ti$)과 수소화 티타늄($TiH_2$) 결정상이 관찰되었고, XPS 분석으로 티타늄 표면에 얇은 n산화 티타늄 층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90^{\circ}C$ 산-용액에서 처리할 경우 티타늄 표면이 과도하게 용해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흰목이버섯 대량생산을 위한 용기내 재배 최적화 연구 (Optimization of artificial cultivation of Tremella fuciformis in closed culture bottle)

  • 최성우;장현유;윤정원;이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0-26
    • /
    • 2008
  • 흰목이버섯 균주와 공생균을 수집하고 ITS 5.8S rDNA sequencing을 하여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였다. Gene Bank Data homology search 결과 분리된 균의 rDNA 서열이 이 Tremella fuciformis AF042409의 rDNA 서열과 99%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함께 분리된 공생균은 같은 방법으로 Annulohhypoxylon stygium 으로 확인하였다. 분리된 T. fuciformis KG 103과 A. stygium KG 201 균주는 PD배지에서 각각 14 mm/14 days과 85 mm/14 days의 균사생육을 나타내었다. T. fuciformis KG 103 균주의 생육최적온도는 $25^{\circ}C$ (14mm/14days) 이었으며, $35^{\circ}C$ 고온과 $15^{\circ}C$이하 저온에서 균사 생장이 억제되었다. A. stygium KG 201은 흰목이버섯균과 유사한 최적온도를 나타내었다. T. fuciformis KG 103 균의 생육 최적 pH는 5.0이었으며, A. stygium KG 201도 pH 5.0에서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다. 흰목이버섯 종균용 최적 배지로 참나무톱밥 77.5%, 미강 20%, 석고 1.5%, 황백당 1%가 선정되었다. T. fuciformis KG 103과 A. stygium KG 201혼합 종균을 제조하고 흰목이버섯 자실체생산을 위한 병속재배 방법을 확립하였다. 콘코브(Corn cob) (77%와 52%)가 사용한 재료 중 최적의 자실체 성장률을 나타냈으며, 콘코브 함량을 줄일수록 생육이 저조하였다. 면실박과 참나무톱밥은 단독 사용시 생육이 저조하였고, 콘코브를 첨가시 수율이 증대되었다. 최적수분농도는 55%로 결정되었다.

  • PDF

RBM 표면 임플란트와 산부식 표면 임플란트의 3년 생존율에 대한 비교 연구 (3-Year Survival Analysis of RBM and Acid-Etched Surface Implants)

  • 윤대웅;김문섭;장한성;진수영;마득현;정경달;박현춘;김희중;김학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4호
    • /
    • pp.393-403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RBM과 산부식 임플란트의 3년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총 152개의 RBM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이 중 1개의 임플란트에서 실패가 발생하였는데, 원인은 식립체의 파절이었다. 또한 총 152개의 산부식 표면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는데, 이 중 7개의 임플란트에서 실패를 하였으며, 원인으로는 과열, 감염, 초기고정 불량 등이었다. RBM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99.34%, 산부식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95.39%로 두 가지 임플란트 모두 양호한 생존율을 보였으나, RBM 임플란트에서 다소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토양 및 식물체로부터 분리한 Fusarium속 균주들의 생물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Fusarium isolates from soil and plants)

  • 박중협;최경자;김흥태;홍경식;송철;김진석;김정규;조광연;김진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9-26
    • /
    • 2000
  • 토양 및 식물체 시료로부터 분리한 총 70개의 Fusarium속 균주를 감자 즙액배지와 쌀 고체배지에 배양한 다음 살균, 살충 및 제초활성 등의 생물활성을 조사하였다. 액체배지 시료들 중 한 가지 이상의 식물병에 대하여 80% 이상의 방제가를 보이는 것은 8개 시료였으며, 이 중 Fusarium sp. FO-80균주는 여섯 가지 병 중 벼.도열병, 밀.붉은녹병 및 보리 흰가루병 등 세 가지 식물병에 대하여 95% 이상의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어 가장 항균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체배지 시료에서는 21개의 시료가 8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고, 이 중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보이는 F. equiseti FO-68균주는 벼 도열병, 토마토 역병 및 밀 붉은녹병에 대하여 95%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살충활성 실험결과 한 가지 이상의 곤충 및 응애에 대하여 80% 이상 살충효과를 보이는 것은 액체배지 시료 2개와 고체배지 시료 1개였다. F. oxysporum FO-61균주와 Fusarium sp. FO-80균주의 액체배지 시료는 복숭아혹진딧물과 배추좀나방에 대하여 각각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고, Fusarium sp. FO-510균주의 고체배지 시료는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하여 80%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액체배지와 고체배지 시료 모두 밭잡초에 대한 뚜렷한 활성은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좀 개구리밥을 이용한 생물검정 결과 3개의 액체배지 시료가 배양액 1.25% 이하의 농도에서 70%의 제초활성을 보였고, 고체배지 시료 중에는 9개의 시료가 좀개구리밥 생장에 강한 억제 효과를 보였다. 한편, 여러 가지 생물활성에 대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고체배지 시료와 액체배지 시료 모두 좀개구리밥에 대한 제초활성과 항균활성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벼 근권에서 분리한 방선균의 다양성과 항균 활성 (Divers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ctinomycetes Isolated from Rhizosphere of Rice (Oryza sativa L.))

  • 이혜원;안재형;원항연;송재경;김병용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71-378
    • /
    • 2013
  • 토양에 서식하는 다양한 미생물 중에서 식물 근권에 서식하는 미생물들은 식물과 상호작용하며 독특한 군집을 형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료 연용 논토양과 무비 논토양에서 재배된 벼(Oryza sativa L.)의 근권으로부터 배양적 접근을 통해 다양한 방선균을 분리하여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방선균의 선택적 배양을 위해서 4종류의 선택 배지를 이용하였고, 전체 152균주를 분리할 수 있었다. 분리된 균주들의 분류를 위해서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표준균주와의 상동성을 비교하였다. 모든 균주들이 기존에 보고된 표준균주들과 99.0~100.0%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며, Dactylosporangium, Micromonospora, Kitasatospora, Promicromonospora, Streptomyces, Streptosporangium 등의 6개 속(genus)로 분류되었다. 그 중 Streptomyces 속에 포함되는 균주가 143균주 (94%)로 가장 많았다.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분리 균주들이 식물병원균에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벼 도열병균(Magnaporthe oryzae)에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벼의 근권이 다양한 방선균을 분리할 수 있는 우수한 분리원이며, 분리된 방선균에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생산할 수 있음을 제시하여 준다. 또한 추후 연구를 통해 친환경 농업을 위한 유용한 미생물 제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처리 방법이 다른 표면이 임플랜트의 골유착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FFERENT SURFACE TREATMENT ON THE OSSEOINTEGRATION AND STABILITY OF IMPLANTS)

  • 양성욱;임헌송;조인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06-616
    • /
    • 2006
  • Purpose: This experiment examined the effect of different surface treatment on the osseointegration and stability of implants. Material and methods: In this study, 40 each of machined, SLA and RBM implants, which are the most commonly used implants, were implanted into the tibia of 20 normal rabbits using $OsseoCare^{TM}$. The rabbits were sacrificed after 1 week, 4 weeks, 8 weeks and 12 weeks for implant stability analysis, removal torque analysis, histologic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Result : ISQ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chined and RBM at first week and at 4 week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chined and both SLA and RBM(p<0.05) but after 8 wee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In the removal torque, RBM show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than SLA and Machined surface at 1st week. At 4th and 12th week,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chined and SLA, RBM(p<0.05). In the bone to implant contact variab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surface treatment method. In the Machined surfac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time interval. but in SLA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1st week and 12th week and in RBM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1st week and 8th, 12th week and between 4th and 12th week(p<0.05). The bone are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in SLA and RBM compared to Machined surface 1st and 8th week an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in SLA than Machined surface at the 4th week(p<0.05). Conclusion: The roughened surface of implants showed positive effect in the early stages of implantation and assisted in bone formation After the bone formation stag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Machined and roughened surface groups. In dental implantation, where initial stability is critical to the success of implants, the use of roughened surface implants should assist in reducing the healing period after implantation.

꿀벌에 대한 dsRNA의 급성섭식독성 평가 (Acute Oral Toxicity of dsRNA to Honey Bee, Apis mellifera)

  • 임혜송;정영준;김일룡;김진;유성민;김반니;이중로;최원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41-248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RNAi 기반 LMO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향후 이러한 기술을 이용한 LMO의 유해성 및 자연생태계 위해성평가가 필요할 때 실험실 수준에서 dsRNA를 대량으로 발현시키는 시스템을 확립하고, 수분(화분)매개 곤충인 꿀벌을 대상으로 유해성평가 시험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L4440 vector에 Snf7과 GFP 유전자를 클로닝한 plasmid를 HT115 (DE3) 대장균에 형질 전환한 후 온도, 배양시간, IPTG 농도를 각기 다르게 하여 최적의 발현조건을 탐색한 결과 $37^{\circ}C$, 0.4 mM IPTG, 4시간의 배양시간에서 가장 많은 양의 dsRNA가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국내 외 제시된 꿀벌 위해성평가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대장균에서 분리한 dsRNA를 꿀벌 성충에 급성섭식으로 처리한 결과 생사율과 일반중독증상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대장균으로부터 분리한 Snf7 dsRNA와 GFP dsRNA는 꿀벌 성충에 유해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dsRNA 물질의 유해성평가 및 자연생태계 위해성 평가를 위한 대량 추출 방법과 위해성평가 대상종의 사육 및 물질 처리 방법을 확립하여 향후 이뤄질 dsRNA의 꿀벌 위해성평가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다양한 양극산화막 처리방법이 임플란트 골유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OXIDIZED SURFACES OF IMPLANT ON OSSEOINTEGRATION; RESONANCE FREQUENCY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STUDY IN MINI-PIGS)

  • 권경환;민승기;성대혁;최재영;최성림;차수련;오희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5호
    • /
    • pp.383-393
    • /
    • 2007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odized surface of osseointegration implants by using of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A total of 96 screw-shaped implants were devided into 4 groups. Seventy-two implants were prepared by electrochemical oxidation with 3 different ways; Group 1 (n=24) were prepared at galvanostatic mode in 0.25M sulfuric acid and phosphoric acid, Group 2 (n=24) were prepared at galvanostatic mode in calcium glycerophosphate and calcium acetate, and Group 3 (n=24) were prepared at galvanostatic mode in 0.25M sulfuric acid and phosphoric acid followed by Calcium metaphosphate(CMP) coating. Control group (n=24) were the RBM surfaced implants. The implants were placed in the mandibles of 12 mini pigs. Bone tissue responses were evaluated by resonance frequency analysis(RFA)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that were undertaken at 2, 4 and 6weeks after implant placement. The following result were obtained. 1. Twenty-two of 96 implants (4 in control group, 5 in group 1, 7 in group 2, and 6 in group 3) were failed due to faliure of osseoitegration. The failure rate of osseointegration was 22.9%. 2. The mean values of RFA in control, group 2 and groups 3 showed the similar valu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3. Histomorphometric evalu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bone-to-implant contact ratio in group 2 at 3 and 4 weeks after implant placement than other groups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at 6weeks after implant plac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