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Box

검색결과 453건 처리시간 0.03초

객체지향 소프트웨어를 위한 주요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들의 비고 (Comparison of Major Black-Box Testing Methods in Object-Oriented Software)

  • 서광익;최은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3권1호
    • /
    • pp.1-16
    • /
    • 2006
  • 소프트웨어의 규모가 커지면서 시스템 기능 테스트 단계에 일일이 원시코드를 참조하면서 테스트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시스템 테스트 단계에서 다양한 요구명세 정보들을 이용하는 블랙박스 테스트 방법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테스트 기법에 활용한 요구명세는 시스템을 표현하는 기술 방법과 의미의 차이로 인해 테스트 케이스와 커버리지가 크게 달라서 테스트 계획 단계에서 테스트 기법과 그 기법의 적용 결과에 대해 깊이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들에 대한 실험과 그 결과에 대해 논하였다. 기법의 특성이 미치는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고 평가하기 위해 객체지향 시스템의 명세와 모델링 기법으로 가장 잘 알려진 UML을 이용한 테스트 기법을 포함하여 다섯 가지의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을 실행하고 비교하였다. 그리고 다섯 가지 기법들을 서로 다른 두 응용 시스템에 적용하였고 그 결과로 추출된 테스트 케이스의 커버리지를 분석하였다.

차량 장착 블랙박스 카메라를 이용한 효과적인 도로의 거리 예측방법 (Effective Road Distance Estimation Using a Vehicle-attached Black Box Camera)

  • 김진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51-658
    • /
    • 2015
  • 최근에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해 매우 활발한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기술들이 융복합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는 단순히 녹화기능 뿐만 아니라 신호등인식, 보행자검출, 정지선인식 등과 같이 자율주행차량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많은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자율주행차량을 구현하기 위한 한 가지 접근방법으로서 본 논문에서는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로상에 위치한 거리를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수식적인 모델을 제시한다. 제안한 모델은 도로의 기준선과 관찰선의 폭 또는 블랙박스 장착 높이 정보만을 이용함으로써 실제 도로상의 거리를 예측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인다.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도로상의 거리 예측 모델이 타당함을 보인다.

윈도우 환경에서의 GUI 기반 블랙박스 테스트 자동화 프로그램 도구 (GUI-based Black Box Test Automation Program Tool in Windows Environment)

  • 정범진;이정우;홍창완;안병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63-16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윈도우 환경에서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을 사용하여 GUI 기반 테스트를 자동화하는 테스트 자동화 프로그램 도구를 제안 및 개발한다. 제안된 테스트 자동화 프로그램 도구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에러 상태를 이미지로써 지정하고, 테스트 스텝마다 화면을 캡처하여 이미지 유사도 비교를 통해 에러 메시지 검출 여부를 확인한다. 둘째, 실행 중 이벤트 대기시간이나 각 테스트 스텝 간 좌표 증가 값 등 여러 옵션 설정을 지원한다. 이러한 블랙박스 테스트 자동화 연구는 안드로이드나 웹 등의 환경에서는 많았지만 윈도우 환경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평가 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이미지 비교 모듈로써 GUI 테스트 자동화를 수행하고, 프로세스 상태 확인과 에러 이미지 검출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테스트를 정상적으로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당뇨병환자에게 부적절하게 사용된 Metformin의 처방빈도 분석 (Frequency of Inappropriate Metformin Use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 신혜연;정기화
    • 약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455-460
    • /
    • 2010
  • We evaluated the inappropriateness of metformin us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chronic medical conditions to identify the frequency of the prescription metformin in violation of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black box warning. We reviewed medical records of 307 outpatients who received metformin at endocrinology department in a hospital setting between January 1, 2005 and August 30, 2009. Of the 307 outpatients, 25 discontinued treatment of metformin due to elevated serum creatinine level (Scr${\geq}$1.5 mg/dl in male, Scr${\geq}$1.4 mg/dl in female), cancers, and/or liver disease. 5 were lost to follow-up. 89 (29.0%) of the patients had cardiovascular disease, 54.1% for hypertension, 9.8% for liver disease, and 60 (20.8%) for chronic kidney disease. 12 patients (3.9%) with chronic kidney disease and/or elevated serum creatinine level, and 1 patient (0.3%) with lactic acidosis were contraindicated to metformin use. Metformin should be avoided in 7 outpatients (2.3%) with active hepatitis and 1 patient (2.6%) with liver cirrhosis. Of the 307 outpatients, 13 (4.2%) patients who received metformin at the first visit and 16 (8.7%) patients who received metformin at the last visit violated to black box warning. 8 (2.6%) of the patients were in precautionary conditions to metformin use. Adjusted mean difference of serum creatinine was -0.16 mg/dl [95% CI: -0.22 to -0.11 (p<0.05)] and adjusted mean difference of alanine aminotransferase was 4.46 IU/l [95% CI: 2.47 to 6.44 (p<0.05)] between the first visit and the last visit. Critical number of elderly patients who are at the high risks of drug-disease and drug-laboratory interaction is exposed to the inappropriate metformin use in violation of black box warning. The periodic evaluation of metformin use and monitoring prescription through drug utility review (DUR) system is needed to improve patients' safety and to reduce adverse drug events.

무선 카메라를 이용한 어라운드 뷰 알고리즘 설계 (Design Around Algorithm view Using wireless camera)

  • 김규현;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66-469
    • /
    • 2013
  • 현재 출시되는 자동차는 운전자에게 편리성과 안정성을 보장해주기 위한 전자 기기장치들을 개발하여 시중에 보급하고 있다. 전자기기중 블랙박스는 현재 자동차 운행, 주차, 후진 시 도움을 주기위한 것이다. 이 블랙박스는 차량 사고 시에 꼭 필요하다. 이것들은 After-market을 통하여 많이 보급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품들은 후방이나 전방의 영상만 알 수 있을 뿐, 운전 중이거나 사고 시에 좌우 측방과 전방의 자동차 경계의 영상은 확인 할 수가 없다. 하지만 시중에 나와 있는 전자기기장치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가 없다. 이러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어라운드 뷰 알고리즘은 운전자가 자동차 운행 중 차량의 전후측방, 좌우측방의 영상을 통합한 블랙박스 설계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6축 센서를 이용한 저가형 자전거 블랙박스 구현 (Implementation of Low-priced Bicycle Black Box Using 6-axis Sensor)

  • 원라경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71-182
    • /
    • 2019
  • 자전거는 무공해 교통수단으로서 레저용 외에도 친환경 대체 교통수단으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전거에 따른 사고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자전거 사고발생시 사고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자전거 블랙박스 기술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자전거 블랙박스 제품들은 주로 영상카메라에 의한 것으로 고해상도 카메라를 중심으로 여러 가지 기능을 추가하여 시판되고 있으며 고가로 판매되고 있다. 자전거 사고가 발생하면 사고 당시의 사고 위치와 사고 당시 자전거 상태에 대한 정량적인 데이터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장치)에 의하여 시간, 좌표 데이터를 확보하고, IMU(Inertial Measuring Unit : 관성측정장치)센서를 통해 사고 당시의 자전거 가속도와 기울기의 정량적인 데이터를 취득하여, 이를 블랙박스 내부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며, 동시에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전거 운전자의 스마트 폰으로 실시간 전송하여 사고예방 및 운전 상태를 감시하도록 하였다.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시간과 위치 정보 기반의 차량 블랙박스 영상물 수집 기법 (Video Data Collection Scheme From Vehicle Black Box Using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for Public Safety)

  • 최재덕;채강석;정수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771-78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사회 안전망 서비스 구축의 일환으로 블랙박스 영상물 수집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사회 감시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고정형 CCTV와 차량 블랙박스 영상물 수집 시스템은 녹화되는 모든 영상물들을 중앙 센터에 전송하기 때문에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네트워크 트래픽량 및 서버의 저장 용량 부담 문제점이 있다. 제안 기법은 주행 및 주차 중 상시 녹화 기능이 있는 블랙박스에서 촬영된 영상을 각종 범죄 수사 및 예방에 활용할 수 있도록 사건 사고 발생 시간 및 GPS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물만을 선택 수집한다. 제안기법은 사건 사고 관련 영상물들만 수집하기 때문에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 네트워크 트래픽 과다 발생 및 영상물 저장 용량 부담 문제를 완화한다. 또한 블랙박스 영상물 전송 서비스 구현 및 실험을 통해 제안 서비스가 실현 가능함을 보여준다. 향후 제안 서비스가 사회 안전 감시 시스템으로써 종합적인 도시 관제기능을 수행하면서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고, 범죄와 사고를 예방하며, 범법행위를 사전에 단속하여 공공시설물과 국민의 재산을 보호할 것으로 기대된다.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무결성 보장기법 (Real-time Integrity for Vehicle Black Box System)

  • 김윤규;김범한;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9-61
    • /
    • 2009
  • 차량용 블랙박스는 음성, 영상 및 자동차의 여러 운행정보를 저장하는 매체이며, 이를 근거로 사고의 재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 자동차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상업용 차량을 중심으로 블랙박스의 장착이 확산되면서 수년 내에 시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그러나 현재의 블랙박스는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변경을 확인할 수 있는 무결성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고 원인에 대한 법적 증거로 채택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즉, 블랙박스는 생성한 데이터를 단지 저장만 할 뿐이기 때문에 저장된 데이터는 외부공격자나 내부공격자에 의해 위, 변조될 수가 있다. 무결성을 보호받지 못한 데이터는 신뢰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이점은 자동차 보험회사나 법정에서 큰 이슈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이 기법을 구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Black box-assisted fine-grained hierarchical access control scheme for epidemiological survey data

  • Xueyan Liu;Ruirui Sun;Linpeng Li;Wenjing Li;Tao Li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9호
    • /
    • pp.2550-2572
    • /
    • 2023
  • Epidemiological survey is an important means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infectious diseases. Due to the particularity of the epidemic survey, 1) epidemiological survey in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has a wide range of people involved, a large number of data collected, strong requirements for information disclosure and high timeliness of data processing; 2) the epidemiological survey data need to be disclosed at different institutions and the use of data has different permission requirements. As a result, it easily causes personal privacy disclosure. Therefore, traditional access control technologies are unsuitable for the privacy protection of epidemiological survey data. In view of these situations, we propose a black box-assisted fine-grained hierarchical access control scheme for epidemiological survey data. Firstly, a black box-assisted multi-attribute authority management mechanism without a trusted center is established to avoid authority deception. Meanwhile, the establishment of a master key-free system not only reduces the storage load but also prevents the risk of master key disclosure. Secondly, a sensitivity classification method is proposed according to the confidentiality degree of the institution to which the data belong and the importance of the data properties to set fine-grained access permission. Thirdly, a hierarchical authorization algorithm combined with data sensitivity and hierarchical attribute-based encryption (ABE) technology is proposed to achieve hierarchical access control of epidemiological survey data. Efficiency analysis and experiments show that the scheme meets the security requirements of privacy protection and key management in epidemiological survey.

볼테라 시리즈 입력을 이용한 냉연 산세 라인 산농도 모델 추정 (Estimation of Acid Concentration Model of Cooling and Pickling Process Using Volterra Series Inputs)

  • 박찬은;송주만;박태수;노일환;박형국;최승갑;박부견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173-1177
    • /
    • 2015
  • This paper deals with estimating the acid concentration of pickling process using the Volterra inputs. To estimate the acid concentration, the whole pickling process is represented by the grey box model consists of the white box dealing with known system and the black box dealing with unknown system.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of nonlinear term in the unknown system, the Volterra series are used to estimate the acid concentration. For the white box modeling, the acid tank solution level and concentration equations are used, and for the black box modeling, the acid concentration is estimated using the Volterra Least Mean Squares (LMS) algorithm and Least Squares (LS) algorithm. The LMS algorithm has the advantage of the simple structure and the low computation, and the LS algorithm has the advantage of lowest error. The simulation results compared to the measured data are inclu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