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t Error Rate(BER)

검색결과 883건 처리시간 0.03초

물리 계층 네트워크 코딩을 이용한 양방향 중계 채널에서의 정확한 BER 분석 (Exact BER Analysis of Physical Layer Network Coding for Two-Way Relay Channels)

  • 박문서;최일환;안민기;이인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5A호
    • /
    • pp.317-324
    • /
    • 2012
  • 물리 계층 네트워크 코딩은 양방향 중계 채널에서의 Zhang 그룹의 논문으로 처음 소개 되었다. 물리 계층 네트워크 코딩을 이용하여, 세 개의 시간대 대신에 두 개의 시간대내로 양방향 통신을 완벽히 할 수 있다. 최근 감쇄 채널에서 물리 계층 네트워크 코딩의 상계와 하계가 모두 분석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감쇄 채널에서 양방향 중계 채널의 물리 계층 네트워크 코딩의 정확한 bit 오류 비율을 도출 하였다. bit 오류 비율을 계산하기 위해, 판단 영역을 최소 인접 법칙과 Craig's 극좌표 방식을 적용한 몇 개의 쐐기 부분의 분할을 통해 결정 하였다.

Impact of Rician Fading on BER Performance on Intelligent Reflecting Surface NOMA Towards 6G Systems

  • Chung, Kyuhyu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307-312
    • /
    • 2022
  •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fifth generation (5G) mobile systems has quested enabling technologies, such as intelligent reflecting surface (IRS) transmissions, towards the sixth generation (6G) networks. In this paper, we present a bit-error rate (BER) performance analysis on IRS transmissions in 5G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networks. First, we derive a closed-form expression for the BER of IRS-NOMA transmissions under Rician fading channels. Then, by Monte Carlo simulations, we validate the proposed approximate BER expression, and show numerically that the derived BER expression is in good agreement with Monte Carlo simulations. Furthermore, we also analyze the BER performance of IRS-NOMA networks under Rician fading channels with different numbers of reflecting elements, and demonstrate that the performances improve monotonically as the number of reflecting devices increases.

320 Gbps WDM 전송 시스템에서 광 위상 공액기의 위치에 따른 비트 에러율 특성 (Characteristics of Bit Error Rate dependence on the Position of Optical Phase Conjugator in 320 Gbps WDM System)

  • 이성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123-1131
    • /
    • 2005
  • 장거리 $8{\times}40$ Gbps 파장 분할 다중 시스템에서 색 분산과 자기 위상 변조에 의해 왜곡된 광 펄스를 최상으로 보상할 수 있는 최적의 광 위상 공액기 (OPC ; Optical Phase Conjugator)의 위치를 수치적 방법으로 살펴보았고, 이 위치에서의 전체 채널의 눈 열림 패널티 (EOP ; Eye Opening Penalty)와 비트 에러율 (BER ; Bit Error Rate) 특성을 OPC가 전체 전송 거리의 중간에 위치한 경우 (MSSI ; Mis-Span Spectral Inversion)와 비교해 살펴보았다. 먼저 OPC를 이용해 왜곡된 광 신호를 보상하는 WDM 시스템에서 모든 채널의 최상의 보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송하고자 하는 변조 파형의 형식과 광섬유 분산 계수와 관련하여 OPC의 위치가 전체 전송 거리의 중간이 아닌 다른 곳으로 이동되어야만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최적 OPC 위치를 갖는 WDM 시스템을 이용한 경우 수신측에서의 광 신호의 EOP 특성은 채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BER 특성은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ransmitted Reference UWB 시스템을 위한 비트오율 향상 기법 (Bit Error Rate Improvement Scheme for Transmitted Reference UWB Systems)

  • 김재운;신요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5C호
    • /
    • pp.540-54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임펄스 라디오 기반의 TR-UWB (Transmitted Reference Ultra Wide Band) 시스템을 위해 효과적으로 비트오율 (Bit Error Rate; BER)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송수신 방안을 제안한다. BER 성능은 우수하지만 매우 복잡하여 실제 구현하기에 용이하지 않은 Coherent UWB 시스템과는 달리, TR-UWB 시스템은 송신기에서 참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와 함께 전송하고 수신기에서 매우 간단한 지연 처리를 한 후 이들 수신된 신호들을 상관기 (Correlator) 처리를 하여 데이터를 복조하게 되므로 복잡도는 매우 낮다. 하지만 일반적인 TR-UWB 시스템은 수신단의 상관기에서 이용되는 참조 템플릿의 신호대잡음비 (Signal-to-Noise Ratio; SNR)에 따라 BER 성능이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참조 템플릿의 SNR을 향상시켜 시스템의 BER 성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수신기 구조를 설계하고, 연집 오류를 피하기 위해 인터리버와 길쌈부호를 고용한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된 기법은 일반적인 TR-UWB 시스템에 비해 매우 큰 BER 성능 향상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계층적 MPSK 신호에 대한 일반화된 BER 성능 (Performance of Generalized BER for Hierarchical MPSK Signal)

  • 이재윤;윤동원;현광민;박상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9C호
    • /
    • pp.831-83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수신기에서 I/Q 위상 및 진폭 불균형을 갖는 계층적 MPSK(Hierarchical M-ary Phase Shift Keying) 신호에 대해 수치 적분이 필요 없는 정확하고 일반화된 closed-form 형태의 비트 오류 확률(Bit Error Probability) 표현을 유도한다. 새롭게 유도된 비트 오류 확률 표현은 간결한 형태의 일반화된 식으로 되어 있어 다양한 환경으로의 적용이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계층적 MPSK를 적용하는 많은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 복조시 발생할 수 있는 I/Q 불균형들에 의한 시스템 성능 변화에 대하여 정확한 이론적 성능 기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Bit Error Rate of Underlay Decode-and-Forward Cognitive Networks with Best Relay Selection

  • Ho-Van, Khuong;Sofotasios, Paschalis C.;Alexandropoulos, George C.;Freear, Steven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7권2호
    • /
    • pp.162-171
    • /
    • 2015
  • This paper provides an analytic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bit error rate (BER) of underlay decode-and-forward cognitive networks with best relay selection over Rayleigh multipath fading channels. A generalized BER expression valid for arbitrary operational parameters is firstly presented in the form of a single integral, which is then employed for determining the diversity order and coding gain for different best relay selection scenarios. Furthermore, a novel and highly accurate closed-form approximate BER expression is derived for the specific case where relays are located relatively close to each other. The presented results are rather convenient to handle both analytically and numerically, while they are shown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results from respective computer simulations.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as in the case of conventional relaying networks, the behaviour of underlay relaying cognitive networks with best relay selection depends significantly on the number of involved relays.

일반화된 TQAM의 비트 오류 확률 (Bit Error Rate of Generalized Triangular QAM)

  • 조경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A권5호
    • /
    • pp.229-236
    • /
    • 2014
  • 직교 진폭 변조 (QAM)은 현재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방형 QAM, TQAM, ${\Theta}$-QAM을 포함하는 일반화된 TQAM을 제안한다. 따라서, 다른 QAM 계열에 비교해서 임의의 일반 삼각형 격자 구조를 갖는 이 일반화된 TQAM은 신호점 배치에서 다양한 구조를 제공한다. 변조 지수 M 의 일반화된 TQAM에 대한 BER을 정확한 closed-form 수식으로 유도하며 이 수식을 이용하여 최적의 신호점 배치 방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이 유도한 수식 결과에 대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 검증한다.

고전력 효율 Quadrature-Amplitude-Position-Modulation 변조 방식과 성능 평가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Quadrature-Amplitude-Position-Modulation Method for the High Power Efficiency)

  • 최재훈;유흥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2A호
    • /
    • pp.108-113
    • /
    • 2011
  • 본 논문은 저전력 통신 변조 방식으로 새로운 QAPM(Quadrature Amplitude Position Modulation) 방식을 제안하며, 기존의 PSSK(Phase Silence Shift Keying) 변조와의 성능을 비교한다. 기존의 저전력 변조 방식의 하나인 PSSK는 PSK 변조를 기반으로 하여 PPM(Pulse Position Modulation) 변조를 결합한 방식이다. PSSK는 2개의 직교 심볼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신호 주기내의 심볼 비율을 절반으로 하여 송신전력을 낮추고, 변조 심볼간의 거리를 늘림으로써 BER 성능에 향상을 가져왔다. 대역 효율은 기존의 PSK에 비해 2배 낮아졌으나 BER(Bit Error Rate) 성능은 6dB까지 향상 시켰다. 이러한 BER의 향상은 변조 레벨을 낮춤으로써 얻어지는 결과이다. 새로 제안하는 QAPM 방식은 QAM 변조를 기반으로하며, PSSK와 동일한 방식으로 심볼을 배치한다. QAM의 BER 성능은 기본적으로 PSK보다 뛰어나므로 QAPM 변조방식은 기존의 PSSK보다 더 뛰어난 BER 성능을 보여준다. 이 논문에서는 PSSK와 QAPM을 AWGN 채널에서의 BER 성능과 Throughput 성능을 비교하였다.

Analysis on Bit Error Rate Performance of Negatively Asymmetric Binary Pulse Amplitude Modulation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in 5G Mobile Networks

  • Chung, Kyuhyu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307-314
    • /
    • 2021
  • Recently, positively asymmetric binary pulse amplitude modulation (2PAM)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bit error rate (BER) performance of the weak channel gain user, with a tolerable BER loss of the strong channel gain user, for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However, the BER loss of the stronger channel gain user is inevitable in such positively asymmetric 2PAM NOMA scheme. Thus, we propose the negatively asymmetric 2PAM NOMA scheme. First, we derive closed-form expressions for the BERs of the negatively asymmetric 2PAM NOMA. Then, simulations demonstrate that for the stronger channel gain user, the BER of the proposed negatively asymmetric 2PAM NOMA improves, compared to that of the conventional positively asymmetric 2PAM NOMA. Moreover, we also show that for the weaker channel gain user, the BER of the proposed negatively asymmetric 2PAM NOMA is comparable to that of the conventional positively asymmetric 2PAM NOMA, over the power allocation range less than about 10 %.

Turbo coded BICM-ID의 복잡도 개선 기법 (A Low-Complexity Turbo coded BICM-ID System)

  • 강동훈;이용욱;오왕록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8호
    • /
    • pp.21-2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Turbo coded BICM-ID (bit-interleaved coded modulation with iterative decoding)의 구현 복잡도를 개선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터보 부호는 Shannon 한계에 근접하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오류정정부호 (error correction code)이며 터보 부호와 고차원 변조 (high order modulation)를 결합하여 전송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BICM (bit-interleaved coded modulation)은 채널 부호와 고차원 변조 사이에 이진 인터리버를 사용하는 기법이며 복호기와 복조기 간에 정보를 주고받으며 반복 복호 (iterative decoding)를 수행하는 BICM-ID를 이용하여 성능을 개선 할 수 있다. BICM-ID는 BICM과 비교하였을 때 반복 복호로 인하여 비트오율 (bit error rate) 성능이 개선되지만 구현 복잡도가 크게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Turbo coded BICM-ID에서 구현 복잡도를 개선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에 제안된 Turbo coded BICM-ID 기법과 유사한 비트오율 (bit error rate) 성능을 나타내면서 구현 복잡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