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rd habitat environmental evaluation index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경춘선 숲길의 조류 서식환경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Bird Habitat Environment in Gyeongchun Line Forest Road)

  • 김미후;오충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67-18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plan for improving the bird habitat environment of Linear Park. To this end, after grasping the status of bird habitats on the Gyeongchun Line Forest Road, a representative linear park in Seoul, the habitat environment was evaluated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bird habitat was analyzed to derive a plan to improve the habitat environment. The results for correlation between diversity of birds and habitat environment were as follows. For the habitat environment inside the park, the order of positive correlation was in the order of park area (0.92), number of insect species (0.87), green area ratio (0.77), average width of linear park (0.74), Biotope area ratio (0.73), Immigration planted species (0.57). Also, for habitat environment outside the park, the bird diversity was influenced in the order of area outside the park (0.88), green area ratio of the park (0.76). Thus, in order to enhance the diversity of birds found in the park, the bird habitat environment inside the park needs to expand the park area, secure insect diversity, enhance green area ratio and ecological area ratio, expand the width of linear park, and lower the impermeable layer. For the bird habitat environment outside the park, wider area, green area ratio, and forest area of the park influenced on better bird habitation while lower ratio of road space and building-to-land ratio influenced on higher bird diversity.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habitable for various species of birds and to make a healthy and pleasant city urban system for co-existence of human and living creatures.

조류 서식지로서 지뢰지대 삼림습지의 경관생태학적 평가 (Landscape Ecological Evaluation for Avian Fauna Habitats at the Forest Swamp Minefields of Civilian Control Zone(CCZ) Close to the Demilitarized Zone(DMZ) of Korea)

  • 유승화;이기섭;박종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7-256
    • /
    • 2012
  • 본 연구는 선택되어진 지뢰지역과 습지조각의 산림성조류의 군집에 대하여 경관생태학적 가치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각각 면적이 다른 세 곳(8.5ha, 17.4ha, 40.6ha)의 지뢰지역과 산지지역의 세 개 비교지역의 조류상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평균 산림성조류의 종수, 개체수, 종다양성, 종풍부도와 종균등도를 조각의 크기와 습지의 존재와 연결성과 같은 환경적 특성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군집 유사도지수는 실험군과 대조군 조사구사이를 비교하였다. 조류군집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63종의 조류가 조사되었으며, 최대개체수 합계는 828개체였다. 종다양성지수는 3.8이었으며, 종풍부도는 9.2, 종균등도는 93.3 이었다. 둘째, 작고 숲과 고립된 숲은 낮은 평균 종의 수와 개체수를 가졌지만, 소하천을 가진 작은 숲 조각은 개활수면이 없는 숲 조각에 비하여 높은 조류 밀도를 보였다. 셋째, 갈대습지를 가진 숲 조각은 단위면적당 조류 종의 수(/10ha), 단위면적당 개체수, 종다양도지수, 종풍부도와 종균등도에서 낮은 가치를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군집 유사도지수는 소하천을 가진 작은 숲 조각은 다른 숲과 연결되어 있는 큰 산지 숲과 유사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저지대 숲 조각은 작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다른 서식지와 연결되고 서식지가 넓은 산지의 숲 조각과 군집유사도가 비슷하였다. 따라서, 하천숲의 복원은 산림성조류의 군집에서 생물다양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