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rd community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2초

산림 지역의 조류 군집에 대한 도로의 영향 (Effects of Road on Bird Communities in Forest Areas)

  • 허위행;임신재;이우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8
    • /
    • 2003
  • 본 연구는 경남 남해군 금산 지역에서 도로가 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서 산림 지역에 개설되는 도로의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2000년 5월부터 2001년 1월까지의 기간 동안 실시되었다. 조류군집 조사 결과 도로 지역에서는 26종, 산림 지역에서는 23종의 조류가 각각 관찰되었다. 지역별로 호랑지빠귀, 할미새사촌 등은 산림 지역에서 만, 쇠유리새와 큰유리새 휘파람새, 상모솔새 등은 도로 지역에서만 관찰되었다. 번식기 조류 군집의 길드 분석 결과 도로 지역에서는 관목층 영소 길드와 채이 길드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대체로 도로는 야생동물의 서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 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차량 통행량이 적고, 도로변에 다양한 서식환경이 존재하며, 상층임관의 단절이 소규모이고 연속적이지 않아 도로가 조류 군집에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산림 지역에서 도로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상층임관의 수관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도로변 교목의 유지 및 관리와 관목층의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리산 지역에서 등산로에 의한 번식기 조류 군집의 영향 (Effect of Trails on Breeding Bird Communities in Chirisan National Park)

  • 이우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3-110
    • /
    • 2000
  • 본 연구는 1994년 4월에서 8월까지의 기간 동안 지리산국립공원내 임걸령 지역과 노고단 지역에서 등산로가 개설되어 있는 지역과 개설되어 있지 않은 지역을 대상으로 등산로가 번식기 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등산로의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고가 실시하였다. 조사지역별 서식지 환경은 노고단 등산로 지역과 노고단 지역이 유사하였으며 임걸령 등산로 지역과 임걸령 지역이 각각 유사하였다. 4개 지역에서 조사를 실시 한 결과 총 25종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그 중 18종이 번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번식기 조류 군집의 종 수 및 번식 쌍수와 길드구조에 있어서 산림 지역과 등산로 지역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등산로가 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등산로의 상층식생이 울폐되어 상층수관이 연결되어 있었으며, 등산로 주변에 하층식생이 발달해 있는 지역이므로 조류 군집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던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등산로의 개설 혹은 현재 등산로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해서 등산로 주변의 수관 울페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등산로 주변의 대경목 및 상층임관이 보호 및 관리되도록 해야 하고, 또한 주변의 식생, 특히 관목층 및 하층식생의 보호 및 유지가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팔달산 조류 군집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in Mt. Paldal)

  • 박찬열;이우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7-275
    • /
    • 2001
  • 본 연구는 수원시 중심부에 위치한 팔달산의 조류 군집을 파악하고 적절한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선조사법에 의해 1992년 3월부터 1993년 2월까지 매달 1회. 1998년 10월부터 1999년 8월가지 계절별로 1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1992년에 27종의 조류가 기록되었으며 텃새 74종, 여름철새 8종. 겨울철새 4종 그리고 나그네새 1종이었다. 종 수와 개체수는 5월과 10월에 각각 최대를 나타냈다. 1999년에 21종의 조류가 기록되었으며 텃새 16종, 여름철새 2종. 겨울철새 2종 등 그리고 나그네새 1종이었다. 1992년에 조류 종 수 및 밀도의 계절적 변화는 온대 낙엽활엽수림의 전형적인 패턴을 나타냈으나, 1999년의 계절적 변화는 다른 패턴을 나타냈다. 1999년에 텃새의 비율은 1992년의 동일한 시기의 수치보다 높았고, 여름철새의 비율은 낮았다. 1983년 이후 팔달산 번식기 조류 군집의 길드 분석에서 관목층을 둥지자원으로 이용하는 관목층 영소 및 채이 길드의 조류는 종 수 및 개체수의 감소를 나타냈고. 여름철새의 종 수 및 개체수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관목층 영소 및 태이 길드에 속하는 조류와 여름철새의 서식을 위하여 하층식생의 보호가 필요하며, 수원시에 위치한 도시림인 광교산, 칠보산. 여기산, 숙지산, 팔달산으로 이어지는 녹지 네트워크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 PDF

Characteristics of Breeding Bird Communities in Mt. Namsan, Seoul, Korea

  • Rhim, Shin-Jae;Lee, Ju-Young;Kang, Jeong-Hoo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5호
    • /
    • pp.580-584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breeding bird communities between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s from April to June 2005 in Mt. Namsan, Seoul, Korea. Two 10ha areas were selected for territory mapping of breeding bird communities. Number of breeding bird species, pairs,density and bird species diversity index were higher in deciduous forest with increasing amount of foliage in the forest profile or as forest structures developed compared with coniferous forest. The number of in coniferous forest. The differences in habitat structure between both study areas are very likely to have influenced how breeding birds used the available habitat. Forest structure and its interactions with birds should be consideration in forest management for birds and their habitat.

서해안지역 조류 탐사 관련 과학관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ing bird-watching science museum in the Yellow Sea area)

  • 김진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212-421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히 건설이 진행되고 있는 세 곳의 조류 탐사관의 건축 및 전시 디자인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조류탐사관은 그 전시물의 내용상 자연사 박물관에 가까운 형식을 갖는다. 그러나 주로 조류의 관찰과 생태에 그 초점을 두는 전문화된 전시관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조류 탐사 시설은 최근의 지역주의와 관광 자원 개발의 유행에 따라 난개발의 우려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초 조사를 통해 지역의 문화 유산을 보다 잘 보존하고 지역 문화 발전과 지역경제에 이바지하는 시설로 자리 잡는데 필요한 디자인적 요구 사항을 살펴보았으며 비교 분석을 통해서 추후 발전을 위한 디자인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시환경림 및 군락식재지의 배식 기법 연구 (Planting of Urban Environmental Forest and Community Planting Area)

  • 조우;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0-8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community planting method through analyzing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ree green space types and the relationship of vegetation and wild bird inhabitation of urban environmental forest in Seoul, Korea.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the vegetation stratification, coverage, and species diversity were closely related to the wild bird inhabitation. In addition, the environmental forest in study site was analyzed as a negative factor that may decrease the biodiversity. Therefore the ecological structure and environmental condition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nvironmental forest. Based on results in three green space types, the planting species, density and species size for proper community planting were proposed in this study. The ecological niche relationships among sixteen selected species were also presented. The results will be provided as an valueable output for the completed community planting of urban green space in the central region, Korea.

  • PDF

만경강 지역 조류군집의 특성과 관리 방안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in Mangyeong River Area)

  • 이우신;박찬열;임신재;허위행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3호
    • /
    • pp.131-137
    • /
    • 2002
  • 본 연구는 1999년 8월부터 2000년 6월까지 총 4회에 걸쳐 만경강의 조류군집 특성과 관리 방안을 파악하고자 조류군집과 서식환경을 조사하였다. 만경강에서 조류의 서식환경으로 논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수역, 갯벌, 관목지대, 주거지, 비닐하우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총 88종의 조류가 관찰되었고, 종수는 10월에 58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개체수는 1월에 7,084개체로 가장 많았다. 만경강지역 조류군집의 특성은 잠수성 오리류의 종수가 적고, 상류와 하류의 지역별 서식환경의 차이에 따라 물새의 분포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수면성 오리류는 삼례대교 상류지역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도요 물떼새류는 하류지역의 갯벌을 주로 이용하였다. 따라서 만경강에 다양한 조류를 서식하게 하기 위해서는 일부 지역에 수심이 1m 이상 되는 지역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여 잠수성 오리류의 서식을 유도하고,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는 하변지역을 관목식생지로 복원할 것을 제안한다.

만경강 지역 조류군집의 특성과 관리 방안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in Mangyeong River Area)

  • 이우신;박찬열;임신재;허위행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2호
    • /
    • pp.61-67
    • /
    • 2002
  • 본 연구는 1999년 8월부터 2000년 6월까지 총 4회에 걸쳐 만경강의 조류군집 특성과 관리방안을 파악하고자 조류군집과 서식환경을 조사하였다. 만경강에서는 조류의 서식환경으로 논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수역, 갯벌, 관목지대, 주거지, 비닐하우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총 88종의 조류가 관찰되었고, 종수는 10월 58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개체수는 1월에 7.084개체로 가장 많았다. 만경강지역 조류군집의 특성은 잠수성 오리류의 종수가 적고, 상류와 하류의 지역별 서식환경의 차이에 따라 물새의 분포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수면성 오리류는 삼례대교 상류지역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도요?물떼새류는 하류지역의 갯벌을 주로 이용하였다. 따라서 만경강에 다양한 조류를 서식하게 하기 위해서는 일부 지역에 수심이 1m이상 되는 지역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여 잠수성 오리류의 서식을 유도하고,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는 하변지역을 관목식생지로 복원할 것을 제안한다.

도시하천의 생태공원화가 조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Eco-park Development on Bird Community in Urban Stream)

  • 김정수;구태회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3호
    • /
    • pp.97-102
    • /
    • 2003
  • 본 연구는 1996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서울시 양재천에서 생태공원화 사업이 조류군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공원화 이후 양재천에서 조류의 종수는 증가하였지만(r²=0.729, p<0.05) 개체수는 증감의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r²=0.050, p>0.05). 양재천에 서식하는 주요 종을 대상으로 살펴보면, 백로류(Herons)와 오리류(Ducks)는 공원화 이후 개 체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 는 하안식생의 복원과 둔치에 만든 인공연못과 관련 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에 도요류(Sandpipers), 물떼새류(Plovers) 그리고 할미새류(Wagtails)의 개체수는 감소하였는데 그 원인의 하나는 이들의 주서식지인 둔치의 자갈밭과 모래밭에 자전거 도로가 건설됨으로서 여기에 영향을 받아 개체수가 감소된 것으로 사료된다. 명금류(Songbirds)는 공원화 이후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부정기적인 제방의 덤불제거작업은 이들의 개체수를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하천 공원화의 일원으로 이루어진 하안식생복원, 인공연못 등과 같은 새로운 서식지 조성은 조류의 서식에 도움을 주었지만 자전거도로 건설과 부정기적인 덤불제거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광주시 도시공원의 식생구조 및 야생조류군집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Bird Community in the Urban Park of Gwangju City)

  • 이규완;이두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4-103
    • /
    • 2002
  • 도시공원의 자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광주시의 대표적인 근린공원 4개소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및 야생조류군집의 특성을 조사하고 그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군집의 특성 중 일부 공원에서 군집간에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의 종 및 개체밀도는 식생의 발달이 왕성한 천이과정의 식생구조를 보이는 송정공원과 상무공원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비교적 단순한 인공식생을 이루고 있는 안청공원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상층수관이 발달한 사직공원에서는 교목의 수관 및 고사목을 채이 및 번식장소로 이용하는 종류가, 중층이 가장 발달한 상무공원의 경우는 관목층에서 채이 및 번식하는 종류가, 하층이 발달한 송정공원에서는 땅바닥에서 채이하는 종류가 각각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의 종다양도와 조류의 종다양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교적 상층과 중층에서 활엽수가 우세한 사직공원과 상무공원에서 조류의 종다양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