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polaris sp.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Cytotoxic Ophiobolins Produced by Bipolaris sp.

  • Ahn, Jong-Woong;Lee, Mi-Kyoung;Choi, Sang-Un;Lee, Chong-Ock;Kim, Byung-Sup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406-408
    • /
    • 1998
  • 6-Epiophiobolin A, 3-anhydro-6-epiophiobolin A, and ophiobolin I were isolated from culture broth of Bipolaris sp. as cytotoxic agents against human tumor cells. Both 6-epiophiobolin A and 3-anhydro derivatives demonstrated significant cytotoxicity, having $IC_{50}$ values in the range of $1{\mu}g$/ml, which indicates that they have comparable cytotoxic potential with that of etoposide. The activity of ophiobolin I was, however, very weak compared with those of 6-epiophiobolin A and etoposide.

  • PDF

Bipolaris marantae sp. nov., A Novel Helminthosporoid Species Causing Foliage Blight of the Garden Plant Maranta leuconeura in Brazil

  • Lourenco, Carla Cristina Gomes;Alves, Janaina Lana;Guatimosim, Eduardo;Colman, Adans;Barreto, Robert Weingart
    • Mycobiology
    • /
    • 제45권3호
    • /
    • pp.123-128
    • /
    • 2017
  • A severe leaf spot, turning to foliage blight, was observed on leaves of Maranta leuconeura growing in a garden in Brazil (state of Rio de Janeiro) in 2015. A dematiaceous hyphomycete bearing a morphology typical of a helminthosporoid fungi was regularly found in association with diseased tissues. The fungus was isolated and pathogenicity was demonstrated through the completion of Koch's postulates. A morphology and molecular analysis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fungus belonged to the genus Bipolaris, which is characterized by having fusiform conidia, externally thickened and truncate hila and a bipolar pattern of germination. Additionally, homology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GAPDH sequences with sequences of other Bipolaris species, confirmed its generic placement. A phylogenetic study also indicated clearly that the fungus on M. leuconeura is phylogenetically distinct from related species of this genus, leading to the proposal of the new species Bipolaris marantae.

모의운송시 접목선인장의 품종별 품질변화 (Qualitative Changes in Grafted Cactus Cultivars during Simulated Transportation)

  • 윤정한;송종은;변혜진;박주현;김영호;손기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6호
    • /
    • pp.575-582
    • /
    • 2011
  • 본 실험은 접목선인장의 품질변화을 조사하고, 선박운송 중 발생되는 부패균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식물재료로 비모란의 '후광', '후홍', '연화', '황월'의 네 품종을, 산취의 '골드크라운', '옐로우크라운'를 사용하였으며, 모의 운송기간 중 생체중, 구경, $CO_2$ 발생량, 부패율을 측정하였다. 모의운송 40일 후에는 접목선인장을 온실 환경(평균온도 $28{\pm}12^{\circ}C$, 평균습도 $36{\pm}15.3%$)하에 두고 28일간 재생률과 부패율을 조사하였다. 모든 품종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체중과 구경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O_2$ 발생량은 품종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접수 부분이 삼각주 부분 보다 부패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부패에 따른 부패균을 분석한 결과, 비모란에서는 Alternaria sp., Cladosporium sp., Colletotrichum sp., Fusarium sp., Penicillium sp. 등이 조사되었으며, 산취에서도 Alternaria sp., Bipolaris sp., Cladospoirum sp. 등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접목선인장의 품질을 유지 및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확 후 부터 수출까지 부패발생 요인을 분석하고, 부패율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처리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유기농 찰옥수수종자 생산지의 병해충 발생 소장 (Occurrence of Diseases and Insects in Organic Sweet Corn Seed Production Area)

  • 김정순;고병대;곽재균;이명철;김창영;김정곤;심창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3-104
    • /
    • 2010
  • 찰옥수수 유기종자의 안전한 생산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병해충 제어가 필수적이므로 2개의 찰옥수수 품종(미백2호, 흑미찰)을 대상으로 2008~2009년에 병해충 발생 양상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8년 유기농 찰옥수수 종자 생산지의 우점 비산포자는 Alternaria sp., Cladosporium sp., Pyricularia sp., Collectotrichum sp., Helminthosporium sp., Bipolaris sp. 등이었고, Alternaria sp., Cladosporium sp. 및 Helminthosporium sp.은 전 생육기간에 관찰되었다. 종자 및 유묘에 나타나는 병해충 발생 양상은 종자가 발아하지 않고 썩는 경우와 유묘가 시들어 심하면 고사하는 증상을 보였으며, 거세미나방에 의해 땅가 부위가 잘려진 증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종자 및 유묘의 발병주율은 14~16% 미만이었다. 옥수수재배포장에서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조명나방의 발생밀도 발생밀도는 품종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2008년은 트랩당 3.5~20.5마리였고 2009년은 트랩당 0.5~6마리로 낮게 나타났다. 피해주율은 2008년은 7.5~21%이었으며, 2009년은 1~46%로 수확기까지 지속적으로 그 피해가 증가하였다. 잎마름병의 발병주율은 2008년도에 7~34%였으나 품종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2009년도는 6월 18일 처음 발생하였고, 8월 21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59%) 9월 25일에는 미흑찰(69%)이 미백2호(56%)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깜부기병의 발병주율은 2008년도에 5~15%였으며, 2009년에는 7월 17일 처음 발생하여 2008년에 비해 17일 정도 늦게 발생하였으며 발병주율도 8% 미만(9월 25일)으로 2008년에 비해 아주 낮게 나타났다. 깨씨무늬병의 발생주율은 2008년도에 발생 초기에는 평균 11%(미흑찰)이었다가 9월 19일 조사 때는 두 품종 모두 62%로 높게 나타났다. 2009년도 처음 발생 시기는 6월 8일 이후로 2008년에 비해 20일정도 일찍 발생하였으며 9월 25일까지 지속적으로 발병하여 약 86%까지 달하였으며 2008년에 비해 24% 이상 높게 나타났다.

Phylogenetic Status of an Unrecorded Species of Curvularia, C. spicifera, Based on Current Classification System of Curvularia and Bipolaris Group Using Multi Loci

  • Jeon, Sun Jeong;Nguyen, Thi Thuong Thuong;Lee, Hyang Burm
    • Mycobiology
    • /
    • 제43권3호
    • /
    • pp.210-217
    • /
    • 2015
  • A seed-borne fungus, Curvularia sp. EML-KWD01, was isolated from an indigenous wheat seed by standard blotter method. This fungus was characterized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Phylogenetic status of the fungus was determined using sequences of three loci: r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large ribosomal subunit, and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gene. Multi loci sequencing analysis revealed that this fungus was Curvularia spicifera within Curvularia group 2 of family Pleosporaceae.

벼 이삭마름병에 관여하는 진균의 검출 (Detection of Fungi Associated with Rice Ear Blight from Rice Seeds in Korea)

  • 심홍식;홍성기;홍성준;김용기;예완해;성재모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93-97
    • /
    • 2005
  • 벼 이삭마름병에 관여하는 진균의 종류로 일미벼에서는 Altemaria alternate($10.2\%$), A. padwickii($5.2\%$), Bipolaris oryzae($10.3\%$), Nigrospora oryzae($5.2\%$), Phoma sorghina ($6.3\%$) 등이 우점 하였으며,총 23종의 진균이 검출되었다. 대산벼에서는 A. alternate($9.6\%$), Cladosporium sp. ($7.5\%$), Curvularia lunate($2.2\%$), N. oryzae($15.1\%$) 등이 우점 하였으며, 총 13종의 진균이 검출되었다. 또한 이삭마름병으로 벼알이 심하게 오염된 경우에는 일미벼 현미에서도 B. oryzae($15.5\%$), A. alternate($5.5\%$), Fusarium graminearum($8.0\%$), N. oryzae($5.2\%$), P. sorghina($4.5\%$) 등이 높은 비율로 감염되어 있었다.

Distribution of Seed-borne fungi on Rice Seeds Affecting Rice Grain Qualify

  • Shim, Hong-Sik;Hong, Sung-Jun;Park, Hyo-Won;Kim, Yong-Ki;Yeh, Wan-Hae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19.2-120
    • /
    • 2003
  • Seed-borne fungal pathogens on rice seed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valuate their effect on rice grain quality. Rice seeds of two cultivars, Ilmibyeo and Daesanbyeo were collected from 27 areas of Korea and the fungal parasites on seeds were isolated by using a blotter method. Isolation frequency and number of species were varied from collection areas of seed samples. A total 13 species of fungi were identified from the seeds. Among them, Altemana alternata was the most frequent over the country. Bipoiaris oryzae most commonly from Gyeongbuk and Jeonbuk, Alternaria padwickii from Jeonbuk, and Nigrospora oryzae from Choongnam. However Bipolaris. oryzae, Alternaria padwickii, and Nigrospora oryzae were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fungi from Gyeongbuk and Jeonbuk, and Chungnam, respectively. B. oryzae, A. alternata, A. padwickii, and N. oryzae were dominants on Ilmibyeo showing 10.3%, 10.2%, 5.2%, and 5.2% infection rate, respectively. While, N. oryzae, A alternata, and Cladosporium sp. were most frequently isolated fungi from Deasanbyeo revealing 15.1%, 9.6%, and 7.5% infection rate, respectively. These fungi inhabiting on hulls or endosperms of rice seed might be considered as potential factors decreasing rice grain quality.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fungi on grain rice quality are undergo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