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tope Map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5초

비오톱지도 신뢰도 판단을 위한 식생유형 공간구획의 정확성 고찰 (Analysis of the Delineation Accuracy of Vegetation Type for the Information Reliability of the Biotope - Case Study of Seoul Biotope Map -)

  • 조우;홍석환;곽정인;한봉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75-581
    • /
    • 2010
  • 본 연구는 도시생태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반으로 활용되고 있는 비오톱조사자료의 현장조사 정확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관악구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2000년과 2005년의 비오톱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위성영상에서 확인가능한 상록침엽수림을 추출한 후 두 현장조사결과에 기초하여 현장조사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현장조사에 의한 세부 현존식생의 면적비율은 시기와 조사자의 차이에도 약 92%의 높은 유사도를 보였으나, 두 조사에서 동일한 식생유형이 지리공간상 일치하는 지역은 약 60%에 불과하였다. 인공위성영상에서 추출한 상록침엽수의 위치 분석 결과 2000년 조사와는 69.4%, 2005년과는 80.0%가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인공위성 영상 판독오류를 감안했을 때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보이고 있었다. 지금까지 비오톱조사시 현장조사에 의한 식생구분 에 대한 정확성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고 수행되어 왔으나, 향후 자료의 갱신이나 신규 사업에 있어서는 정확도 검증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 기준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원주시 섬강, 원주천의 비오톱유형별 야생조류 서식특성 연구 (Properties of Wildbirds Habitat according to Biotope Types at Seom River and Wonju Stream)

  • 노태환;피재황;최진우;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76-689
    • /
    • 2013
  •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도심지를 통과하는 원주천과 외곽의 국가하천인 섬강 전 구간을 조사하여 비오톱유형화를 통해 하천 자연생태 현황을 파악하고, 야생조류 출현위치를 파악하여 비오톱과 야생조류 출현현황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비오톱유형은 규모, 형태, 경관에 따라 중분류하였으며, 수문, 물리환경, 식생에 따라 소분류하였다. 또한 하천공간, 물리환경, 식생, 토지이용에 따라 비오톱유형을 세분류하였으며, 조사 결과 섬강은 21개 유형, 원주천은 19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야생조류는 2008년 1월과 5월에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각 조류의 출현위치를 표기하여 야생조류 출현지점의 비오톱 속성을 파악하였다. 야생조류 출현 현황은 섬강 전 구간에서 봄철 31종 795개체, 겨울철 49종 4,348개체이었고, 원주천에서는 봄철 34종 427개체, 겨울철 33종 3,442개체이었다. 섬강은 산지형 하천 중 합수부 퇴적지 자연하천 지역에 겨울철 26종 547개체, 봄철 12종 72개체이었으며, 농촌형 하천 중 퇴적지 및 습지식생이 넓게 형성된 자연하천 지역에 겨울철 34종 1,412개체, 봄철 24종 341개체이었다. 이에 농촌형 하천은 하폭이 넓고 유속이 느리며, 다양한 비오톱유형이 있어 야생조류 서식에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와 표현이 힘든 선형 하천구간에 정밀 비오톱 조사와 유형화를 통해 하천 전체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야생조류 출현현황을 조사하여 생물서식처 복원, 생태하천 조성, 하천정비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원주시 도심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또한 하천은 강우에 의해 비오톱 속성이 빈번하게 변경되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하천생태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할 것이다.

지속 가능한 개발 및 생태조경분야의 연구경향과 과제 (Issues and Trends concerning of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with ESSD)

  • 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9-156
    • /
    • 2004
  • All Papers on Ecological Landscape Degign in KILA from 1973 to 2003 are listed herein for finding research issues and trends. The emerging field of Ecological studies of landscape design is based on Landscape Ecology and Watershed Ecology, the Principles of which can be applied to surveying and evaluation, Planning and desig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focusing preservation of wildlife habitat and niche. This field can b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1. Sustainable site planning and index, 2. Ecological planning process and regulation, 3. landscape ecology and biotope map, 4. Watershed and eco corridor project, 5. Urban forestry and environment, and 6. artificial ground and restoration ecology.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findings from Paper review: 1. Sustainable index shall be studied about more specified sites. Water recycling facilities, and reservation wet land need to be studied. 2. Policy and legislation research on Ecological design shall be researched by expanding of the application field. Nature park planning and management fields shall be considered as the main theme of green networking Parts. 3. Landscape Ecological studies should be connected to practical surveying data, e.g. the eco-maps published by Environment Ministry. Traditional culture and science should be joined with the modem science. 4. Eco-corridor planning will go with the scenarios and theories of watershed ecology. 5. Urban forestry shall be studied with the wildlife's behavior and habitat. 6. Restoration engineering techniques should be reconsidered with the wildlife's existence and environmental affiliation.

바람길 조성을 위한 도시공간유형별 찬공기 유동 특성 분석 - 창원시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Cold Air Flow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Urban Spatial Types to Construct a Wind Road - Focused on Urban Area of Changwon -)

  • 이수아;송봉근;박경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0-47
    • /
    • 2022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공간유형에 따른 찬공기 유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공간유형은 창원시 도시생태현황지도의 토지이용현황도와 건물 정보, 지형 특성을 활용하여 군집분석을 통해 분류하였다. 찬공기 유동은 KLAM_21 모델링을 활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찬공기 양과 풍속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간유형은 건물의 밀집도와 높이, 토지이용 유형, 그리고 지형 특성인 평지, 계곡, 능선, 경사지가 고려되어 총 1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찬공기 유동은 도시 외곽의 산림지역 계곡부에서 찬공기가 생성되어 도로와 평지를 통해 이동하여 저지대인 창원국가산업단지에 축적되기 시작하고, 이후 도시지역 전반에 찬공기가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이 높은 지역은 찬공기의 유동이 많았고, 경사지와 능선부는 찬공기 축적이 적어 유동량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본 연구결과는 건물 밀집도와 토지이용 유형, 지형 형태에 따른 찬공기 유동 특성 파악이 가능하였고, 이는 도시지역의 기후 완화 및 대기질 개선을 위한 도시 바람길 조성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야생동물 서식지 잠재력과 공간가치분류를 통한 정책방향 설정 (Policy Decision Making Through Wildlife Habitat Potential With Space Value Categorization)

  • 장래익;이명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2
    • /
    • 2015
  • Beginning of the human ecology in 1920s, the efforts for applying the environmental values to a policy have been embodied by the enactments of international agreement and relevant laws. The government has been struggling to adopt the environmental values for the policy by enacting the relevant laws and establishing the environmental value evaluation informati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o-natural map, biotope map). In spite of the efforts to apply the environmental value assessment information for the habitat potential of wildlife, the application is being challenged by the discrepancy in methods and criteria. Thus this study intends to measure the potential of wildlife habitat and apply it to the spatial value classification for the application plan of wildlife habitat potential in policy. Maxent was used for the habitat potential and the land types were classified depending on the surface and land use pattern of cadastral map. As a result, the policy matrix including conservation strategy(CS), restoration strategy(RS), practical use strategy(PS) and development strategy(DS) has been deduced as CS $13.05km^2$(2.38%), RS $1.64km^2$(0.30%), PS $162.42km^2$(29.57%) and DS $8.56km^2$(1.56%). CS was emerged mostly on forest valleys and farmlands, and RS was appeared in the road area near the conservation strategy areas. Boryung downtown and Daecheon Beach were the center of DS, while the forest and farmlands were presented as P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uggest the new approaching method by comparing the wildlife habitat potential with the land type. Since this study evaluated the environmental value by one species of leopard cat (Prionailurusbengalensis) with Maxent model,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habitat potential measuring method for various target species as further research.

GIS와 국가인구통계자료 통합에 의한 입지분석용 정밀인구통계지도 구축 방법 (Method on Constructing Precision Population-statistical Map Integrating GIS and National Census Data for Location Analysis)

  • 이용익;홍성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302-330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입지분석에서 이용되고 있는 인구추정의 정확도와 신뢰성의 향상을 기하고자, GIS와 국가인구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정밀한 인구통계지도를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거지, 상업 및 업무지의 토지이용이 인구와 상관성이 높다는 것을 분석 도출하여, 세부 토지이용(비오톱) 유형별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런 후 인구거주 밀도 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인구를 동별 토지이용 유형별로 재분배하는 방법으로 정밀한 인구통구통계 지도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그간 다양한 입지분석에서 이용되었던 인구추정 방법보다 정확도와 신뢰성의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비오톱의 보전가치 평가도구(B-VAT) 개발과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iotop Value Assessment Tool(B-VAT))

  • 조현주;나정화;김진효;권오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1-145
    • /
    • 2013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 to analyze biotop type and carry out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in study areas, Daegu Science Park national industrial complex; to supply basic data for the landscape ecological planning; and to improve the application of assessment model with the development of Biotop Value Assessment Tool (B-VAT).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field survey showed 434 species of flora and 220 species of insecta. According to the result of biotop type analysis in the biotop classification system with field survey, 13 biotope groups and 63 biotope types were classified. In the map of biotop type classification, readjusted farmland biotop(FA) was prevalent and forest biotop(E) was shown to the southeast side of the site. Next, according to the first assessment with B-VAT, total 19 biotop types including natural river(BA) with abundant plants had I grade and total 16 biotop types such as vegetable garden adjacent to river(BC) had V grade. In terms of the second assessment, we analyzed total 30 areas, total 82 areas, respectively, which had special meaning for the conservation of species and biotop(1a, 1b) and which had meaning for the conservation of species and biotop(2a, 2b, 2c). This research will be a basic data, which can solve the damage problem systematically and control it landscape-friendly with biotop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which we developed. In particular, we expect that biotop value assessment tool(B-VAT) with GIS will be a great contribution to popularity compared with the value model by complicated algorism such as adding-matrix, weight and equal distribution. In addition, this will save the time and improve the accuracy for hand-counting.

지속가능한 자연환경보전계획 수립방향 연구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Plann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변병설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71-81
    • /
    • 2004
  • 최근 국토의 난개발이 발생하면서 자연생태계가 훼손되고 있어, 환경부는 기존의 사후관리와 통제중심의 환경정책에서 사전예방과 자율적 환경관리 정책으로 환경정책기조를 전환하고 있다. 자연환경 보전계획은 생태계와 야생동 식물을 보호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어 국토 전체의 자연환경을 체계적으로 보전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연환경보전계획의 공간화와 국토 도시계획과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자연환경보전계획의 수립실태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러한 자연환경 보전계획이 국토 도시계획과 유기적인 연계를 확보하기 위해 어떠한 방향으로 수립되어야 하는지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자연환경보전계획의 체계를 개편하는 것이 필요하고, 계획을 매체중심에서 공간환경 중심으로 개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도시지역에서는 비오톱지도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오톱의 조사내용, 조사방법, 도면화 방법 및 기준이 필요하다. 이와 아울러,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합리적인 역할분담 방안을 강구하고, 자연환경보전계획을 효율적으로 수립 추진하기 위한 민관협력체제의 구축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3차원 GIS를 이용한 생태지도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iotope Map Using 3D GIS)

  • 양수영;정인성;송길종;유남현;김원중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0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7 No.1(B)
    • /
    • pp.289-293
    • /
    • 2010
  • 21C 현대 문명사회에서는 도시의 고밀도 및 팽창으로 인하여 도시 내 생태계가 파괴되면서 생물서식처의 환경 악화 및 엄청난 감소가 초래되었으며, 그 결과로 인하여 인간과 생물이 접촉할 수 있는 공간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다. 또한 도시 영역의 확장을 위하여 산림 및 녹지의 감소, 녹지의 분절 및 단절화, 해안 매립 등이 계획 없이 무분별하게 진행됨으로써, 각종 동식물의 개체 수 감소 및 토양의 건조화 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 영향으로 생물종의 다양성이 떨어지고, 도시 생태계의 교란이 심해지고 있다. 이러한 도시 생태계의 교란은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시민들의 생활의 질이 떨어지게 하고 많은 환경 문제들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지속적이면서도 자연친화적인 도시발전을 위해서는 도시 내 자연생태계를 회복하고 생물서식공간을 종합적으로 보전하면서 복원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지만, 이를 체계적으로 이루기 위한 방법론의 부재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유럽을 중심으로 생겨난 비오톱(Biotope)과 비오톱 지도화 방법이 생태계를 보전하며, 시민들에게 다양한 자연체험과 휴양 기회를 제공하고 친환경적인 도시계획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비오톱 지도는 이미지 기반의 2차원 지도로 제공되고 있어, 거리 및 공간 분석에 취약하고 정보전달력이 부족하여, 익숙한 전문가가 아닌 경우 비오톱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간정보가 결여된 2차원 형태의 GIS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공간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위성영상과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이용하여 3차원 지형을 만들어 각 주제도별로 입체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동영상 녹화 기능과 3차원 객체 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고려한 도시의 설계를 진행하는 경우 3차원적인 모델링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이면서도 사용자의 이해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정보 전달력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우리나라 도시 특성을 고려한 도시생물다양성지수 적용성 검토 및 도시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지표 개발 (The City Ecological Soundness Index Development Based on the City Biodiversity Index (CBI) and Korean City Characteristics)

  • 윤형두;이장호;최인태;박석철;한봉호;김명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6호
    • /
    • pp.442-456
    • /
    • 2016
  •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SCBD)은 도시생물다양성지수(CBI)를 지방자치단체에서 도시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권장하고 있으며,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해외 여러 도시에 시범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생태적 측면에서 도시의 객관적 평가를 위해 도시생물다양성지수를 중심으로 국내 도시 특성을 고려, 도시단위로 구축된 자료를 활용하여 현재의 자료구축 상황에 적합한 지표를 도출하고 시범 적용하였다. 도시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지표(CESI)를 생물다양성, 생태계서비스, 행정 및 관리의 3개 영역 12개 지표로 구성하고, 그 계산방식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추후 모든 도시에 적용될 시 용이한 도시간 비교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목을 활용해 85개 도시의 유형을 분류하고, 도시생태현황지도의 활용이 용이한 18개 도시에 시범적으로 적용해 보았다. 도시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지표는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 관리하고, 생물다양성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