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sorbent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8초

해양 갈조류를 생물흡착제로 이용한 납흡착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Lead Biosorption by Biosorbents of Marine Brown Algae)

  • 이민규;서정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531-539
    • /
    • 1997
  • Lead sorption performances by biomass of nonliving, dried marine brown algae Undaria phnaunda, Hlzikia hsyormls. and Sugassum fulvellum used as biosorbent materials were investigated. As the amount of biosorbent materials added was increased, the lead removal by biosorbent materials Increased but the lead biosorption capacities decreased. However, with increasing Initial lead concentration the lead biosorption capacities by the biosorbent materials Increased but lead removal efficiencies decreased. In the range of Initial lead concentration(Co) 10-500 mg/L the lead biosorption capacities and removal efficiencies by the biosorbent materials Increased with increasing pH. Among the biosorbent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the lead biosorption capacities decreased in the following sequence: U. plilnaunda > H. fusiformis > S. fulvellum. The lead biosorption by biosorbent materials were expressed by the Langmuir Isotherm better than the Freundlich Isotherm. The biosorption rate could be expressed by the first order reaction rate equation for initial lead concentration like that rad : 0.288Co for U. phanda, rad = 0.255Co for H. fusiformis, and rad : 0.161Co for S. fulvellum. Key words : Lead, biosorption, biosorbent, Undaria pinnatinda, Hiztkia fusiformis, Sargassum fulvellum, Langmuir isotherm, Freundlich isotherm, biosorption rate.

  • PDF

Lead Biosorption by Biosorbent Materials of Marine Brown Algae U. pinnatifida, H. fusiformis, and S. fulvellum

  • LEE Mingyu;KAM Sangkyu;LEE Donghwan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36-943
    • /
    • 1997
  • Biosorbents of nonliving, dried marine brown algae Undaria pinnatifida, Hizikia fusiformis, and Sargassum fulvellum were investigated for their lead biosorption performances. As the amount of biosorbent added was increased, the lead removal by biosorbent materials increased but the lead biosorption capacities decreased. However the lead biosorption capacity by the biosorbent materials in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lead concentration and pH in the range of $C_o\;10\~500\;mg/L$. Among the biosorbent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the lead biosorption capacity in the solutions with no pH adjustment decreased in the following sequence: U. pinnatifida > H. fusiformis > S. fulvellum. Equilibrium parameters based on Langmuir and Freundlich isotherm were determined. It was found that the lead biosorption by biosorbent materials were expressed by the Langmuir isotherm better than the Freundlich isotherm.

  • PDF

생물흡착제의 고정화 방법에 대한 고찰 (Review for Immobilization Methods of Biosorbent)

  • 전충
    • 유기물자원화
    • /
    • 제19권2호
    • /
    • pp.16-21
    • /
    • 2011
  • 생물흡착제는 그 자체만으로 실제폐수처리에 적용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정화는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최근의 연구는 생물흡착제를 효과적으로 고정화시키는 방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미생물이나 다당류와 같은 생물흡착제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 많은 고정화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고정화 방법들(adsorption, covalent binding, entrapment, encapsulation, and crosslinking)을 소개하고자 한다.

중금속오염에 대한 수생식물의 on-site biosorbent기능 평가

  • 박소영;김영윤;이용민;강대석;이석모;성기준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62-164
    • /
    • 2008
  • 본 연구는 수계의 중금속 오염에 대한 수생식물의 biosorbent 기능을 평가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As, Cr, Cu, Pb에 대한 검정말(H. verticillata)의 흡착능이 높게 나타나 수생태계의 중금속오염으로 인한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biosorbent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캐나다 환경산업의 조류 바이오매스 이용 생흡착 기술 (Biosorption Technology Using Algal Biomass in Canadian Environment Industries)

  • 보후밀볼레스키;공석기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5년도 제13회 산화철워크샵
    • /
    • pp.3-14
    • /
    • 2005
  • We Investigated minutely how the biosorption technology using algal biomass is opened in Canadian technology society. Making comparative study for relative technologies in views of overall unit operation cost, we could grasp next facts. - Algal biomass plays the competitive performance for various metals. - Algal biomass biosorbent is regenerated. - Reactor system is not and involved one. This means that algal biomass occupies the strong position as biosorbent. Especially, in North America, for the purpose of metal bearing wastewater treatment, 20 hundred million US dollars was appropriated a sum for the purchase of ion exchange resin. But it is only thirty million US dollars if algal biomass biosorbent is used on behalf of ion exchange resin. Furthermore, the expenses for same treatment can be cut down additively through metal recovery.

  • PDF

폐슬러지로부터 섬유형 생체흡착제 제조방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Manufacturing Method for a Fiber Type of Biosorbent from Sludge Waste)

  • 서지혜;김남규;박문식;이선경;박동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641-647
    • /
    • 2014
  • 연구에서는 폐기물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폐슬러지를 원료로 사용하여 섬유(fiber) 형태의 생체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유기성 오염물의 용출 문제 및 처리수의 고액분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Ca-alginate를 이용해 폐슬러지를 고정화하였으며, 제조의 용이성 및 흡착제로써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섬유 형태로 생체흡착제를 제조하였다. Alginate 사용량을 최소화 하면서 제조한 생체흡착제의 성능을 최대화 하기 위한 고정화 조건은 alginate 농도 10 g/L, 폐슬러지 농도 40 g/L, 생체흡착제 직경 0.3~0.4 mm로 결정하였다. 제조한 섬유형 생체흡착제는 2가 양이온 중금속인 Cd(II)에 대해 60.73 mg/g의 최대흡착량을 보였으며, Cd(II) 흡착 거동은 Psuedo-second-order 속도모델과 Langmuir 등온흡착모델로 잘 설명되었다. 결론적으로, 하폐수 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슬러지는 생체흡착제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저렴한 원료이며, 이렇게 제조한 생체흡착제는 산업폐수에 함유된 유독성 중금속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탄자화균에 의한 납의 제거 특성 (Characteristics of Lead Removal by Methanotrophic Biomass)

  • 이무열;양지원
    • KSBB Journal
    • /
    • 제15권5호
    • /
    • pp.444-451
    • /
    • 2000
  • Nonliving methanotrophic biomass was used as biosorbent to remove lead which is one of representative pollutants in metal-bearing wastewater. Solution pH, maximum uptake, biosorbent dose and ionic strength were considered as major factors for adsorption experiments. The optimum pH range for lead removal was increased 3.8∼11.0 for methanotrophic biomass compared to biosorbent-free control, pH of 8.4∼11.2. Removal efficiency of lead by methanotrophic biomass was pH dependent, but less sensitive than that of control. In isotherm experiments with 0.2g biosorbent/L at initial solution pH 5.0, methanotrophic biomass took up lead from aqueous solutions to the extent of 1085 mg/g biomass. Removal amount of lead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biomass dose. According to biomass dose for initial 1000 mg Pb/L at initial pH 5.0, the optimum amount of biomass for maximum lead removal per unit methanotrophic biomass was 0.2 g biomass/L. As a result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micrographs equipped with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 lead removal by methanotrophic biomass seemed to be through adsorptions on the surface of methanotrophic biomass and exopolymers around the biomass. EDS spectra confirmed that lead adsorption appeared on the biomass and exopolymers that may be effective to lead removal comparing before and after contact with lead. Removal efficiency of lead was slightly affected by ionic strength up to 2.0 M of NaCl and NaNO$_3$respectively.

  • PDF

폐 활성슬러지의 화학적 개질을 통한 비소의 생물흡착 특성 (Biosorption Characteristics of Arsenate by Chemically Modified Activated Sludge)

  • 이상민;김동욱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5호
    • /
    • pp.579-585
    • /
    • 2005
  • 비소를 제거하기 위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생물흡착제 제조를 위해 폐 활성슬러지를 사용하여 생물흡착제로서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생물흡착제로 사용된 폐 활성슬러지는 비소 흡착능 향상을 위해 각각 9시간과 24시간 메틸화(methylation) 되었고 흡착된 비소는 24시간 메틸화한 활성슬러지가 9시간보다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24시간 메틸화한 활성슬러지의 비비소흡착량(specific As adsorption)은 0.06mmol As(V)/g biomass이고 용액의 pH가 비소에 미치는 영향은 생물흡착제로 사용된 활성슬러지가 메틸화된 후에도 지속되었다. 비소 제거에 대한 pH 영향은 5, 7, 9 세가지 경우에 대해서 조사되었고 이중 pH 5일때 비비소흡착량(specific As adsorption)이 pH 9인 경우보다 3배 큰 비흡착량을 나타내었다.

Bacillus sp. SK3l의 생물흡착제 흡착특성 및 생산 (Adsorption Properties and Production of Biosorbent from Bacillus sp. SK31)

  • 서현호;김형갑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3-43
    • /
    • 1999
  • 흡착제 생산균주를 선별하기 위하여 토양시료에서 분리한 홉착제 생산균주중 가장 뛰어난 흡착물질을 생산하는 균주, SK3l을 선별하였으며 분리균주 SK3l은 Bacilus속으로 동정되었다. Bacillus sp. SK3l에 의하여 생산된 흡착물질(생물흡착제 SK3l)은 ethanol 침전과 cetylpyridinium(CPC)침전을 통하여 정제하여 아연과 납 이온에 대한 흡착특성을 조사하였다. 생물흡착제 SK3l의 아연과 납 이온의 흡착량은 각각 52 mg/g과 112 mg/g이었다. Bacillus sp. SK3l 균주가 흡착제를 생산하기위한 flask수준에서의 배양조건들이 조사되었다. 흡착제 생산을 위한 최적 pH와 최적온도는 각각 7.5와 $30^{\circ}C$로 나타났다. 흡착제 생산시 주요한 탄소원과 질소원은 glucose와 ammonium nitrate이었다. 최적화된 배지에서의 흡착제 생산은 기초배지에서 보다 약 3배 증가하였다. Jar fermentor배양에서 배양 60시간에서 가장 많은 흡착제를 생산하였으며, 흡착제의 생산량은 9.2 g/$\ell$이었다.

  • PDF

화학적으로 변형된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반응성염료의 생물흡착 (Biosorption of Reactive Dyes using Chemically Modified Sewage Sludge)

  • 한민희;최기욱;윤영상
    • 청정기술
    • /
    • 제13권3호
    • /
    • pp.215-221
    • /
    • 2007
  • 생물흡착은 염색폐수로부터 염료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처리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흡착제로써 저가이면서 풍부한 소재중의 하나인 하수 슬러지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바이오매스의 변형을 통하여 흡착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FT-IR 분석과 적정실험을 통하여 흡착에 관여하는 작용기는 카르복실 그룹, 인산 그룹, 아민 그룹으로 판명하였으며 그 중에서 반응성 염료(Reactive Red 4, RR 4)를 흡착할 수 있는 작용기는 아민 그룹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음이온성 염료인 RR 4의 흡착을 저해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카르복실 그룹을 제거함으로써 흡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카르복실 그룹이 제거된 바이오매스의 최대 흡착량이 변형 전에 비해 pH 2에서는 130%, pH 4에서는 210%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화학적으로 변형시킨 하수 슬러지는 산업폐수내 염료제거에 효과적이면서 값싼 생물흡착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