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metric Signature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12초

Wearable Sensor-Based Biometric Gait Classification Algorithm Using WEKA

  • Youn, Ik-Hyun;Won, Kwanghee;Youn, Jong-Hoon;Scheffler, Jeremy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4권1호
    • /
    • pp.45-50
    • /
    • 2016
  • Gait-based classification has gained much interest as a possible authentication method because it incorporate an intrinsic personal signature that is difficult to mimic. The study investigates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o mitigate the natural variations in gait among different subjects. We incorporated several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to this study using the data mining package called Waikato Environment for Knowledge Analysis (WEKA). WEKA's convenient interface enabled us to apply various sets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understand whether each algorithm can capture certain distinctive gait features. First, we defined 24 gait features by analyzing three-axis acceleration data, and then selectively used them for distinguishing subjects 10 years of age or younger from those aged 20 to 40. We also applied a machine learning voting scheme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classification.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proposed system was about 81% on average.

손정맥 패턴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xtraction of a Hand Vein Pattern)

  • 김종석;백한욱;정진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3022-3024
    • /
    • 2000
  • Biometrics is the electronic recognition of individuals achieved through a process of extracting, and then verifying, features which are unique to that individual. This field is rapidly evolving technology that has to be widely adopted in a broad range of applications. Many methods have been studied such as extraction of the facial features, the voice, the vein and even a person's signature. Among biometrics, a hand veins provide large, robust, stable, hidden biometric features. Hand vein patterns have been proven to be absolutely unique by Cambridge Consultants Ltd. Because of this advantage, hand vein recognition are recently developing field in the field of a security.

  • PDF

Iris Recognition Using Ridgelets

  • Birgale, Lenina;Kokare, Manesh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8권3호
    • /
    • pp.445-458
    • /
    • 2012
  • Image feature extraction is one of the basic works for biometric analysis. This paper presents the novel concept of application of ridgelets for iris recognition systems. Ridgelet transforms are the combination of Radon transforms and Wavelet transforms. They are suitable for extracting the abundantly present textural data that is in an iris. The technique proposed here uses the ridgelets to form an iris signature and to represent the iris. This paper contributes towards creating an improved iris recognition system. There is a reduction in the feature vector size, which is 1X4 in size. The False Acceptance Rate (FAR) and False Rejection Rate (FRR) were also reduced and the accuracy increased. The proposed method also avoids the iris normalization process that is traditionally used in iris recognition systems.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an accuracy of 99.82%, 0.1309% FAR, and 0.0434% FRR.

개인 인증을 위한 생체인식시스템 사례 및 분류 (Biometrics for Person Authentication: A Survey)

  • 안큐 아가와;어비짙 판디야;노영욱;김광백
    • 지능정보연구
    • /
    • 제11권1호
    • /
    • pp.1-15
    • /
    • 2005
  • 어떤 조직에서 사용자 접근이나 e-Commerce 또는 다른 보안 응용에서 사용하기 위해 보안이 뛰어난 인증 방법을 찾을 때 생체인식시스템이 최근에 보다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생체인식시스템은 개인 인식에서 전통적인 방법보다 뛰어난 보안성과 편리성을 제공한다. 생체인식시스템은 어떤 응용 분야에서는 기존의 기술을 대체하거나 보조하고, 다른 응용 분야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접근방법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문, 손 모양, 얼굴, 귀, 홍채, 서명과 필적을 포함한 여러 생체인식 방법들을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이들 방법들은 특정 응용 분야에서 매우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 응용 분야에 적합한 생체 인식 방법들을 찾아서 분류하였으며, 어떤 방법은 다른 방법에 비해 침입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생체인식기술의 연구동향 (Research Trend of Biometrics)

  • 김진환;조혁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824-827
    • /
    • 2005
  • 개인의 정보뿐만 아니라 산업체나 국가기관의 정보보안에 있어서 비밀번호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되어왔다. 그러나 비밀번호는 암기에 대한 부담, 정보 누출의 문제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해킹기술에 의하여 거의 무용지물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인터넷 금융 업무를 위해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공인인증서(PKI, 공개키기반구조)도 비밀번호 방식에 근간을 두고 있는 것이다. 사람은 손 모양, 지문, 손등의 혈관 패턴, 눈동자의 망막, 홍채, 서명, 음성 등 저마다 다른 생리적(Physiological), 행동적(Behavioral)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것이 한계에 이른 개인의 비밀번호를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생체인식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생체인식기술에 대한 종류, 시장 분석, 다중생체인식, 표준화,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및 생체인식산업의 향후 전망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Evolution of PKI Internet Banking in Korea

  • Park, Seungchu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1호
    • /
    • pp.44-57
    • /
    • 2019
  • Most banks in Korea have provided Internet banking services based on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certificates since the early 2000s when Internet banking began in Korea. To support PKI Internet banking, the Korean government backed the electronic signature law and supported the rapid spread of PKI-based Internet banking by regulating the application of PKI certificates to be compulsory in Internet banking until 2015. PKI Internet Banking in Korea has been developed as a pioneer in this field through many challenges and responses until its present success. Korea's PKI banking, which started with soft-token-based closed banking, has responded to various types of cyber attack attempts and promoted the transition to open banking by accepting various criticisms due to lack of compatibility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security of PKI Internet banking,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such as biometric-integrated smartphone-based PKI authentication. In this paper, we primarily aim to share the experience and lessons of PKI banking by analyzing the evolution process of PKI Internet banking in Korea. It also has the purpose of presenting the challenges of Korea's PKI Internet banking and sharing its development vision.

한국형 아유르베다(Āyurveda) 체질유형 검사지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titutions in Ayurveda Questionnaire)

  • 정미숙;임애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62-70
    • /
    • 2016
  • 이 연구는 한국형 아유르베다 체질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검사지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각 대상자는 63문항에 대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아유르베다 체질을 7체질로 개념화하고 우선 27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체질 검사의 신체 특성인 41문항에 대한 내적 일관성 신뢰도(Cronbach's ${\alpha}$)는 0.757로, 심리에 대한 질문 22문항에 대한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0.616으로, 그리고 전체 63문항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0.840으로 유의미한 수준이었다. 신체에 대한 질문 4번과 심리 9번 문항의 경우 문항 총점과의 상관(item-total correlation)이 음의 값으로 응답의 일관성(신뢰도)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순수 바따, 삣따, 까파 유형 대상으로 신체 4번, 심리 9번을 삭제 한 나머지 61문항의 신뢰도는 0.864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는 복합체질을 제외한 순수체질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응답의 일관성을 나타내는 내적 일관성 신뢰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타당도에서는 아유르베다 전문가의 판단과 검사지 응답의 문항점수 간의 일치도 카파(kappa) 계수는 0.619로 유의미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형 아유르베다 체질 검사지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