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logical pre-treatment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31초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엇갈이배추 중 bistrifluron과 fluopicolide의 잔류 특성 연구 (Residual Characteristics of Bistrifluron and Fluopicolide in Korean Cabbage for Establishing Pre-Harvest Residue Limit)

  • 이동열;정동규;최근형;이득영;강규영;김진효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1-369
    • /
    • 2015
  • 본 연구는 엇갈이배추 중 bistrifluron과 fluopicolide의 잔류특성을 조사하여 약제별 잔류량 감소추이와 생물학적 반감기를 바탕으로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pre-harvest residue limit, PHRL)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온실 재배 중인 엇갈이배추에 안전사용기준 농도로 희석한 bistrifluron과 fluopicolide를 다른 두 지역의 포장에 각각 살포 후 0 (2시간), 1, 2, 4, 6, 8, 10일에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엇갈이배추 중 두 성분의 잔류농약은 acetonitrile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Florisil SPE cartridge로 정제한 후 HPLC/DA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시험농약의 정량한계는 $0.03mg\;kg^{-1}$이었고, 시험분석법의 회수율은 0.1 및 $0.5mg\;kg^{-1}$ 두 수준에서 87.2%~110.6%이었으며 상대표준편차는 모두 5% 미만이었다. 두 지역의 시험포장에서 엇갈이배추 중 각 시험농약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bistrifluron의 경우 3.9일과 4.2일이었으며, fluopicolide의 경우 4.9일과 4.2일로 나타났다. 잔류회귀감소식을 이용하여 엇갈이배추 중 bistrifluron과 fluopicolide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은 수확 10일 전 $3.83mg\;kg^{-1}$$3.23mg\;kg^{-1}$으로 제안하였다.

포도의 재배기간 중 살충제 bifenthrin의 생산단계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설정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 (PHRL) of Insecticide Bifenthrin during Cultivation of Grape)

  • 김성우;이은미;;박희원;이혜리;류명주;나예림;노재억;금영수;송혁환;김정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1-248
    • /
    • 2009
  • 본 연구는 포도 재배 중 살충제 bifenthrin을 살포하고, 살포 후 0, 1, 2, 3, 5, 7, 10, 15일에 포도 시료를 채취하여 bifenthrin을 분석하고 bifenthrin의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한 다음 생산단계 농약 잔류허용기준(PHRL; Pre-Harvest Residue Limit)을 설정하였다. 포도 중 bifenthrin은 acetonitrile과 dichloromethane 으로 추출 및 분배 하여 GC/ECD로 분석 하였다. Bifenthrin의 정량한계는 0.01 ng이었고, 평균 회수율은 0.1 및 $0.5\;mg\;kg^{-1}$ 두 수준에서 각각 $104.08{\pm}1.24%$$92.25{\pm}3.13%$이었다. 포도 중 bifenthrin의 기준량 및 배량 살포시 생물학적 반감기는 각각 21일과 23일로 계산되었다. 또한 증체량에 따른 희석효과가 bifenthrin의 잔류량 감소에 있어 주요인자로 작용하지는 않았다. 잔류감소 회귀식을 이용한 생산단계 농약 잔류허용기준은 수확 10일전 $0.60\;mg\;kg^{-1}$, 또는 5일전 $0.55\;mg\;kg^{-1}$으로 제안하였다.

상추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농약 Mandipropamid 및 Thiamethoxam의 잔류소실특성 연구 (Dissipation characteristics of mandipropamid and thiamethoxam for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s in lettuce)

  • 양승현;이재인;최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3호
    • /
    • pp.267-274
    • /
    • 2020
  • 상추 중 살균제 mandipropamid 및 살충제 thiamethoxam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PHRLs)를 추정하기 위해 3곳의 상추 시설재배지에서 두 약제의 경시적 잔류량 감소특성을 조사하였다. 상추 중 농약 잔류량은 HPLC-PDA 또는 UV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우수한 회수율 및 변이값을 보여 분석의 유효성을 확보하였다.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약제살포 권고량을 살포한 후 살포 후 수확일(PHI)을 포함한 10일 동안 출하시기에 적합한 개체를 채취하여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포장별 초기 평균 잔류량은 mandipropamid 6.68-17.87 mg/kg, thiamethoxam 4.96-8.31 mg/kg이었고 10일 경과 후 각각 초기잔류량의 16-54 및 14-44%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Thiamethoxam의 대사산물인 clothianidin은 <0.02-0.37 mg/kg으로 검출되었다. 상추 중 두 약제의 잔류량은 단순 1차 감쇄반응처럼 감소하였으며 포장구분없이 일자별 잔류량 회귀식을 산출한 결과, 평균 감소상수 및 생물학적 반감기는 mandipropamid의 경우 -0.1060 및 6.5일이었고 thiamethoxam은 -0.1236 및 5.6일이었다. 상추 잔류량 감소상수의 95% 신뢰구간 상한치는 mandipropamid -0.0746 및 thiamethoxam -0.1091이었으며, 출하 10일 및 5일 전 PHRLs은 mandipropamid의 경우 63.24 및 43.56 mg/kg, thiamethoxam은 44.66 및 25.88 mg/kg으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농가에서 농작물 출하시기를 조절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농가의 소득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Improvement of Distribution Facility in Wholesale Agricultural Products Market

  • Gal, Won-Mo;Kwon, Ki-Tae;Lee, Woo-Sik;Choi, Eun-Mee;Kwon, Lee-Seung;Seong, Seung-Hwan;Kwon, Woo-Taeg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53-65
    • /
    • 201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mma - irradiation on the effluent from food distribution in the larg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marke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istribution process as well as the agricultural and fishery distribution facili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order to reduce the odor, the smell was examined in the anaerobic digestion process by irradiating gamma rays to the wastewater of mixed food discharged from a large restaurant. An odor determination panel list was constructed to determine if the odor was present in the air dilution drainage and the odor concentration was analyzed by instrumental analysis. Results - It was confirmed that the sulfur content increased gradually from 3 months. Ammonia decreased from 33.57ppm at the initial measurement to 4.12 ppm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Methane production was highest at 100kGy when exposed to gamma rays of 0-200kGy at pH 12. In other words, it is considered that gamma irradiation doses are most effective at 100kGy and are suitable for large capacity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in terms of economic feasibility. Conclusions - In pre-treatment of compound food wastewater, gamma irradiation is most cost effective when examined at 100kGy.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pre-treatment method by gamma irradiation is much higher than the wastewater treatment in the large-scal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distribution market.

Protective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against Aflatoxin B1-Induced Hepatotoxicity in Rat

  • Kim, Yong-Seong;Kim, Yong-Hoon;Noh, Jung-Ran;Cho, Eun-Sang;Park, Jong-Ho;Son, Hwa-You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5권2호
    • /
    • pp.243-249
    • /
    • 2011
  • Korean red ginseng (KRG), the steamed root of Panax ginseng Meyer, has a variety of biological proper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Aflatoxin $B_1$ ($AFB_1$) produced by the Aspergillus spp. causes acute hepatotoxicity by lipid peroxidation and oxidative DNA damage, and induces liver carcinoma in humans and laboratory animal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rotective effects of KRG against hepatotoxicity induced by $AFB_1$ using liver-specific serum marker analysis, histopathology, and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 nick-end labeling. In addition, to elucidate the possible mechanism of hepatoprotective effects,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malondialdehyde were analyzed. Rats were treated with 250 mg/kg of KRG (KRG group) or saline ($AFB_1$ group) for 4 weeks and then received 150 ${\mu}g/kg$ of $AFB_1$ intraperitoneally for 3 days. Rats were sacrificed at 12 h, 24 h, 48 h, 72 h, or 1 wk after $AFB_1$ treatment. In the KRG pre-treatment group,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malondialdehyde levels were low, but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were high as compared to the $AFB_1$ alone group. Histopathologically, $AFB_1$ treatment induced necrosis and apoptosis in hepatocytes, and led to inflammatory cells infiltration in the liver. KRG pre-treatment ameliorated these chang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RG may have protective effects against hepatotoxicity induced by $AFB_1$ that involve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KRG.

Delphinidin enhances radio-therapeutic effects via autophagy induction and JNK/MAPK pathway activat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Kang, Seong Hee;Bak, Dong-Ho;Chung, Byung Yeoup;Bai, Hyoung-Woo;Kang, Bo S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4권5호
    • /
    • pp.413-422
    • /
    • 2020
  • Delphinidin is a major anthocyanidin compound found in various vegetables and fruits. It ha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various other biological activitie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e anti-cancer activity of delphinidin, which was related to autophagy, in radiation-expose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Radiosensitising effects were assessed in vitro by treating cells with a subcytotoxic dose of delphinidin (5 μM) before exposure to γ-ionising radiation (IR). We found that treatment with delphinidin or IR induced NSCLC cell death in vitro; however the combination of delphinidin pre-treatment and IR was more effective than either agent alone, yielding a radiation enhancement ratio of 1.54 at the 50% lethal dose. Moreover, combined treatment with delphinidin and IR, enhanced apoptotic cell death, suppressed the mTOR pathway, and activated the JNK/MAPK pathway. Delphinidin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PI3K, AKT, and mTOR,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autophagy-induced cell death associated-protein in radiation-exposed NSCLC cells. In addition, JNK phosphorylation was upregulated by delphinidin pre-treatment in radiation-exposed NSCLC cell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delphinidin acts as a radiation-sensitizing agent through autophagy induction and JNK/MAPK pathway activation, thus enhancing apoptotic cell death in NSCLC cells.

생산단계 잔류허용 기준 설정을 위한 시설 재배 오이 중 살균제 Amisulbrom의 잔류특성 연구 (Dissipation Pattern of Amisulbrom in Cucumber under Greenhouse Condition for Establishing Pre-harvest Residue Limit)

  • 황규원;김태완;유재홍;박병수;문준관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88-293
    • /
    • 2012
  • 실내 재배 오이 중 살균제 amisulbrom의 생물학적 반감기 및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을 제안하고자 약제를 살포하고 재배기간 동안 잔류량을 확인하였다. Amisulbrom 1회 살포시 초기 잔류 농도는 $0.15mg\;kg^{-1}$이었으며 살포 5일 후 $0.06mg\;kg^{-1}$으로 감소되어 반감기는 3.6일이었다. 3일 간격으로 기준량 2회 살포시 초기 잔류량은 $0.35mg\;kg^{-1}$이었으며 살포 5일 후 $0.09mg\;kg^{-1}$으로 감소되어 반감기는 2.4일 이었다. 1회 처리 시의 잔류감소 회귀식을 이용한 생산단계 잔류허용 기준(PHRL)은 수확 5일 전 $1.83mg\;kg^{-1}$ 또는 2일 전 $1.03mg\;kg^{-1}$ 등으로 제안하였다. Amisulbrom 액상 수화제를 안전사용 기준에 따라 1회 살포, 또는 3일 간격 2회 살포 시 모두 살포 직후 잔류량은 오이 중 농약잔류 허용기준 보다 낮았다.

냉동 딸기의 비가열 전처리 기술 개발 및 최적 냉동조건 수립 (Non-thermal Treatment of Postharvest Strawberry and Establishment of Its Optimal Freezing Condition)

  • 강지훈;송경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1호
    • /
    • pp.55-60
    • /
    • 2015
  • 수출용 냉동딸기 제조 시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이산화염소수와 acetic acid 병합처리를 최적 비가열 전처리 기술로써 적용하여 -20, -70, $-196^{\circ}C$로 냉동한 후 미생물 수, 품질변화 및 관능평가를 조사하였다. 냉동방법 및 세척 처리에 따른 색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비타민 C 함량은 $-70^{\circ}C$ 냉동에서 35.33 mg/100 g FW로 가장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며, drip loss도 $-70^{\circ}C$ 냉동이 14.3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역시 $-70^{\circ}C$ 냉동이 -20, $-196^{\circ}C$ 냉동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세척처리는 비타민 C 함량, drip loss 및 관능평가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냉동딸기에 50 ppm 이산화염소수와 1% acetic acid를 병합 처리하여 냉동 후 미생물 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냉동 전과 같이 병합처리 된 딸기 시료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저장성이 높은 수출용 냉동딸기 생산을 위해서는 gas nitrogen convection chamber를 이용한 $-70^{\circ}C$에서의 급속냉동 처리가 보다 효과적인 냉동방법이며, 냉동 처리만으로는 미생물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냉동 전 비가열 전처리를 통해서 냉동딸기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낙동강 원수의 생물활성탄 및 오존처리공정에 따른 수질 변화 및 폴리오바이러스의 제거특성 (Water Quality Variation and Removal Characteristics of Poliovirus by Biological Activated Carbon (BAC) and Ozone Treatment Process in Nakdong River.)

  • 정은영;박홍기;이유정;정종문;정미은;홍용기;장경립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96-702
    • /
    • 2005
  • 오존처리는 음용수중의 유해한 미생물을 소독하는 처리기술로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생물활성탄 처리기술 역시 오염물질 제거를 포함한 음용수 제조과정에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이글의 병행처리는 원수중의 여러 물질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공정으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류의 매리취수장 원수를 사용하여 생물활성탄 정수처리공정 및 오존에 의한 수질 변화와 함께 폴리오바이러스 제거 효율을 조사하였다. 수질인자들은 BAC 여과를 거치면서 $NH^{+}_{4}-N$등을 포함한 모든 항목들은 거의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ilot-plant를 이용한 정수처리공정별 폴리오바이러스 제거실험에서는 전오존 접촉에 의해 $96.8\%$, 침전단계에서$99.3\%$, 여과단계에서 $99.6\%$의 바이러스가 제거되었으며, 후오존을 거친 BAC 여과수 시료에서는 세포배양법과 ICC-PCR 방법에서 바이러스가 $100\%$ 제거되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존농도에 의한 폴리오바이러스 제거실험 결과 0.4mg/1에서 5분간 접촉되었을 때는 약 $61.1\%$ 이상이, 0.8mg/1에서 10분 이상 접촉시킨 후에는 바이러스의 $100\% $가 불활성화 되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G-Protein-Coupled Receptor 120 Mediates DHA-Induced Apoptosis by Regulating IP3R, ROS and, ER Stress Levels in Cisplatin-Resistant Cancer Cells

  • Shin, Jong-Il;Jeon, Yong-Joon;Lee, Sol;Lee, Yoon Gyeong;Kim, Ji Beom;Lee, Kyungho
    • Molecules and Cells
    • /
    • 제42권3호
    • /
    • pp.252-261
    • /
    • 2019
  • The omega-3 fatty acid docosahexaenoic acid (DHA) is known to induce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via the in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nd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in many types of cancers. However, the roles of DHA in drug-resistant cancer cells have not been elucidat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HA in cisplatin-resistant gastric cancer SNU-601/cis2 cells. DHA was found to induce ROS-dependent apoptosis in these cells. The inositol 1,4,5-triphosphate receptor ($IP_3R$) blocker 2-aminoethyl diphenylboninate (2-APB) reduced DHA-induced ROS production, consequently reducing apoptosis. We also found that G-protein-coupled receptor 120 (GPR120), a receptor of long-chain fatty acids, is expressed in SNU-601/cis2 cells, and the knockdown of GPR120 using specific shRNAs alleviated DHA-mediated ROS production and apoptosis. GPR120 knockdown reduced the expression of ER stress response genes, similar to the case for the pre-treatment of the cells with N-acetyl-L-cysteine (NAC), an ROS scavenger, or 2-APB. Indeed, the knockdown of C/EBP homologous protein (CHOP), a transcription factor that functions under ER stress conditions, markedly reduced DHA-mediated apoptosis, indicating that CHOP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anti-cancer activity of DHA. These results suggest that GPR120 mediates DHA-induced apoptosis by regulating $IP_3R$, ROS, and ER stress levels in cisplatin-resistant cancer cells, and that GPR120 is an effective chemotherapeutic target for cisplatin re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