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logical evaluation of water quality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56초

실측 경사장 및 경사도를 고려한 양구 해안면 유역의 유사량 평가 (Evaluation of Sediment Yield using Area-weighted Measured Slope and Slope Length at HeaAn Myeon Watershed)

  • 유동선;김기성;장원석;전만식;양재의;김성철;안재훈;임경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69-580
    • /
    • 2008
  • In this study, area-weighted slope and slope length module, considering measured field slope and slope length of the agricultural fields within the subwatershed, was developed using the ArcView Avenue programming to reflect the field topography of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HRU in simulating the hydrology and water quality. Flow and sediment yield estimated values of the SWAT were compared with and without applying area-weighted slope and slope length module, developed in this study. There was 103% increases in estimated sediment with area-weighted slope and slope length module for the study watershed. The soil erosion and sediment yield from only agricultural field in Hae-an watershed was also assessed. There are 111% increase in estimated soil erosion and 112% increase in estimated sediment by applying area-weighted slope and slope length module. This study shows that the area-weighted slope and slope length module needs to be utilized in estimating the HRU field slope and slope length for accurate estimation of soil erosion and nonponit source pollutant modeling with the SWAT although it is not feasible to measure topographic information for every agricultural fields within the watershed. The area-weighted slope and slope length module can be used in identifying soil erosion hot spot areas for developing cost effective and efficient soil erosion management practices.

굴 세척액 유래 분말수프의 품질안정성 (Quality Stability of Powdered Soup Using Powder from Oyster Wash Water)

  • 허민수;이정석;김풍호;조문래;안화진;심효도;김진수;김인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4호
    • /
    • pp.224-229
    • /
    • 2001
  • 굴통조림 가공부산물(세척액) 유래 분말수프의 효율적으로 이용을 위해 이의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굴 세척액 유래 분말수프와의 품질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굴 열수추출물 유래 분말수프는 열수 추출물 분말 15 g,식염 5 g, 크림분말 19 g, 유장 분말 12 g, 밀가루 20 g, 옥수수 분말 15 g, 전분 5 g, 포도당 7.5 g, 양파가루 1.5 g을 각각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그리고, 굴 세척액 유래 분말수프는 첨가물을 굴 열수추출물 분말수프와 같은 비율로 첨가하되, 열수 추출물 분말 15g 대신에 세척액 유래 분말 15 g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이와같이 제조한 굴 유래 분말수프는 알루미늄 적층필름(OPP, $20{\mu}m$; PE, $20{\mu}m$; paper, $45\;g/m^3$; PE, $20{\mu}m$; Al, $7{\mu}m$; PE, $20{\mu}m$)에 포장하여 실온에 저장하여 두고 실험하였다. 굴 세척액 유래 분말수프의 경우 저장 중 수분함량, 수분활성, 과산화물값 및 지방산 조성은 거의 변화없었고, pH, 휘발성 염기질소, 갈변도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백색도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저장 중 성분 변화 경향은 굴 세척액 유래 분말수프와 굴 열수추출물 유래 분말수프 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들 굴 유래 분말수프를 식용할 수 있게 조리하여 관능검사한 결과 저장 12개월 동안 품질에 큰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검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굴 세척액 유래 분말수프는 알루미늄 적층 필름(OPP, $20{\mu}m$; PE, $20{\mu}m$; Paper, $45\;g/m^3$; PE, $20{\mu}m$; Al, $7{\mu}m$; PE, $20{\mu}m$)에 포장하는 경우 상온에서 12개월 동안 품질변화가 크게 인지되지 않아 안전하게 유통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전기화학적 처리에 의한 배추 절임염수 재이용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brine reuse on salting of chinese cabbage using electrochemical process)

  • 정희숙;이은실;한성국;한응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1-548
    • /
    • 2014
  • The pickling brine generated from the salting process of kimchi production is difficult to treat biologically due to very high content of salt. When pickling brine is treated and discharged, it cannot satisfy the criteria for effluent water quality in clean areas, while resources such as the salt to be recycled and the industrial water are wasted. However, sterilization by ozone, UV and photocatalyst is expensive installation costs and operating costs when considering the small kimchi manufacturer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economical process.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the pickling brine using electrochemical processing. The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organic matters has advantages over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active carbon absorption process, chemical oxidation, and biological treatment because the response speed is faster and it does not require expensive, harmful oxidizing agents. This study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electrochemical treatment for the efficient processing of pickling brine and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residual chlorine for the microbial sterilization.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처리가 결합된 장치형 하천정화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quipment Type of Stream Purification System that Applies Combined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Treatment)

  • 엄한기;김성철;김성수;김삼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73-281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tream purification equipment system combined MBP (Micro Bubble Process) and AGBP (Aerobic Granular Biofilm Process). Based on results, the optimal HRT (Hydraulic Retention Time) of MBP and AGBP set as 0.72 and 2.4 h, respectively. In the results of continuous operation on combined MBP and AGBP, it is possible to achieve a BOD, TSS and T-P removal efficiency of 85, 90 and 94%, respectively. It also confirmed that the water quality of the stream can be purified with increasing circulation flow through water simulation evaluation applied the QUAL-NIER model. Consequently this purification system can resolve the stream purification and dry stream problem.

오징어 내장유를 이용한 어육버거의 품질개선 (Quality Improvement in Fish Burger by Addition of Squid Viscera Oil)

  • 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318-322
    • /
    • 1997
  • 오징어 내장유를 식용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젤라틴, 물 및 정제 오징어 내장유로 형성된 유화물의 첨가에 의한 어육버거의 품질개선을 시도하였다. 과산화물값, 갈변도, 헌터색조, 젤리강도 및 관능검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고등어버거의 기능성 개선을 위한 유화물의 적절한 첨가량은 마쇄한 고등어육에 대하여 6%로 판단되었다. 채육한 고등어육에 대하여 6%에 해당하는 유화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등어버거는 휘발성 염기질소, 총균수 및 히스타민함량이 각각 19.0 mg/100g, $6.2{\times}10^4CFU/g$ 및 50.7 mg/100g으로 그 함량이 낮아 식품위생적으로 안전하다고 판단되었다. 유화물 첨가 고등어버거의 포화산에 대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1.13이었다. 색조, 젤리강도, 지방산조성 및 관능검사를 측정한 결과 유화물 첨가에 의해 고등어버거의 색조, 조직감 및 지질의 기능성을 일부 개선할 수 있었다.

  • PDF

생물활성탄 공정에서 계절별 유입수의 $Br^-$ 농도변화에 따른 THM 생성능 구성종별 제거 특성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THM Formation Potential According to the Changes of Bromide Concentration of Influent Water in BAC Process)

  • 손희종;유평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78-38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BAC 공정을 장기간 운전하면서 유입수중의 $Br^-$ 농도변화에 따른 THMFP 제거율을 평가하였다. BAC 공정을 장기간 운전하면서 THMFP 구성종별로 제거능을 살펴본 결과, $CHCl_3$ 생성능의 경우는 계절변화에 따른 유입수중의 $Br^-$ 농도변화에 따라 관계없이 우수한 제거능을 나타내었으나, 브롬계 THM 생성능의 경우는 유입수중의 $Br^-$/DOC 비가 증가할수록 제거율은 저하되었다. 또한, BAC 공정에서의 THMFP 구성종별로 제거특성을 살펴본 결과, 유입수의 $Br^-$/DOC 비가 높은 경우에 EBCT가 증가할수록 $CHCl_3$ FP의 제거율은 증가하였으나 브롬계 THMFP의 경우는 EBCT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THMFP 구성종의 브롬원자 개수가 많아질수록 제거율은 감소하였다.

Hydraulic and hydrologic performance evaluation of low impact development technology

  • ;;;최혜선;전민수;김이형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25-325
    • /
    • 2020
  • Low impact development (LID) is a widely used technology that aims to reduce the peak flow volume and amount of pollutants in stormwater runoff while introducing physicochemical, biological or a combination of both mechanisms in order to improve water quality. This research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hydrologic factors in removing the pollutants on stormwater runoff by an LID facility. Monitored storm events from 2010-2018 were analysed to evaluate the hydraulic and hydrological performance of a small constructed wetland (SCW).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water and wastewater were employed to assess the water quality of the collected samples (APHA et al, 1992). Primary hydrologic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recorded average rainfall intensity and antecedent dry days (ADD) of SCW were 5.26 mm/hr and 7 days respectively. During the highest rainfall event (27 mm/hr), the removal efficiency of SCW for all the pollutants was ranging from 67% to 91%. While on the lowest rainfall event (0.7 mm/hr), the removal efficiency was ranging from -36% to 62%. Rainfall intensity has a significant effect to the removal efficiencies of each facility due to its dilution factor. In addition to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of ADD to the mean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Generally, stormwater runoff contains significant amount of pollutants that can cause harmful effects to the environment if not treated. Also, the component of this LID facility such as pre-treatment zone, media filters and vegetation contributed to the effectivity of the LID facilities in reducing the amounts of pollutants present in stormwater runof.

  • PDF

단기 수리학적 충격부하시 침전지 내장형 상분리 산화구공정의 처리 안정성 평가 (Stability Evaluation of Phased Isolation Intra-Clarifier Ditch Process on Short-Term Hydraulic Shock Loading)

  • 홍기호;장덕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91-799
    • /
    • 2005
  • The phased isolation intra-clarifier ditch system used in this study is a simplified novel process enhancing simultaneous removal of biological nitrogen and phosphorus in municipal wastewater in terms of elimination of additional pre-anaerobic reactor, external clarifier, recycle of sludge, and nitrified effluent recirculation by employing intrachannel clarifier. Laboratory-scale phased isolation ditch system was used to assess the treatability on municipal wastewater. When the system was operated at the HRTs of 6~12hours, SRTs of 9~31days, and cycle times of 2~8hours, the system showed removals of BOD, TN, and TP as high as 88~97%, 70~84%, and 65~90%, respectively. The rainfall in Korea is generally concentrated in summer because of site-specif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the wet season has set in on June to August. In combined sewers, seasonal variations are primarily a function of the amount of stormwater that enters the syste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ydraulic shock loading on system performance, the laboratory-scale system was operated at an HRT of 6hours (two times of influent flowrate) during two cycles (8hours). The system performance slightly decreased by increasing of influent flowrate and decreasing of system HRT. Nitrification efficiency and TN removal were slightly decreased by increasing of influent flowrate (decreasing of system HRT), whereas, the denitrification was not affected by hydraulic shock loading. However, the higher system performance could be achieved again after four cycles. Thus, the phased isolation technology for enhanced biological nutrient removal in medium- and small-scale wastewater treatment plants suffering fluctuation of influent quality and flowrate.

특허 및 논문 게재 분석을 통한 수처리용 분리막의 연구동향 (Research Trend of Membrane for Water Treatment by Analysis of Patent and Papers Publication)

  • 우창화
    • 공업화학
    • /
    • 제28권4호
    • /
    • pp.410-419
    • /
    • 2017
  • 지구온난화, 환경오염, 가뭄 등의 재해현상으로 인한 물 부족 현상이 진행됨에 따라 수자원의 활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원천기술의 개발과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중 수처리 분리막 기술은 기존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공정보다 수질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약품 사용이 배제된 환경친화적인 공정이다. 수처리 분리막은 오폐수처리, 정수처리, 해수담수처리, 이온교환 공정, 초순수 제조, 유기용매 분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 기술은 점차 응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수처리 분리막의 핵심 기술은 분리성능을 조절하기 위한 기공 사이즈를 조절하는 것으로써 더 나은 성능을 나타내는 분리막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수처리용 분리막의 특허 및 논문의 기술경쟁력 평가를 통하여 국가별, 기관별 발표 빈도수를 정리하였으며, 오폐수처리용 분리막, 정수처리용 분리막, 해수담수화용 분리막, 그리고 이온교환공정용 분리막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제시해 보고자 한다.

생물학적 다변수 모델 적용 및 수화학 분석에 의거한 갑천생태계 평가 (Stream Ecosystem Assessments, based on a Biological Multimetric Parameter Model and Water Chemistry Analysis)

  • 배대열;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39권2호통권116호
    • /
    • pp.198-208
    • /
    • 2006
  • 본 연구는 어류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환경 평가기법 즉, '생물통합지수'라 불리는 다변수 모델기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4년 8월 ${\sim}$ 2005년 9월까지 갑천에서 5개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생물학적 자료와 함께 환경부에서 제공되는 장기간의 수진자료와 물리적 서식지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어류 군집에 기반으로 한 하천의 생몰학적 건강도 평가를 위하여 Karr(1981)가 제시한 12메트릭 모델을 국내 실정에 맞게 10메트릭 모델로 변형하여 적용하였다. US EPA(1993)와 Karr(1981)의 기준에 따르면 갑천의 평균 생물학적 건강도 지수는 24.0 (범위: 20 ${\sim}$ 30, n=5)으로 보동${\sim}$악화 상태를 나타내었다. 장마기간에 조사된 4차 조사를 제외한 나머지 조사 중 상류부(SI~S3)와 하류부(S4, S5)의 평균 생물학적 건강도 지수는 26.0${\sim}$24.0으로 나타난 반면 4차 조사는 상류부와 하류부가 각각 21.0과 20.0을 기록하였다. 이는 장마로 인한 교란현상을 시사하며 또한 하류부보다는 상류부가 장마의 영향을 심하게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리적 서식지 평가 지수는 75(보통)${\sim}$148(양호)상태를 보였다. 53은 75점을 기록하여 다른 지점에 비하여 상당히 낮은 수치(P=0.001, n=5)를 보였으며 생물학적 건강도 평가 지수 역시 24를 기록하여 상당히 낮은 수치를 보였다.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총인, 총질소의 네 항목은 상류에 비하여 하류에서 3${\sim}$8배 가랑 상승하였으며, 이는 생물학적건강도 지수가 이 ${\cdot}$ 화학적 수질과 물리적 서식지를 모두 반영하는 결과라 사료되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생물학적건강도 평가기법은 하천생태계를 현재를 진단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나아가서 하천생태계와 수질을 회복하는데 핵심도구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