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logical activities

검색결과 3,883건 처리시간 0.036초

Anti-angiogenic activities of tabanus and cnidii rhizoma

  • Kwak, Dong-Hoon;Lee, Hyung-Min;Park, Hee-Gon;Cho, Jung-Ran;Jeong, Heun-Young;Keum, Kyung-Soo;Jung, Kyu-Yong;Choo, Young-Kug
    • 한국동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학회 2001년도 공동 춘계학술대회
    • /
    • pp.70.1-70
    • /
    • 2001
  • No Abstract, See Full Text

  • PDF

인슐린요법을 받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심리적 인슐린저항성이 자가관리에 미치는 효과 (The Impact of Psychological Insulin Resistance on Self-Care Activitie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Undergoing Insulin Therapy)

  • 김미경;송효정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58-66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psychological insulin resistance and self-care activities and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self-care activitie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undergoing insulin therapy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August 29 to October 20, 2017, from th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visiting the Diabetes Mellitus Center at H-General Hospital in J-city. The subjects were 168 patients who had been being treated via self-injection for at least three months after the start of insulin therapy.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AS WIN 9.2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psychological insulin resistance was 61.25 (range 19-95) and the mean score of self-care activities was 53.19 (range 18-90). Self-car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t = -2.94, p= .004), perceived health status (F= 7.00, p< .001), and hypoglycemia during the last three months (t= -2.47, p= .015).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psychological insulin resistance and self-care activities (r= -.33, p< .001). Self-car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predicted by psychological insulin resistance, perceived health status, gender, and hypoglycemia during the last three months, and 19.0% of the variance in self-care activities was explained (F= 9.01, p< .001). Conclusion: Psychological insulin resistance in patients undergoing insulin therapy and its effects on self-care activities identifi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starting and maintaining insulin therapy in the future.

CLA의 생물학적 기능 (Beneficial Biological Activitie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 하영래;김정옥;김영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965-973
    • /
    • 2017
  • CLA는 탄소가 18개(C18)인 linoleic acid의 이중결합이 C9,C11; C10,C12 위치로 이동됨으로 생성되는 입체이성(c,c; c,t; t,c; t,t)체를 총괄적으로 일컷는 말이다. 이론적으로 가능한 이성체 중에서 c9,t11-CLA가 rumen bacteria, lactic bacteria, 버섯균 등의 linoleate isomerase에 의해 linoleic acid로부터 생합성된다. 그러나 linoleic acid를 알카리 이성화로 합성한 CLA에는 이론적으로 가능한 모든 CLA 이성체가 존재한다. 그 중 c9,t11-CLA와 t10,c12-CLA가 약 45%씩 동일량 존재한다. CLA가 1939 년 linoleic acid의 elaidinization 반응에서 처음으로 소개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과학적인 이용가치가 없어 과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1987년에 CLA가 7,12-dimethylbenz[a]anthracene (DMBA)으로 유도한 mouse skin carcinogenesis에서 항암성이 있다는 보고 이후 CLA에 관한 연구는 급속도로 증가하여 현재까지 약 6,100 연구논문이 발표되었다. CLA와 c9,t11-CLA 및 t10,c12-CLA 이성체는 in vitro와 in vivo에서 항암성, 항당뇨성, 항혈압성, 항동맥경화성, 면역증강성, 항산화성, 체지방감소성, testosterone 생산성 등의 생물학적 기능이 갖는다고 밝혀졌다. 이들 생리활성에 c9,t11-CLA와 t10,c12-CLA가 in vitro와 in vivo에서 다른 활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합성 CLA에 소량 혼합되어 있는 t,t-CLA가 carcinogen으로 유도한 동물모델이나 암세포에서 다른 이성체 보다 강한 항암성을 보이는 결과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될 것이다. 본 총설에서는 CLA 관련 연구가 시작된 1939년부터 현재까지의 CLA 연구 트렌드를 살펴보고 밝혀진 주요 기능성을 보고한다.

복분자의 유산발효와 생리활성 평가 (Lactic Acid Ferment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 장학길;박영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67-375
    • /
    • 2003
  • 복분자 과육의 농축액을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발효액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발효에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KCCM 32820, L. casei KCCM 12452,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KCCM 40104, Streptococcus thermophilus KCCM 40430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접종량은 대수증식기 말기의 배양액을 2%(v/v)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단독발효의 경우 L. casei의 발효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혼합 starter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L. casei와 L. lactis를 1:1로 혼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발효능을 나타내었으나 관능검사에 있어서 L. acidophilus와 S. thermophilus를 이용하였을 때 종합적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발효는 올리고당을 1%(w/v) 첨가하고 pH를 4.0, 발효온도를 $35{\sim}37^{\circ}C$로 하였을 때 $72{\sim}96$시간에서 가장 잘 이루어졌다. 발효액에는 glucose와 fructose가 주요 유리당으로 존재하였고 lactic acid 함량은 698.2 mg/100 g으로 발효전보다 9배 이상 증가하였다. 발효액의 생리활성을 측정한 결과 69%의 전자공여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기능은 pH 1.2에서 38.3%, SOD 유사활성과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각각 60.3%와 41.8%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발효액은 Escherichia coli 0-157:H7에 대해서는 17.3%의 생육저해율을 나타내 사용한 검정균 중에서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였으며 Salmonella typhimurium과 Bacillus cereus에 대해서는 각각 8.9%, 9.7%의 생육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는 7.2%의 생육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