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molecular reaction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2초

LASER 광려기 기상반응에 의한 III-V 족계 광전재기의 Hetero-Epitaxy 고찰 (LASER-Induced Vapour Phase Hetero-Epitaxy of A^{III}\;B^V$ Type Opto-Electronics)

  • 우희조;박승민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9-104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고밀도 광원 활용에 의한 유기금속화합물의 광분해 반응을 이용하여 AmBv 형광 전재료의 Hetero-epitaxy를 고찰하였다. 실제로 ArF Excimer laser(파장 193nm)에 의 하여 III족원으로 trlmethylgallium과 V족원으로 Ammonia의 2분자간 광분해 반응을 이용, (001)면 Sapphire 기판상에 증착시켰다. 생성되는 성막상태는 주사식 전자현미경, X-ray 회절 및 전자선 회절법 (RED)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Laser광려기 유무에 따라 결정병합 상태 및 결정형태에 현저한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결정격자의 방위성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이 주목되었다. 광원 조사방법은 수직조사에 의한 기판면 여기보다는 수평조사에 의 한 기상 반응물 여기가 더 효과적 이였다. Laser 광여기에 의한 성막층의 격자형성은 다음 과 같은 2가지 Model중 하나로 설명 할 수 있었다. (001)면 Sapphire//wurzite형 GaN의 (001) 면 또는 (001)면 Sapphire//wurzite형 GaN인의 (001) 면 -t Twinned Zincblende형의 GaN(111)면

  • PDF

Comparative Study of Emission Quenching of Tris(${\alpha},{\alpha}'$-diimine)-Ruthenium(II) Complexes in Homogeneous and Sodium Dodecyl Sulfate Micellar Solutions

  • Park, Joon-Woo;Nam, Eun-Jin;Ahn, Byung-Ta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2권6호
    • /
    • pp.686-691
    • /
    • 1991
  • Emission quenching of photoexcited tris(${\alpha},{\alpha} '$-diimine)-ruthenium(II) complex cations, $RuL_3^{2+}$ (L: 2,2'-bipyridine, 4,4'-dimethyl-2,2'-bipyridine; 4,4'-diphenyl-2,2'-bipyridine; 1,10-phenanthroline; 5-methyl-1,10-phenanthroline; 5,6-dimethyl-1,10-phenanthroline or 4,7-diphenyl-1,10-phenanthroline) by $Cu^{2+}$, dimethylviologen $(MV^{2+})$, nitrobenzene (NB), and oxygen was studied in aqueous homogeneous and sodium dodecyl sulfate (SDS) micellar solutions. The apparent bimolecular quenching rate constants $k_q$ were determined from the quenching data and life-times of $^{\ast}RuL_3^{2+}$. In homogeneous media, the quenching rate was considerably slower than that for the diffusion-controlled reaction. The decreasing order of quenching activity of quenchers was $NB>O_2>MV^{2+}>Cu^{2+}$. The rate with $Cu^{2+}$ was faster as the reducing power of $^{\ast}RuL_3^{2+}$ is greater. On the other hand, the rates with NB and $O_2$ were faster as the ligand is more hydrophobic. This was attributed to the stabilization of encounter pair by van der Waals force. The presence of SDS enhanced the rate of quenching reactions with $Cu^{2+}$ and $MV^{2+}$, whereas it attenuated the quenching activity of NB and $O_2$ toward $RuL_3^{2+}$. The binding affinity of quenchers to SDS micelle and binding sites of the quenchers and $RuL_3^{2+}$ in micelle appear to be important factors controlling the micellar effect on the quenching reactions.

(感光性 高分子에 關한 硏究 VII) Cinnamoylated Polymers의 光增感 硬化反應機構 ((Photosensitive Polymers VII) Mechanism of Photosensitized Curing Reaction of Cinnamoylated Polymers)

  • 김광섭;심정섭
    • 대한화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66-174
    • /
    • 1966
  • cinnamoylated photosensitive polymer의 광증감 경화반응기구를 반응속도론적으로 연구했다. Cinnamic acid(C)와 증감제(S)의 first excited singlet and lowest triplet energy level diagram과 증감제의 농도증가에 따른 sensitivity의 포화 등의 사실로부터 이 반응의 주요과정은 C와 S의 광 energy흡수에 의한 $C^{*(1)}$$S^{*(1)}$로의 여기, $S^{*(1)}{\to}S^{*(3)}$ intersystem crossing, S의 excimer 형성, $S^{*(3)}{\to}C^{*(3)}$ energy transfer 그리고 $C^{*(3)}$와 C의 termination 등임을 가정하고 다음 반응속도를 구했다. $-\frac{d[C]}{dt} = \frac{K_1[C]}{K_2 + [C]}[\frac{I^c_{abs}}{K_3 + [S]} + \frac{K_4[C]}{(K_5 + [C])(K_6 + [S])}(I^s_{abs} + \frac{K_7I^c_{abs}[S]}{K_8 + [S]})]$ $I^c_{abs}$$I^s_{abs}$ ;C 및 S의 광흡수율 $K_n$;상수 적외선 흡수스펙트럼 분석의 결과, Cinnamoyl 에스테르화도와 sensitivity의 관계 및 증감제의 농도와 sensitivity의 관계에 대하여 발표된 실험 data는 윗식을 만족시키므로 가정한 반응기구에 대한 뒷받침을 얻었다.

  • PDF

옥수수 잎의 RuBPCase 반응에 미치는 미셀들의 영향 (Effect of Micelles on the Reaction of RuBPCase in Maize Leaf)

  • 김의락;김현묵
    • KSBB Journal
    • /
    • 제9권3호
    • /
    • pp.325-331
    • /
    • 1994
  • RuBPCase에 의한 RuBP의 탄소고정화반응에 의해 생성된 PGA는 NADH에 의해 환원되어 GAP로 변한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이때 마반응의 NADH를 분광학적으로 측정하면 반응의 진척 도를 알 수 있다. 이 환원반응은 SDS 마생용액 속 에셔 촉진됨을 관찰하였다. 대부분의 단백질이 음이온성 미생과의 강한 상호작용으로 말미암아 불활성화된다는 사설과는 달리, 이 일련의 반응은 3~4종 의 효소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응 에 대한 저해현상은 관찰할 수 없였고, 오히려 $2{\times}10^{-2}M$ 의 고농도의 미생용액 속에서는 거의 모든 NADH가 산화되었다. NADH가 물층과 미셀층 사이에 엘정한 비율로 분포되어 있어서. 미셀에 결합된 NADH가 물층과 미생층의 경계변에셔 PGA와 반응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양이온성 (CTABr), 양쪽이온생 (Chaps), 비 이온성(Brij 및 Triton X-1OO)미생은 그들의 농도 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이 처음에는 급격히 증가하여 최대(NADH의 흡광도값 최소)에 이르나, 이후 감소(흡광도 증가)하다가 다시 서서히 증가하고, 이어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농도의 미셀 용액 속에서의 반응성이 비교적 급속히 증가하는 것 은 미셀속에 침투되어 있는 미반응의 NADH가 Stern층에서 PGA를 환원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어서 반응성이 다시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은 미생용액 속에서의 소수성 기질과 천수성 반응 물절의 두 분자반응의 전형적인 모형을 따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