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le duct proliferatio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7초

Cell Death and Proliferation after Treatment and Reinfection of Clonorchis sinensis in the Sprague-Dawley Rat Bile Duct

  • Min, Byoung-Hoon;Ahn, Ka-Young;Lee, Haeng-Sook;Kim, Soo-Jin;Joo, Kyoung-Hwan
    • Applied Microscopy
    • /
    • 제45권2호
    • /
    • pp.80-88
    • /
    • 2015
  • The structural change and distribution of mitochondrial enzyme (ATPase, cytochrome-c-oxidase), cell proliferation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cell death (caspase-3) and cell growth factor (fibroblast growth factor 8, FGF-8) in the Sprague-Dawley rat bile duct during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C. sinensis infection, superinfection and reinfection of C. sinensis after 'praziquantel' treatment group. As a result, C. sinensis infected rat bile ducts showed the features of chronic clonorchiasis, i.e., connective tissue thickening, ductal fibrosis and epithelial tissue dilatation. PCNA for cell proliferation increased in the infection group, and decreased after praziquantel treatment. Caspase-3 was distributed in reinfection group only. FGF-8 was distributed in the rat bile duct after praziquantel treatment but not distributed in infection and reinfection group. Overall, C. sinensis infection causes physical and chemical irritations and then brings on the abnormalities of intracellular energy metabolism and cellular growth factors, which hinders bile duct tissue from functioning properly, and resultingly, fibrosis occurs and epithelial cells dilated abnormally. More intense infection makes tissue fibrosis chronical and activates apoptosis factors.

한국염소에서 실험적 총담관부분 및 완전폐쇄에 따른 임상생화학적 연구 (Clinico-biochemical Study on Experimental Partial and Complete Obstruction of the Common Bile Duct in Korean Goats)

  • 유라경;정종태;남치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80
    • /
    • 1991
  • Clinical signs, serum chemical values and histological findings of hepatic tissue after partial and complete obstruction of common bile duct in Korean goats were investigated. Abnormal clinical signs were not observed in partial obstruction of common bile duct, but in complete obstruction clinical signs such as jaundice, urine color change, were observed. Serum total bilirubin, total cholesterol, aspartate aminotransferase, sorbitol dehydrogenase, gamma glutamyltranspeptidase, and total protein values increased on the 1-4th day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to normal level in partial obstruction. However, they tend to increase persistently by the 24th day in complete obstruction of common bileduct. Histologic features of hepatic tissue in partial obstruction were not changed as compared with normal hepatic tissue. On the other hand, in complete obstruction of common bite duct there were moderate bile duct proliferation in a portal area, rupture of bile canaliculi, phagocytosis of bile pigment by Kupffer cells, periportal fibrosis, intrahepatic bile stasis and hepatic cell necrosis.

  • PDF

백서의 총담관 결찰에 의한 간 섬유화의 초미세구조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Ultrastructur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Hepatic Fibrosis after the Lig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in Rats)

  • 문경래;노영일;서우철;박영봉;김만우;서재홍;박상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권2호
    • /
    • pp.185-193
    • /
    • 1999
  • 목 적: 답즙 정체를 주 소견으로 하는 만성 간질환의 대부분에서 담소관의 증식과 간섬유화가 관찰된다. 특히 간외 담도 폐쇄증에서 가장 현저하다. 그러나 섬유화의 병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총담관 결찰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담소관의 증식과 간섬유화의 진행과정 및 간섬유화에 대한 Ito 세포의 역할을 형태학적으로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방 법: 건강한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대상으로 총담관을 결찰한 후 15일, 21일, 24일, 28일째에 도살하여 담소관의 증식과 간 섬유화의 진행과정을 smooth muscle act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과 전자현미경적 검사를 하였다. 결 과: 1) 총담관 결찰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간문맥 중심으로 담소관의 증식과 결체조직의 증식이 증가하였다. 2)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에서 활성화된 Ito 세포는 smooth muscle actin에 양성반응을 보였고, 총담관 결찰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담소관주위와 동모양혈관 주의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3)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총담관결찰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Ito 세포가 증가하였으며, 지방적의 수가 감소한 근섬유모 세포를 닮은 Ito 세포와 근섬유모 세포의 수가 증가하였다. 결 론: 총담관 결찰후에 볼 수있는 간 섬유화는 활성화된 Ito 세포의 증가와 Ito 세포가 교원질을 분비하는 근섬유 모세포로 변형되기 때문에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총수담관 결찰에 의한 간외 담즙분비정체가 흰쥐의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약물속도론적 분석 (Pharmacokinetic Analysis of the Effect of Extrahepatic Cholestasis by Common Bile Duct Ligation on Hepatic Function in Rats)

  • 이용복;나은영;주은희;정숙진;고익배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5권3호
    • /
    • pp.193-204
    • /
    • 1995
  •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extrahepatic cholestasis induced by common bile duct ligation on the hepatic function, the pharmacokinetics of antipyrine and d-propranolol were investigated in rats. In addition, in an attempt to observe the degree of direct hepatic injur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and conventional pathologic test using serum were performed. Five days after common bile duct ligation, antipyrine(15 mg/kg) and d-propranolol(3 mg/kg) were intravenously administrated to the rats, respectively. The total clearances of antipyrine and d-propranolol were significantly(p<0.05) decreased. Because hepatic clearance of antipyrine poorly extracted by the liver and that of d-propranolol highly extracted by the liver are respectively dependent on the hepatic intrinsic clearance and the hepatic blood flow, it may be concluded that extrahepatic cholestasis following five days after common bile duct ligation decreased the hepatic intrinsic clearance and the hepatic blood flow. SGPT, SGOT, cholesterol, bilirubin(total bilirubin, direct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05). The proliferation of bile ducts was prominent, and degeneration and necrosis of hepatocytes were observed by light microscope. Also, ultrastructurally, bile canaliculi were containing the amorphous materials and losing microvilli, and SER and RER in hepatocytes were dilated and vacuolated.

  • PDF

담관의 관내 유두상 종양에서 발생한 간 내 담관암 1예: 8년 간의 경과관찰 (A Case of Intraductal Papillary Neoplasm of the Bile Duct with 8 Years of Follow Up)

  • 전혜경;김동욱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78-81
    • /
    • 2014
  • 담관암은 예후가 불량한 암으로 전암성 병변의 병리, 임상적 특징, 예후 등의 이해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관내 유두상 종양은 드문 질환으로 만성적인 담관의 염증이 동반되어 있는 환자에서 발생 위험이 증가하며 비교적 느리게 성장하고 덜 침습적인 특징이 있으나 악성 전환 가능성이 높은 질병이므로 첫 진단 시 조직학적으로 양성이라 하더라도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에 질병의 자연경과에 대한 보고는 적어, 저자들은 치료없이 8년간 경과 관찰하여 담관암으로 진행한 담관내 유두상 종양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간흡충(Clonorchis sinensis)감염에 의한 흰쥐 담관 섬유모세포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효소의 감소 (Reduction of Mitochondrial Electron Transferase in Rat Bile duct Fibroblast by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 민병훈;홍순학;이행숙;김수진;주경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2호
    • /
    • pp.89-99
    • /
    • 2010
  • 섬유모세포 (fibroblast)는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한 종류로서, 결합조직 전체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섬유모세포는 주위환경에 따라 형태가 쉽게 변하며, 대부분 결합조직내에 고정되어 분포하고 있지만 염증이 일어났을 때나 조직배양중에는 세포들이 이동하기도 한다. 또한 조직이 손상되었을 때 상처부위로 이동하여 대량의 콜라겐 층을 형성함으로써 손상된 조직을 복구시키기도 한다. 미토콘드리아는 전자전달계(electron transport system)를 통해 세포대사에 필요한 ATP를 생산하는 것을 주 기능으로 한다. 미토콘드리아의 형태적 변이와 산화적 스트레스 그리고 전자전달효소 결핍으로 인한 세포내 활성산소의 증가 등의 기능이상으로 세포의 노화가 이루어지기도 하며, apoptosis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지금까지 간흡충 (Clonorchis sinensis)에 감염된 담관 조직으로부터 분리하여 배양된 섬유모세포에서 나타나는 세포질돌기의 증가와 같은 형태적인 변화양상과 배양중의 섬유모세포에 간흡충 분비배설물질을 첨가할 경우 섬유모세포의 형태와 세포분열양상의 변화가 이루어진다는 보고가 있었다. 하지만 간흡충의 감염이 미토콘드리아 효소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간흡충 피낭유충을 실험쥐에 감염시킨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담관의 형태변화를 관찰하고,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과 담관으로부터 분리하여 배양한 섬유모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효소 분포를 확인하여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에 존재하는 섬유모세포가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 이상으로 인한 변이와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에 분포하는 섬유모세포에서는 주변 섬유성조직에 의한 물리적 손상으로 세포질이 파괴되고, 소포체의 확장 및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손상이 관찰되었다.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 효소는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 조직과 담관 섬유모세포를 분리하여 배양하였을 경우에 정상대조군에 비해 ATPase, COXII, porin의 분포가 감소하였다.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은 충체의 자극으로 인해 결합조직의 섬유화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담관에 존재하는 섬유모세포는 섬유조직에 의한 물리적 상해로 세포가 파괴되었다. 감염된 담관으로 부터 분리된 섬유모세포는 간흡충 감염에 의한 화학적 손상으로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효소가 감소되었다. 그 결과, 섬유모세포는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계 기능이상으로 인한 세포사멸이 유도될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간흡충의 감염은 물리적 자극에 의한 담관의 섬유화, 화학적 자극에 의한 섬유모세포 대사과정의 변이를 유발하며, 미토콘드리아의 경우 ATP 생성을 위한 섬유모세포의 전자전달효소의 분포를 감소시켜 정상 조직에 존재하는 섬유모세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담관의 섬유화가 유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담도결찰 흰쥐에서 영지배양 균사체 유래 다당체의 항섬유화 효과 검색 및 용량의존성시험 (Dose-dependent Antifibrotic Effect of Polysaccharide from Mycelium of Ganoderma Lucidum on Liver Biliary Cirrhosis in Rats)

  • 박은전;고건일;김재백;손동환
    • 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20-224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ose dependent antifibrotic effects of polysaccharide from mycelium of Ganoderma lucidum. The experimental hepatic cirrhosis was induced by bile duct ligation/scission (BDL/S) in rats. BDL/S rats in each group were dosed 0.5 mg, 2.0 mg, 5.0 mg or 10.O mg/rat/day orally for 4 weeks after the operation. Antifibrotic effects were evaluated by serum biochemical values, hydroxyproline contents, and light microscopical histolog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Hydroxyproline contents in liver of 5.0 and 10.0mg polysaccharide-treated BDL/S ra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2) In serum test, ALT, AST, ALP values in polysaccharide from Ganoderma lucidum-treated group were lower than BDL/S control group 3) The hepatic damage such as hepatocellular necrosis, inflammation, bile duct proliferation and fibrosis was less severe in the livers of 2.0 mg and 5.0 mg polysaccharide-treated ra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ysaccharide from mycelium of Ganoderma lucidum to be a promising agent for the inhibition of hepatic cirrhosis.

  • PDF

간섬유화(경화)를 유도한 실험동물에서 생약 추출물(LH)의 항산화와 항섬유화 효과 검색 (The Screening of Antioxidant and Antifibrotic Effect from Water Extracts of Herbs(LH) in Biliary Liver Fibrosis (Cirrhosis) Induced Rsts)

  • 임진아;김기영
    • 약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29-136
    • /
    • 2002
  • The pathogenesis of cholestatic liver injury as well as the modulation of hepatic fibrogenesis is causally associated with involvement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free radical reac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dried extracts of oriental medicine (LH) have antioxidant and antifibrotic effect under the biliary liver fibrosis (cirrhosis) c ondition. The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 six groups (Normal, N-LH, op-2, op-4, opLH-2, opLH-4) and were observed in 2 weeks or 4 weeks. For this purpose the rats were operated by bile duct ligation/scission (BDL/S), which induced to liver fibrosis and cirrhosis. After surgery, the prepared LH was administered p.o. 2 mι/day/rat in 2 weeks or 4 weeks for opLH group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jaundices appeared in eyes, ears and tail of all BDL/S operated rats. And at the time of sacrifice, cholestasis was observed in proximal bile duct, especially the color of bile juice and urine in opLH-4 group showed more clear than op-2, op-4 and opLH-2 group. The value of clinical parameters and product of lipid peroxidation (MDA) in sera and the hydroxyproline (hyp) content in liver tissu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liver fibrosis (cirrhosis) developed rats (p<0.001~0.05). Among the clinical parameters of sera, value of BUN, ALP in opLH-4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than in op-4 group (p<0.05, p<0.001). The content of hyp in opLH-2, opLH-4 group (478.0 $\pm$ 134.3 $\mu\textrm{g}$/g 897.5 $\pm$ 118.2 $\mu\textrm{g}$/g) showed lower than in op-2, op-4 group (528.9 $\pm$ 220.7 $\mu\textrm{g}$/g, 1023.8 $\pm$ 277.1 $\mu\textrm{g}$/g) and then the value of MDA in opLH-4 was also significantly reduced to 59.4% of that in op-4 group (p<0.001). The histological change (bile duct proliferation, fibrosis, collagen bundle) was similarly observed in op-2 group and in opLH-2 group, but the weak fibrosis and bile duct proliferation were observed in opLH-4 group compared with in op-4 group. Our data indicate that the 4 weeks treatment with LH extract suppressed lipid peroxidation and inhibited fibrotic (cirrhosis) process, and experimental cholestatic liver disease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lipid peroxidation in BDL/S operated rats. Hence we concluded that the measurement of MDA and hyp can be useful monitor for the screening of antioxidant and antifibrotic effect in experimental liver fibrosis (cirrhosis), and LH has been shown to have hepatoprotective effect, antifibrotic effect and antioxidant effect.

배양된 흰쥐 담관 섬유모세포에 대한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의 영향 (Effect of Clonorchis sinensis Excretory-secretory Product on the Cultured SD Rat Bile Duct Fibroblast)

  • 권정남;민병훈;이행숙;김수진;주경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2호
    • /
    • pp.117-124
    • /
    • 2009
  • 간흡충(Clonorchis sinensis)은 우리나라에서 높은 감염률(2.9%)을 나타내는 기생충으로(KAHP, 2004),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은 간흡충의 흡반에 의한 물리적 자극과 대사산물 및 분비물 등의 화학적 자극에 의해 담관염이 일어나고, 간흡충이 성장할 때 충체 주위의 담관 상피세포의 증식, 탈락, 담관 주위의 염증 및 섬유화가 일어난다. 담관 점막에 분포하는 섬유모세포는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한 종류로서 세포질돌기들이 잘 발달된 형태적 특징이 있으며, 세포질 내에 세포의 형태 유지, 신호전달, 인접세포와의 연접 등에 관여한다. 또한 조직을 발달시키고, 조직이 손상된 부위에서 콜라겐 층을 형성하여 손상된 조직이 복구되도록 하기도 한다. 상처의 반흔(scar) 형성과 지방축적, 염증(inflammation) 발생 과정에서 섬유모세포의 작용이 제대로 조절되지 못하면 섬유증(fibrosis)이 발달하게 된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흰쥐에서 분리된 담관 섬유모세포와 간흡충 감염 흰쥐에서 분리된 담관 섬유모세포를 배양하고, 각각의 실험군에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Cs excretory-secretory product, ESP)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된 섬유모세포의 미세구조 변화와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sialic acid 및 actin의 분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간흡충 감염에 따른 섬유모세포의 변화 및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의 자극에 따른 섬유모세포의 변화를 관찰하여 흰쥐의 담관 섬유모세포와 간흡충 감염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상 흰쥐 담관에서 분리한 섬유모세포(G1)에 비하여 간흡충에 감염된 흰쥐 담관에서 분리한 섬유모세포(G2)와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을 첨가하여 배양한 섬유모세포(G1-1, G2-1)의 증식속도가 느린 것이 확인되었다. 세포질돌기의 수는 간흡충에 감염된 흰쥐의 담관으로부터 분리된 섬유모세포(G2)에서 가장 많은 수가 관찰되었고, 배양배지에 분비배설 물질을 첨가하면 정상 담관의 섬유모세포에서도 세포질돌기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간흡충 대사물질은 섬유모세포의 세포질돌기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간흡충에 감염된 흰쥐 담관에서 분리한 섬유모세포(G2)의 소포체는 정상 담관에서 분리된 섬유모세포(G1)의 것에 비하여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여기에 분비배설 물질을 첨가하면 섬유모세포의 소포체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세포표면에 분비되는 sialic acid는 주로 세포질의 소포낭 주변에서 관찰되었으며, 정상 섬유모세포(G1, G1-1)보다 감염된 섬유모세포(G2, G2-1)에서 증가하였다. Actin은 세포표면과 세포질돌기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정상 섬유모세포(G1, G1-1)보다 감염된 섬유모세포(G2, G2-1)에서 반응이 증가하였고,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을 첨가하면 G1-1은 반응이 증가하고, G2-1은 반응이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간흡충에 감염된 흰쥐 담관의 섬유모세포는 세포질돌기들이 매우 발달하며, actin단백과 sialic acid가 증가하여 세포변형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간흡충 감염으로 손상된 담관의 섬유모세포로 구성된 결합조직은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으며, 세포질 부피 및 세포질돌기의 증가는 이루어지지만 간흡충 대사물질의 영향으로 섬유모세포의 분열 및 성장 속도가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 간흡충 감염으로 손상된 숙주의 담관 결합조직과 섬유모세포들은 간흡충 대사물질에 의하여 변형을 일으키고, 세포 활성 및 증식이 저하되므로 팽대된 담관은 간흡충이 사멸된다 하더라도 원상회복이 불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동물에서 복합천연물(DW)의 지질 과산화 억제와 간섬유화 저해 효과 검색 (The Extracts from Natural Product Complex (DW) Suppress Lipid reroxidation and Inhibit Liver Fibrosis (Cirrhosis) in Rats)

  • 정재열;임진아;박선영;서의석;제갈승주;김기영
    • 약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13-521
    • /
    • 2001
  • The chronic cholestasis induce to biliary liver fibrosis (cirrhosis) and the increased products of ROS(reactive oxygen species) cause to the liver damage. In this study ; the antioxidant and antifibrotic effect of dried extracts of oriental medicine (DW) was investigated under the liver fibrotic (cirrhotic) condition. The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 5 groups (Normal, Op-2, Op-4, OpDW-2, OpDW-4). Except for normal group, the rats were induced to biliary liver fibrosis (cirrhosis) by the operation of bile duct ligation/scission (BDU/S) and were observed in 2 weeks or 4 weeks. And the prepared DW was treated p.o.2 ml/day/rats in 2 weeks or 4 weeks for OpDW groups. At the time of sacrifice, the liver, kidney, spleen were weighed and the ratio of organ weight/body weight was calculated. The MDA, the hyp and biochemical parameters (GOT GTP, ALP, t-bili) were measured in sera and liver tissue of rats. The biochemical change was observed on liver tissue. In the result, the hepatomegaly and spleenomegaly appeared in all BDL/S operated rats, and significantly lower liver weight was observed in OpDW-4 group compared with in Op-4 group (p<0.05). The level of clinical parameters in sera of all liver fibrosis (cirrhosis) developed rats was higher than in normal group. Especial1y, the value of GOT in OpDW-2 group and ALP in OpDW-4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than in Op-2 group and Op-4 group (p<0.01, p<0.005). The content of hyp in all operation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normal group (p<0.05∼<0.005), and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 in the OpDW-4 group than in Op-4 group (p<0.05). The product of lipid peroxidationUDA) increased significantly under the fibrotic(cirrhotic) condition (p<0.05∼ <0.005), and the MDA value in OpDW-4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in Op-4 group (p<0.005). The histological change (bile duct proliferation, fibrosis, collagen bundle) was similarly observed in Op-2 group and in OpDW-2 group, but the weak fibrosis and bile duct proliferation were observed in OpDW-4 group compared with in Op-4 group. In conclusion, lipid peroxidation and severe liver damage were activated by bile duct obstruction, and the measurement of MDA and hap can be useful monitor for the screening of antioxidant and antifibrotic effect in experimental liver fibrosis (cirrhosis). The 4 weeks treatment with DW extracts suppressed lipid peroxidation and inhibited fibrotic (cirrhotic) process in BDL/S operated ra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