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le duct dilatation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9초

Cell Death and Proliferation after Treatment and Reinfection of Clonorchis sinensis in the Sprague-Dawley Rat Bile Duct

  • Min, Byoung-Hoon;Ahn, Ka-Young;Lee, Haeng-Sook;Kim, Soo-Jin;Joo, Kyoung-Hwan
    • Applied Microscopy
    • /
    • 제45권2호
    • /
    • pp.80-88
    • /
    • 2015
  • The structural change and distribution of mitochondrial enzyme (ATPase, cytochrome-c-oxidase), cell proliferation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cell death (caspase-3) and cell growth factor (fibroblast growth factor 8, FGF-8) in the Sprague-Dawley rat bile duct during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C. sinensis infection, superinfection and reinfection of C. sinensis after 'praziquantel' treatment group. As a result, C. sinensis infected rat bile ducts showed the features of chronic clonorchiasis, i.e., connective tissue thickening, ductal fibrosis and epithelial tissue dilatation. PCNA for cell proliferation increased in the infection group, and decreased after praziquantel treatment. Caspase-3 was distributed in reinfection group only. FGF-8 was distributed in the rat bile duct after praziquantel treatment but not distributed in infection and reinfection group. Overall, C. sinensis infection causes physical and chemical irritations and then brings on the abnormalities of intracellular energy metabolism and cellular growth factors, which hinders bile duct tissue from functioning properly, and resultingly, fibrosis occurs and epithelial cells dilated abnormally. More intense infection makes tissue fibrosis chronical and activates apoptosis factors.

간외담도에 발생한 신경내분비암종 1예 (Large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

  • 박지영;전태주
    • 대한소화기학회지
    • /
    • 제72권6호
    • /
    • pp.318-321
    • /
    • 2018
  • Primary neuroendocrine tumors originating from the extrahepatic bile duct are rare. Among these tumors, large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s (NECs) are extremely rare. A 59-year-old man was admitted to Sanggye Paik Hospital with jaundice that started 10 days previously. He had a history of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which he had undergone 12 years previously due to chronic calculous cholecystitis. Laboratory data showed abnormally elevated levels of total bilirubin 15.3 mg/dL (normal 0.2-1.2 mg/dL), AST 200 IU (normal 0-40 IU), ALT 390 IU (normal 0-40 IU), and gamma-glutamyl transferase 1,288 U/L (normal 0-60 U/L). Serum CEA was normal, but CA 19-9 was elevated 5,863 U/mL (normal 0-37 U/mL). Abdominal CT revealed a 4.5 cm sized mass involving the common bile duct and liver hilum and dilatation of both intrahepatic ducts. Percutaneous transhepatic drainage in the left hepatic duct was performed for preoperative biliary drainage. The patient underwent radical common bile duct and Roux-en-Y hepaticojejunostomy for histopathological diagnosis and surgical excision. 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the tumor exhibited large cell NEC (mitotic index >20/10 high-power field, Ki-67 index >20%, CD56 [+], synaptophysin [+], chromogranin [+]). Adjuvant concurre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were started because the tumor had invaded the proximal resection margin. No recurrence was detected at 10 months by follow-up CT.

간외담관 초음파검사의 주사방법 개선과 교육 후 주사 습득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echnical Approach Methods to Transabdominal Ultrasonography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s and of Following Effects from the Scan Training)

  • 이인자;강대현;김보영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2호
    • /
    • pp.149-159
    • /
    • 2008
  • 목 적: 지금까지의 경복부 초음파를 이용한 간외담관에 대한 검사는 주로 담낭과 간외 담도, 즉 총수담관(CBD)만을 확인하는 수준의 검사가 전부인 것처럼 여겨져 왔다. 그러나 저자들은 임상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간외담도의 비정상 확장에 대해 분석할 수 있고, 담도질환 유무 및 관련성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기술적 접근 방법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 새로운 이론을 기본으로 신뢰성 있는 검사 성적을 얻기 위하여 일정기간 교육 후 scanning 훈련을 시켜 그 효과를 평가함으로서 담관질환 검사의 새로운 기준을 정립코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초음파 교육생 30명을 대상으로 간외담관에 대한 새로운 이론에 근거하여 기술적 접근 방법에 대한 교육을 전수한 후 학생 1인당 3시간(30분${\times}$6회)을 배당하여 scanning 훈련을 집중였다. 교육 방법은 강사와 학생 1:1 방식으로 하였다. Scanning 훈련 후 평가 기준으로 모든 학생에게 5분 내에 간외담관 중에서 좌우 담관으로부터 (1) 담낭관 합류부(간외담관 및 담낭관), (2) 췌장 상부담관, (3) 췌두부내 담관, (4) 유두부내 공통관 등 네 분절을 명확하게 구분된 개념으로 scan하게 한 후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기존의 교육과 훈련 방식은 간외담관에 대한 경복부 초음파검사의 신뢰도가 매우 낮고, 췌장 상부 담관에만 국한적으로 영상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새로운 이론에 근거한 교육과 훈련을 마친 후 성적의 평가는 모든 학생(30명)이 (1) 담낭관 합류부(간외담관 및 담낭관), (2) 췌장 상부담관까지 객관성 있게 접근하였다. 24명의 학생이 (3) 췌두부내 담관 말단까지 접근하였으며, 1명의 학생만이 (4) 유두부내 공통관까지 영상화할 수 있었다. 결 론: 간내외 담관의 평가는 간내인성, 담관성 그리고 병태생리학적 다면 평가가 이뤄져야 하지만, 경복부초음파검사에 의해 간외담관을 유두부내 공통관까지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게 영상화시킬 수 있다면 단순 감별진단 목적으로 시행하는 ERCP같은 환자에게 고통이 수반된 침습적인 검사를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저자들이 제시한 새로운 검사방법으로 간외 담관에 대한 기술적 접근 방법을 scanning 훈련하여 임상에 적용하게 된다면 초음파의 객관적인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Anomalous Pancreaticobiliary Ductal Union and Pathologic Inflammation of Bile Duct in Choledochal Cyst

  • Park, So Won;Koh, Hong;Oh, Jung-Tak;Han, Seok Joo;Kim, Seung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7권3호
    • /
    • pp.170-177
    • /
    • 2014
  • Purpose: Choledochal cyst is a cystic dilatation of common bile duct. Although the etiology is presently uncertain, anomalous pancreaticobiliary ductal union (APBDU) is thought to be a major etiology of choledochal cys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lin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logies of patients diagnosed with choledochal cyst in a single institute for 25 years. Methods: A total of 113 patients, diagnosed with choledochal cyst and who received an operation in Severance Children's Hospital from January 1988 to May 2013, were included.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including clinical and demographic data, surgical procedures. Abdominal ultrasonography,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and intraoperative cholangiography were used as diagnostic tools for evaluation and classification of choledochal cyst and the presence of anomalous pancreaticobiliary ductal union. Todani's classific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APBDU and surgical pathology. Results: Among 113 patients, 77 patients (68.1%) presented symptoms such as hepatitis, pancreatitis and/or cholecystitis. Eighty three patients (73.5%) had APBDU, and 94 patients (83.2%) showed inflammatory pathologic changes. APBDU, pathologic inflammation, and serological abnormalities such as hepatitis or pancreatit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o one another. Conclusion: APBDU is thought to be one of the etiologic factors of choledochal cyst. It is related to the inflammatory changes in bile duct that can lead to the cystic dilatation.

급성 및 간헐성 총담관폐쇄에서의 $^{99m}Tc-DISIDA$간담도 스캔의 진단적 가치 (Diagnostic Value of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in Patients with Acute or Intermittent Common Bile Duct Obstruction)

  • 문대혁;이명혜;김명환;이영상;민영일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54-259
    • /
    • 1990
  • We examined patients with suspected acute or intermittent biliary obstruction using hepatobiliary scintigraphy, ultrasonography and contrast cholangiography. Of 16 patients with confirmed common bile duct obstruction, sonography and scintigraphy disagreed in 8(50%). Scintigraphy revealed partial or complete common bile duct obstruction in 13 patients (81.3%) and 6 of them had no evidence of dilated biliary trees. It is concluded that disagreement between sonography and scintigraphy is not rare in patients with acute or intermittent biliary obstruction and hepatobiliary scintigraphy is useful in diagnosing obstruction prior to ductal dilatation.

  • PDF

잡견 간흡충증의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Usefulness Comparative Experimental Study of the CT and MR Imaging in the Dog Clonorchiasis)

  • 구은희;권대철;김동성;최천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6권3호
    • /
    • pp.33-39
    • /
    • 2003
  • 잡견의 간흡충증에서 조영기법의 역동적 CT 영상과 MIP 기법을 적용한 자기공명 영상의 질을 비교하여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마리의 잡견(평균 20kg)에 실험적으로 간흡충증을 유발한 후 13주 동안에 간을 중심으로 CT 영상과 MR 영상을 얻었다. CT는 이중나선식방법으로 영상을 획득하였고, bolustracking 방법으로 조영제를 주입하여 arterial phase는 5초 후에 정맥기는 동맥기 scan후 15초에 시작하여 single dynamic scan을 하고, 데이터를 다 단면 영상을 얻기 위해 MnP로 재구성을 하였다. MR 영상은 circularly polarized phased away body coil을 사용하였고, HASTE, FLASH, TSE 기법을 이용하여 모두 2차원 영상을 얻었다. HASTE와 TSE는 해상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interpolation과 지방소거기법을 적용하였다.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식으로는 담관을 중심으로 3방향으로 수집한 다음 최대강도투사법으로 재구성하였다. CT와 MR 영상의 평가 방법으로서는 간내담관의 확장, 동맥기에 담관벽의 조영증강, 담관 말단부의 확장, 간의 실질조직묘사, 배경유무를 기점으로 병리학과 의사 1명과 방사선과 의사 3명, 방사선사 5명이 시각적으로 평가를 하였다. MR 영상의 경우 sequence 비교를 위해 정량적분석방법인 CNR과 CR로 평가를 하였다. 감염 후 5마리의 잡견은 죽었으며, 15마리 잡견에서 CT와 MR 검사에서 간내 담관의 만성 확장을 보여 주었다. 조영증강기법인 CT 영상에서는 간 실질조직을 비롯하여 담관벽의 조영증강이 보였고, MR 영상에서는 간내담관 형태와 담관의 말단부의 확장이 MIP 기법을 이용하여 3차원적으로 관찰되었고, CNR과 CR 값이 HASTE($16{\pm}0.83$, 73.3%), TSE($7.06{\pm}3.0$, 62.3%), FLASH($1.19{\pm}0.2$, 6.4%) 순으로 나타났다. CT와 MR 영상은 짧은 검사기법과 다양한 검사기법을 포함하고 있어 간흡충증을 영상화하는데 있어서 진단적 가치가 있다. CT와 MR 영상 검사의 장 단점을 서로 보안하여 검사를 시행한다면 높은 임상적 적용 가능성이 있다.

  • PDF

낭성 담도 확장을 동반한 담도 유두종증 1예 (A Case of Biliary Papillomatosis with Cystic Dilatation of Bile Duct)

  • 박유미;이광원;윤선옥;하지윤;박소영;이정호;장성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9권2호
    • /
    • pp.136-140
    • /
    • 2012
  • A 61-year-old male who complained of right upper quadrant pain was referred to the authors for evaluation after his computed tomography suggested biliary adenocarcinoma. The lesion consisted of multiple cysts with papillary mass and peri-ampullay mass. The patient underwent an operation due to a clinical suspicion of biliary cystadenocarcinoma, but the pathology confirmed biliary papillomatosis (BP) after diagnosing intrahepatic papillary neoplasm with high-grade dysplasia and invasive adenocarcinoma with papillary neoplasm from the distal common bile duct to the duodenum. BP is a disease characterized by multiple papillary masses. Its cause has yet to be discovered. It commonly manifests as bile duct dilation but rarely as a ductal cystic change. Under computed tomography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both the BP and the cystic neoplasm can show bile duct dilation and a papillary mass, which makes their differential diagnosis difficult. A confirmative diagnosis can be made through a pathologic examination. BP is classified as a benign disease that can become malignant and may recur, though rarely. Its treatment of choice is surgical resection. Laser ablation or photodynamic therapy can be used for unresectable lesions. In the case featured in this paper, biliary papillomatosis was difficult to differentiate from cystic adenocarcinoma due to diffusely scattered multiple large cystic lesions in the liver, and it was histologically confirmed to have become malignant with cystic duct dilation after the operation. This case is reported herein with a literature review.

  • PDF

Long-lasting sonographic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in cured clonorchiasis of rabbits

  • Choi, Dong-Il;Lim, Jae-Hoon;Kim, Seung-Kwon;Kim, Eung-Yeop;Lee, Me-Jeong;Hong, Sung-Ta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7권2호
    • /
    • pp.77-83
    • /
    • 1999
  • To ascertain residual sonographic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clonorchiasis after treatment, the present study evaluated sonographic findings in rabbits which were infected with 500 metacercariae of C.sinensis every 6 months for 18 months after treatment with praziquantel. The sonographic findings were analyzed in terms of intrahepatic bile duct dilatation and periductal echogenicity,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were observed after the last sonographic examination. Compared with the sonographic findings before treatment, dilatation of the intrahepatic bile ducts became mild to some degree in four of the seven cases and increased periductal echogenicity resolved in four of them. The histopathological specimens after 18 months showed that periductal inflammation has almost resolved but moderate dilatation of the intrahepatic ducts and mucosal hyperplasia persisted. The periductal fibrosis minimally resolved. The log-lasting sonographic findings in cured clonorchiasis make sonography less specific.

  • PDF

비결석, 비종양성 총담관 확장의 진단에 있어서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MRCP)의 유용성 (Usefulness of MRCP in the Diagnosis of Common Bile Duct Dilatation caused by Non-stone or Non-tumorous Conditions)

  • 정재준;양희철;김명진;김주희;이종태;유형식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6권2호
    • /
    • pp.129-136
    • /
    • 2002
  • 목적 : 총담관 확장을 유발하는 원인 중 결석과 종양을 제외한 여러 원인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MRCP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ERCP와 MRCP를 모두 시행받은 환자 26명 (남:여=15:11, 평균연령 62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중 12명은 역동적 MRCP를, 10명은 조영증강 MRI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총담관, 간내 담도, 췌관 등의 확장 정도, 간내 담도 결석, 췌장 가성낭종, 유두부의 부종이나 결절성 종대 등을 관찰하였다. 총담관은 T2-강조 관상영상에서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경우 7 mm 이상, 절제술을 받은 경우 10 mm 이상을 비정상적인 확장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환자의 총담관 평균 직경은 12.7mm(n=21, 9-19 mm)였고, 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평균 직경은 13.0 mm(n=5, 10-15mm)였다(p〉0.05). MRCP에서 담관염 11명(42.3%), 만성 췌장염 8명(30.8%), 원위부 총담관 협착 6명(23.1%), 팽대부 주위 게실 3명(11.5%), Vater 팽대부 협착, 오디 괄약근 기능장애, 췌장 두부의 국소적 췌장염이 각각 2명 (7.7%), 유두염, 췌장 두부 가성낭종에 의한 총담관 확장, 총담관 내 회충이 각각 1명(3.8%) 있었다. 췌관의 확장은 10명(38.5%)에서 보였고, 십이지장 게실은 3명(11.5%)에서 관찰되었다. 역동적 MRCP(n=12)에서 2명(16.7%)은 일반 MRCP에서 보이지 않던 원위부 총담관이 관찰되었고, 조영증강 MRI를 시행한 10명 중 1명 (10.0%)만이 유두염의 소견을 보였다. 결론 : 비결석, 비종양성 총담관 확장의 원인을 찾는데 있어서 MRCP는 총담관 원위부 협착 및 만성 췌장염, 역동적 MRCP를 이용한 생리적 총담관의 확장, 조영증강 MRI 를 통한 담관염 및 담관 외 병소의 발견 등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간흡충(Clonorchis sinensis)감염에 의한 흰쥐 담관 섬유모세포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효소의 감소 (Reduction of Mitochondrial Electron Transferase in Rat Bile duct Fibroblast by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 민병훈;홍순학;이행숙;김수진;주경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2호
    • /
    • pp.89-99
    • /
    • 2010
  • 섬유모세포 (fibroblast)는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한 종류로서, 결합조직 전체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섬유모세포는 주위환경에 따라 형태가 쉽게 변하며, 대부분 결합조직내에 고정되어 분포하고 있지만 염증이 일어났을 때나 조직배양중에는 세포들이 이동하기도 한다. 또한 조직이 손상되었을 때 상처부위로 이동하여 대량의 콜라겐 층을 형성함으로써 손상된 조직을 복구시키기도 한다. 미토콘드리아는 전자전달계(electron transport system)를 통해 세포대사에 필요한 ATP를 생산하는 것을 주 기능으로 한다. 미토콘드리아의 형태적 변이와 산화적 스트레스 그리고 전자전달효소 결핍으로 인한 세포내 활성산소의 증가 등의 기능이상으로 세포의 노화가 이루어지기도 하며, apoptosis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지금까지 간흡충 (Clonorchis sinensis)에 감염된 담관 조직으로부터 분리하여 배양된 섬유모세포에서 나타나는 세포질돌기의 증가와 같은 형태적인 변화양상과 배양중의 섬유모세포에 간흡충 분비배설물질을 첨가할 경우 섬유모세포의 형태와 세포분열양상의 변화가 이루어진다는 보고가 있었다. 하지만 간흡충의 감염이 미토콘드리아 효소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간흡충 피낭유충을 실험쥐에 감염시킨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담관의 형태변화를 관찰하고,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과 담관으로부터 분리하여 배양한 섬유모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효소 분포를 확인하여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에 존재하는 섬유모세포가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 이상으로 인한 변이와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에 분포하는 섬유모세포에서는 주변 섬유성조직에 의한 물리적 손상으로 세포질이 파괴되고, 소포체의 확장 및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손상이 관찰되었다.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 효소는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 조직과 담관 섬유모세포를 분리하여 배양하였을 경우에 정상대조군에 비해 ATPase, COXII, porin의 분포가 감소하였다.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은 충체의 자극으로 인해 결합조직의 섬유화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담관에 존재하는 섬유모세포는 섬유조직에 의한 물리적 상해로 세포가 파괴되었다. 감염된 담관으로 부터 분리된 섬유모세포는 간흡충 감염에 의한 화학적 손상으로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효소가 감소되었다. 그 결과, 섬유모세포는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계 기능이상으로 인한 세포사멸이 유도될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간흡충의 감염은 물리적 자극에 의한 담관의 섬유화, 화학적 자극에 의한 섬유모세포 대사과정의 변이를 유발하며, 미토콘드리아의 경우 ATP 생성을 위한 섬유모세포의 전자전달효소의 분포를 감소시켜 정상 조직에 존재하는 섬유모세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담관의 섬유화가 유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