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bliographic Referenc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의 특징과 과제 (A Literature Review on User Instruction of Korean Academic Libraries)

  • 김령은;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83-112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이용자교육 연구가 대학도서관의 이용자교육을 활성화하는데 얼마나 기여하였는지에 대해 조사하고 앞으로 지향해야할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1970년대 중반부터 2017년 현재까지 국내에서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을 주제로 하여 생산된 127편의 연구물을 수집하여 내용적, 방법적 특징을 조사하고 문제점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의 이용자교육 연구는 양적으로 빈약한 가운데서도 대학도서관의 이용자교육을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주제를 다루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러한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는 이용자교육을 활성화하고자 노력해온 대학도서관 사서들에게 '실효적인 지적 기반' 이 되지는 못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엇보다도 연구의 내용에 있어서 국내 고유 상황에 대한 토착적인 접근보다는 도서관선진국의 이론과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이 짙었으며, 연구의 방법에 있어서도 해외 자료와 양적 방법에 과도하게 의존하다보니 연구결과의 실효성에 있어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간염에 관한 문헌의 증가추세(1984-2003): 계량적 분석 (Trends in the Growth of Literature on Hepatitis(1984-2003): Quantitative Analysis)

  • Babu, B. Ramesh;Ramakrishnan, J.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1-50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1984년부터 2003년까지 200년에 걸쳐 MEDLINE과 CINAKL. IPA 등 3개 서지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간염에 관한 분야의 문헌의 증가추세를 계량과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기간 동안MEDLINE은 최대인 75,750건의 레코드를 수록하였으며, CINAHL, IPA의 순이었다. 특정지식영역의 연간문헌증가율은 동일하지 않으며, 연간증가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RGR을 적용하는 것이 아주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RGR은 감소추세를 보였는데, 다만 1985년과 1997년에 성장률에서 약간의 변동이 있었다. 대학과 기업, 연구기관들은 RGR 및 Dt와 관련한 성과에서 성장추세와 감소추세, 변동추세 등의 결과에서 혼재된 양상을 보여주었다. 간염연구는 논문수와 페이지수의 측면에서 연단위로 RGR과 Dt를 산정했을 때는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 PDF

꼴레쥬 드 프랑스 소장 한국 고서의 현황과 활용방안 (A Study on Status and Utilization of Korean Rare Books in Collège de France)

  • 이혜은;이희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35-251
    • /
    • 2011
  • 이 연구는 그 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꼴레쥬 드 프랑스에 소장된 한국고서를 실사(實事)하여 소장본의 규모와 전래경위, 자료적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꼴레쥬 드 프랑스 도서관에 한국고서가 유입된 역사적 배경과 과정을 조사하였으며, 서지목록을 작성하고 이를 대상으로 주제별 판종별 시기별로 분석하였다. 특히 구한말 한국고서의 현황과 프랑스 내 한국고서 소재파악의 중요한 참고문헌인 "한국서지(Bibliographie Cor$\acute{e}$enne)"를 저술한 모리스 꾸랑(Maurice Courant, 1865-1935) 개인 소장본과 꼴레쥬드 프랑스 소장본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이들 자료에 대한 서지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공동활용의 방안을 모색하여, 본 연구가 앞으로 국외소재 한국 전적문화재의 발굴과 조사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특허인용 예측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 Prediction Model of Patent Citation Counts)

  • 유재복;정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39-258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특허의 인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을 토대로 특허의 피인용횟수를 예측하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특허를 대상으로 5개 주제분야에 걸쳐 특허의 피인용횟수와 일정 수준 이상의 상관관계, 즉 5% 이상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밝혀진 페이지 수, 청구항 수, 참고문헌 평균 피인용횟수, 서지결합도, 문헌간유사도 등 5개 변수들을 토대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제시된 5개 주제분야의 특허인용 예측모형의 설명력은 주제분야에 따라 58.3%~89.6%로 나타났으며, 예측변수로 사용된 5개의 독립변수 중 특허 피인용횟수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변수는 '문헌간 유사도'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에서 추정된 주제분야별 예측모형을 토대로 산출한 특허 피인용횟수에 대한 예측값과 실제값을 비교한 결과 이들 예측모형은 5개 주제분야에서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거레코드 표목의 구조화 연구 - 인명과 단체명 전거레코드의 표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ucture of Headings in Authority Records)

  • 김태수;김이겸;이혜원;김용광;박지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40권3호
    • /
    • pp.1-2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거제어 방식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표목의 구조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표목의 연결 구조를 전거형식과 그 이형을 참조로 연결하는 구조에서 동등한 접근점 간의 연결 구조로 개선하였으며, 전거형식 대신 전거제어번호를 식별기호로 도입하는 방안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동명이인이나 동명이단체의 식별을 위해 관련 저작정보를 제시하는 등 추가 식별정보를 제시하였으며, 전거데이터 표기체계를 기술하여 전거데이터의 교환과 공유를 촉진시키는 데 활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 제시한 표목의 구조화 방식을 적용하여 전거레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전거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대표형식을 선정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이 있었던 기존의 방식과 달리 전거형식을 폐지해도 전거레코드의 작성 및 유지에 어려움이 없으며, 전거레코드의 식별과 교환 측면이 강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비처방의약품 허가 제도의 국가별 비교 연구 및 고찰 (Comparison of Approval Process for Nonprescription Drugs in Different Countries)

  • 김주희;이정;이관영;이경은;곽혜선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63-272
    • /
    • 2018
  • Nonprescription drugs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Korean healthcare. By leveraging lower-cost drugs and reducing expenditure associated with fewer physician visits, the nonprescription segment can deliver tremendous value to individual consumers and the Korean healthcare system. Many countries have provided simpler and more rapid routes to market entry for qualifying nonprescription drug products, using the established data on drug safety and efficacy, as well as public and professional opinion. In US, the FDA waived the pre-approval process for over-the-counter (OTC) drugs marketed through the OTC Monograph Process. In Australia and Canada, different OTC product application levels are defined, with a reduced level of assessment required when the risks to consumers are considered low. Japan established a new OTC evaluation system in 2014 to facilitate the Rx-to-OTC switch process. The legislative framework for medicinal products in the European Union allows for drugs to be approved with reference to appropriate bibliographic data for old active substances with well-established uses. Through a comparison of the regulatory framework and the requirements for nonprescription approval process in different countries, several ways to improve regulatory practice for the evaluation of nonprescription drugs in Korea have been suggested.

A Bibliometric Approach for Department-Level Disciplinary Analysis and Science Mapping of Research Output Using Multiple Classification Schemes

  • Gautam, Pitambar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8권1호
    • /
    • pp.7-29
    • /
    • 2019
  • This study describes an approach for comparative bibliometric analysis of scientific publications related to (i) individual or several departments comprising a university, and (ii) broader integrated subject areas using multiple disciplinary schemes. It uses a custom dataset of scientific publications (ca. 15,000 articles and reviews, published during 2009-2013, and recorded in the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s) with author affiliations to the research departments, dedicated to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and medicine (STEMM), of a comprehensive university. The dataset was subjected, at first, to the department level and discipline level analyses using the newly available KAKEN-L3 classification (based on MEXT/JSPS Grants-in-Aid system), hierarchical clustering, correspondence analysis to decipher the major departmental and disciplinary clusters, and visualization of the department-discipline relationships using two-dimensional stacked bar diagrams. The next step involved the creation of subsets covering integrated subject areas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departmental contributions to a specific area (medical, health and life science) using several disciplinary schemes: Essential Science Indicators (ESI) 22 research fields, SCOPUS 27 subject areas, OECD Frascati 38 subordinate research fields, and KAKEN-L3 66 subject categories. To illustrate the effective use of the science mapping techniques, the same subset for medical, health and life science area was subjected to network analyses for co-occurrences of keywords, bibliographic coupling of the publication sources, and co-citation of sources in the reference lists. The science mapping approach demonstrates the ways to extract information on the prolific research themes, the most frequently used journals for publishing research findings, and the knowledge base underlying the research activities covered by the publications concerned.

대학도서관의 목록이용연구 (Catalog use study : with reference to universities in Daegu)

  • 최달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9권
    • /
    • pp.241-266
    • /
    • 1982
  • This paper gives a summary and overview of a survey conducted at the catalogues of five universities in Daegu during November 1982.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ecure information about user needs in order to improve the catalogue in Korean university libraries. Data was collected by a combined method of questionnaire and interview. A total of 379 respondents were taken on a randomly selected sample of catalogue users.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Eighty-eight percent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had used the library more than twice a month. Nevertheless the number of students consulting the catalogue with the same frequency was only 220, or a n.0, pproximately 58 percent. Those who used the library most tended to use the catalogue more than those who rarely came to the library. 2. Those who had been shown how to use their own catalogue were only 32.5percent of which the students found the instruction sufficient for them to be able to use the catalogue were only 37.5 percent. In particular, they stated that instructions by printed materials and/or library orientation were so poor that they didn't give much help in using the catalogue. This problem makes many libraries to review their own method of instruction in order to encourage patrons to use the catalogue more effectively. 3. Most of the students consulted the catalogue in order to locate library materials. Known-item searches and subject searches were 84 and 16 percent respectively. While 70.5 percent of the students used the author-title catalogue without any difficulties, only 35.5 percent of those stated that using the classed catalogue was easy. 4. It was surprising that the number of students using title access in the search was far greater than that of students using author access. In contrast with this, other studies conducted by many earlier overseas investigators revealed that the great majority of patrons tended to use the latter first. Therefore, we should put more emphasis on the title entries in the catalogue itself as well as cataloging rules. 5. Most useful bibliographic elements in the entry were author, title, call number, date and publisher whereas edition, series statement and the location of publisher were rarely used compared with the other elements. Content note was the most desirable element in the entry to be involved, for many catalogers were used not to describe it on the note area. 6. The chief reason given for not using the catalogue was "I can manage without it" with "It's difficult to understand contents of the card entry." The other one was "It's useless to search materials by the catalogue because I've failed so many times to obtain them out of the stock." In response to this, circulation and acquisi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not to make such complaints any more.

  • PDF

교육용 과학언어 연구를 위한 범용 자료로서 과학교과서 말뭉치 K-STeC(Korean Science Textbook Corpus) 구축 (Building Korean Science Textbook Corpus (K-STeC) for research of Scientific Language in Education)

  • 윤은정;김진호;남길임;송현주;옥철영;최준;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75-58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에서 그 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과학언어 및 과학용어에 대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 20년간의 과학교과서 텍스트를 한 자리에 모아 과학교과서 말뭉치를 구축함으로써 다각도로 분석 가능한 형태의 언어 자원을 생성하였다. 말뭉치 구축 대상 자료는 6차 교육과정, 7차 교육과정, 2009 개정교육과정의 초등학교에서부터 고등학교까지 모든 과학교과서를 수집하고 이 가운데 두 개의 출판사에 해당하는 132권에 대한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원시말뭉치, 형태주석 말뭉치, 용어주석 말뭉치의 총 3단계로 구축하였다. 최종적으로 구축된 과학교과서 말뭉치를 K-STeC(Korea - Science Textbook Corpus)이라 명명하였다. K-STeC은 과학용어에 대한 의미 구분과 분야가 표지된 의미 주석 말뭉치로서 교육과정, 과목, 학년, 출판사의 서지 정보와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의 단원 정보, 페이지, 문장번호의 위치 정보와 함께 본문, 탐구활동, 참고자료, 제목 등의 텍스트 구조 정보를 메타정보로 마크업 하였다. 총 3년여에 걸친 연구 기간 동안 언어정보학, 컴퓨터공학, 과학교육학의 세 분야 전문가들의 노하우를 융합하여 새로운 연구 방법을 창출하였고, 다수의 전문 인력들이 투입되어 노동집약적 결과물을 내었다. 본 원고에서는 전체적인 연구 절차와 방법을 조망함으로써 새로운 연구 방법론 및 결과물을 소개하고 향후 과학언어 연구의 발전 가능성 및 결과물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차원 메타데이터 공간을 활용한 학술 문헌 추천기법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Scholarly Paper Recommendation Using Multidimensional Metadata Space)

  • 감미아;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21-148
    • /
    • 2023
  • 본 연구는 '우수한 성능의 메타데이터 속성 유사도 기반의 학술 문헌추천시스템'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조직에서 다루는 메타데이터의 활용과 계량정보학에서 다루고 있는 동시인용, 저자-서지결합법, 동시출현 빈도, 코사인 유사도의 개념을 활용한 문헌정보학 기반의 학술 문헌 추천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수집한 '불평등', '격차' 관련 총 9,643개의 논문 메타데이터를 정제하여 코사인 유사도를 활용한 저자, 키워드, 제목 속성 간의 상대적 좌표 수치를 도출하였고, 성능 좋은 가중치 조건 및 차원의 수를 선정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제시하여 이용자의 평가를 거쳤으며, 이를 이용해 기준노드와 추천조합 특성 분석 및 컨조인트 분석, 결과 비교 분석을 수행하여 연구질문 중심의 논의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는 저자 관련 속성을 제한 조합 혹은 제목 관련 속성만 사용하는 경우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법을 활용하고 광범위한 표본의 확보를 이룬다면, 향후 정보서비스의 문헌 추천 분야뿐 아니라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추천기법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