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bliographic Analysis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3초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통합검색 서비스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자치구 통합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Search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in Korea: Focusing on the Integrated Libraries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of Seoul City)

  • 이수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23
    • /
    • 2023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지자체가 운영하는 통합도서관들을 대상으로 통합검색 서비스의 기능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대상은 서울시의 25개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통합도서관들이며, 분석항목은 통합검색과 관련된 12가지 영역의 서비스 기능들로 선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도서관은 자치구 내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의 연합체이며, 통합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제공되는 통합검색 서비스의 기능, 서지정보의 항목과 패싯의 유형이 다양하지 못하다. 둘째, 검색결과의 레코드는 타이틀 형식이 아니라, 대부분 아이템 형식이었다. 셋째, 도서정보를 보완하는 보강정보는 책에 대한 소개와 연관정보, 책과 관련된 키워드, 대출관련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넷째, 통합검색이 디스커버리형 검색보다, 통합목록DB를 기반으로 하는 통합OPAC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자치구 내 공공도서관이나 작은도서관들에 분산되어 있는 소장목록DB들에 대한 통합검색을 제공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다섯째, 대부분의 통합도서관은 유사한 서비스 형태를 제공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공공도서관들이 디스커버리형 통합검색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미국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 20년과 '한 책'의 분석 (An Analysis of 'One Book's Selected in Twenty Years of 'One Book, One City' Reading Campaigns in the U.S.A.)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45-64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1998년부터 2016년까지 미국 '한 책, 한 도시' 지역사회 독서운동에서 선정된 책들의 선호도, 분류기호, 주제표목, 발행연도, 장르 등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 독서운동의 지향점을 이해하는 것이다. 2017년 4월 LC(Library of Congress) 도서센터 웹사이트에 등록된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주별 및 작가별 리스트를 기반으로 전체 선정 책 1,102권 및 단 한 개 프로그램에서 선정된 책 812권의 LC OPAC 서지레코드 735건을 분석하였다. 주요한 발견은 To Kill a Mockingbird 등 선호된 책들의 계속적 영향력과 'The Big Read'를 통한 '한 책'의 수명 연장, 발행 1-2년 된 신간에 대한 선호, LC 분류체계의 P(문학 및 어학) 주제 집중(530권, 72.1%)과 PS(미국문학)의 압도적 중요성(307권, 57.9%), 가정소설, 역사소설, 심리소설 장르의 높은 비중과 43개 장르의 분산, 고유한 주제표목 535개 중 "City and town life"와 "World War, 1939-1945"(8권) 표목의 중요성 및 개별 주제표목들의 다양성, 96개 주제표목 그룹에서 "African American..."(20권)과 "Woman..."(16권)으로 시작하는 그룹의 중요성 등을 포함한다. 이 연구는 선정 책들의 주제가 통합, 이해, 관용 등에서 인권, 환경, 평화 등으로 변화하고 다양화하는 현황과 추이를 기술하였으나, 책 선정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및 독서운동이 가져온 실제적 변화 등은 다루지 못한 제한점을 가진다.

상용 4종 천남성과 한약재의 기원 및 산지에 대한 문헌적 연구 (Bibliographic study about the origin and habitat of common 4 kinds of herbs belong to Araceae.)

  • 김지용;안영태;임정균;이금산;김정훈;나승영;오서진;김홍준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5-26
    • /
    • 2007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rigin plants, the habita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plants of the medicine herbs belong to Araceae. Methods :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48 bibliographies about 4 kinds of herbs belong to Araceae were examined. The examination was focused on the origin plants, habitat, the efficacy. Standing on this analysis the list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plants were presented. Results :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In the original plants of 4 kinds of herbs, there were 27 species of scientific name totally, 25 species belonged to Araceae, and 2 species didn't. The origin plants of Pinelliae rhizoma were 3 species of different family plant, 16 species for Arisaematis Rhizoma, 2 species for Typhoni Rhizoma, and 6 species for Acori Graminei Rhizoma. 2. In the view of its authenticity, there was one kind of genuine species, 2 species of substitutes in the origin plants of Pinelliae Rhizoma, 14 kinds of genuine species, 2 species of substitutes in the origin plants of Arisaematis Rhizoma, and Whole origin plants of Typhoni Rhizoma, Acori Graminei Rhizoma were genuine species. 3. According to the habitat, there were 15 species distributed in Korea, China and so on. And 16 species were distributed in Korea, 25 species were of foreign origin. 1 species was unknown. 4. The each efficacy of origin plants were reported in the main subject Conclusions : Among the 4 medicinal herbs in the commonly using family Araceae, there were 27 origin plants(25 species belong to Araceae, and 2 species doesn't), so the number of origin plants are almost 6.75 times compared with the cases of the herbal name. Also, according to the habitat, approximately 59.3% of origin plants were producted in Korea, and approximately 92.6% of origin plants were of foreign origin.

  • PDF

표준습지 분석을 통한 대체습지의 생태 성능 기준 개발 (Developing the Ecological Performance Standard for Replaced Wetlands by Analyzing Reference Wetlands)

  • 구본학;정진용;박미옥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22
    • /
    • 2011
  • This study was established to build and suggest the Ecological Performance Standards for replaced wetlands as the mitigation strategies for the construction projects. The request performance and assessment factors and standards were derived by bibliographic review and verified by the field survey for the reference wetlands. And the weights for each factor were derived by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Assessment factors were induced by in-depth research of many wetland assessment models and benchmarks evaluated ecological functions. This study proposed final 12 assessment factors through ecological specialist and experts interviews added with literature analysis. 2) 10 natural wetlands were selected as Reference Wetlands as the measure to propose assessment factors and assessment criteria. Those reference wetlands are well-conserved inland natural wetlands classified to the one having worthy to conserve (grade "high") according to RAM(Rapid Assessment Method). Reference wetlands chosen by the study are Parksilji, Jeongyangji, Mulkubi, Bawineupkubi, Jilnalneup, Jinchonneup, Doomoso, Haepyung wetland, Whangjeong wetland, and Whapo wetland. The research developed assessment criteria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factors based on several explorations of the reference wetlands. 3) "Requiring performance" of replaced wetlands is defined as "to carry out similar or same ecological functions provided by natural wetlands", in overall. The detailed requiring performances are as follows; ${\bullet}$ to play a role of wildlife habitats ${\bullet}$ to have biological diversity ${\bullet}$ to connect with other ecosystems ${\bullet}$ to provide water environment to perform good ecological functions 4) The assessment factors for required performance are categorized by wildlife habitat function, biological diversity, connectivity of adjacent ecosystem, and water environment. Wildlife habitat category is consisted of wildlife habitat creation, size of replacement wetland, and site suitability. Biological diversity category contains the number of plant species, the number of wildlife species, and number of protected species as the sub-factors. Connectivity of adjacent ecosystem is comprised of wildlife corridor, green network and distance from other ecosystem. Finally, water environment make up with water quality, depth of water body, and shape of waterfront. 5) Finally, every assessment factors were verified and weighted by the AHP methods and the final standards were proposed. The weights of factors of requiring performance suggested as habitat (0.280), connectivity (0.261), diversity (0.260), hydraulic environment (0.199). And those of detailed sub-factors are site suitability (0.118), protected species (0.096), distance to neighbor ecosystem (0.093), habitat creating (0.091), green corridor (0.090) etc.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인지기능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식사 관리에 대한 연구 (Criteria for diet pattern and meal management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A systematic review)

  • 박영숙;이현정;최귀정;허림;남예림;김윤하;김민지;신원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50-45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인지기능과 식사중재 프로그램의 관련 효과를 확인하고자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2019년 데이터베이스 검색, 선별을 통해 총 21편의 연구를 비뚤림 평가하였다. 고혈압 예방 식사인 대시 식단(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diet) 1편, 지중해 식단(Med diet) 8편, 마인드 식단(Mediterranean-DASH Intervention for Neurodegenerative Delay, MIND diet) 2편이었다(Table 1). 그리고 그 외의 식이중재는 10편이였다(Table 2). 인지 기능 개선을 위해 대표되는 식단 대시 식단(DASH diet), 지중해 식단(Med diet), 마인드 식단(MIND diet) 비교해 본 결과 공통적으로 야채류, 너트류를 권장하고 붉은 육류는 제한한다. 전세계적으로 각 나라마다 고령자의 인지 개선을 위한 연구가 실행되고 있으며 중재 식사관리는 지중해 식단과 비슷한 식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 결과 식이교육, 식이중재 시 인지 개선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식이패턴과 식사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고 인지기능 개선에 높은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치매의 치료법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으므로 치매의 진행을 예방하고 발병을 지연시키기 위해 식단 구성시 정제되지 않은 통곡물, 야채, 과일, 베리류, 생선, 올리브유, 너트류, 콩류 섭취를 권장한다. 이 고찰을 통해 인지기능 개선을 위해 단일 영양소, 단일 식품의 섭취의 한계를 확인하였고 한국 고령자에게 맞는 맞춤형 식사교육을 통한 식사관리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형 식사관리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조선시대에 간행된 <맹자(孟子)>의 제판본(諸板本)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Printed Books of $M\grave{e}ngz\check{i}$ in Choseon Dynasty)

  • 안현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05-328
    • /
    • 2006
  •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간행되었던 <사서(四書)>의 하나인 한문본(漢文本) <맹자(孟子)> 제판본(諸板本)에 관한 형태서지적 분석이다. 국내 여러 기관 및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한문본 <맹자(孟子)> 판본을 조사하여, 그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문본 <맹자(孟子)> 판본 중에서 가장 많이 간행되었던 맹자집주대전$\lceil$孟子集註大全$\rfloor$ 판본의 계통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한문본 맹자(孟子)은 중앙관서와 경상감영(慶尙監營)에서 주로 간행하였고, 시기적으로는 $17\sim19$세기에 가장 많이 간행되었던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lceil$맹자집주대전(孟子集註大全)$\rfloor$의 경우 명나라 호광(胡廣) 등이 편찬한 $\lceil$사서오경대전(四書五經大全)$\rfloor$을 저본으로 하여 이를 복각한 목판본은 명본복각계열(明本覆刻系列)과 조선에서 주조한 활자로 간행한 활자본 중 정유자계열(丁酉字系列)로 판본의 주요 계통이 형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맹자(孟予)의 본문만을 읽은 $\lceil$맹자대문(孟子大文)$\rfloor$$\lceil$맹자정문(孟子正文)$\rfloor$이 여러 차례 간행된 것도 특기할만하다.

  • PDF

인진호(茵陳蒿)의 기미론(氣味論)적 해석과 내외부형태연구 (The approach of properties-flavours theory and the study of morphological standard in ARTEMISIAE HERBA)

  • 이화정;최문일;김자영;강경식;신철균;주영승;윤주봉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0-145
    • /
    • 2006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work is the approaching of properties-flavours theory and the making of morphological standard in Artemisiae herba. Methods : The properties-flavours theory were attempted with bibliographic method and various climate-information. The external-internal morphological standards were determined by using stereoscope and butanol series. Conclusions : The following is a list the conclusion of the approaching of properties-flavours theory and how to make the standard of morphological standard in artemisiae herba. 1. The significant analysis for the artemisiae herba as the properties-flavours theory, is a follow-up survey of the effect written in the official oriental medicine book 2. The other analytic methods according to the gathering time, processing or storing system or especially nature or growth environment(altitude, temperature,. the mean moisture, and the agronomical survey) by way of the explanation of properties-flavours theory appears so many insufficiency at the many cases. 3. In the case of artemisiae herba., there are 2 cases(Artemisia capillaris $T_{HUNB}$ and A. iwayomogi $K_{ITAMURA}$) in current and recently A. aruwa L. is substituted for artemisiae herba in circulation. 4. The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hape of original plant or herbal states, entirely correspond to all the official oriental medicine boo 5. According to the place of productiot the difference appeals. (1) A. capillatis $T_{HUNB}$. has leaves like a fine thread, and A. iwayomogi $K_{ITAMURA}$ has big and wide leaves, and shows some reddish color, and A. aruwa L. has narrow leaves, its section lines long vertically. (2) In the internal shapes, as the A. capillatis $T_{HUNB}$. leaves', upper epidermal cell wall shows relatively straight form, its all upper- lower epidemical cell wall has a stoma, and calcium rosette crystal is relatively few. As iwayomogi $K_{ITAMURA}$, all upper- lower epidermal cell wall is wavelike concave, and hypodermics has many stoma and many calcium rosette crystal. (3) In the internal shapes of A. aruwa L. the shape of leaves' epidermal cell is irregular and has so many non-glandular hair nad glandular hair on its surface.

  • PDF

산수유(山茱萸)의 기미론(氣味論)적 해석과 내외부형태연구 (The Approach of Properties-Flavours Theory and the Study of Morphological Standard in CORNI FRUCTUS)

  • 최문일;이화정;윤주봉;김자영;강경식;신철균;주영승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9-119
    • /
    • 2006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pproach of properties-flavours theory and the study of morphological standard in CORNI FRUCTUS. Methods : The properties-flavours theory were attempted with bibliographic method and various climate-information. The external-internal morphological standards were determined by using stereoscope and butanol series. Results and conclusion : 1. The significant analysis for the corni fructus as the properties-flavours theory, is a follow-up survey of the effect written in the official oriental medicine book. 2. The other analytic methods according to the gathering time, processing or storing system or especially nature or growth environment(altitude, temperature,. the mean moisture, and the agronomical survey) by way of the explanation of properties-flavours theory appears so many insufficiency at the many cases. 3. The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hape of original plant or herbal states, entirely correspond to all the literature on this subject. 4. According to the place of production, there are some different points. (l) In the external shapes, it is reasonable that if we make the basic standard of classification by the sharpness of color, the existence of gloss and the size of products. In the case of the Korean products, it shows bright and glossy color totally, but in the case of North Korea products, it shows black and lackluster. And in the case of the foreign products, it has softer body than Korea one and shows white color on the surface. (2) In the internal shapes, the Korea products has a thicker cuticle layer than the foreign one, and has fewer ca-oxalate in the parenchyma cell.

  • PDF

지하연속벽 시공 시 트렌치 굴착방법 개선을 통한 공기단축에 관한 연구: 현장적용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ression of Construction Period by the Improvement of Trench Excavation for Slurry Wall Method)

  • 이영수;박형근;강규병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5D호
    • /
    • pp.499-505
    • /
    • 2012
  • 도심지의 굴착공사 시 굴착심도가 깊어지고 있어 굴착공정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도심지 굴착공사 시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면서, 주변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굴착공법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국내 및 국외에서 다수 시공된 벽식 지하연속벽의 공법인 Slurry Wall 공법의 문헌자료를 통해 지하연속벽 시공의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고, 기존 지하연속벽 공법의 트렌치 굴착 시 발생되는 비효율적인 시공단계의 주요한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기술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기술요소를 반영하여 개선 가능한 새로운 공법을 제시하였고, 제시된 굴착공법을 현장에 적용한 사례를 바탕으로 기존 굴착공법과의 공사기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공법을 현장에 적용한 결과, 기존예정공정표에 표시된 48일에서 15일 단축된 33일에 굴착공정을 마칠 수 있었다. 또한, 제안된 공법은 기존 지하연속벽 공법들에 비해 공기단축의 효과는 물론 경제성, 환경성 및 안정성 또한 뛰어난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지하연속벽 시공의 공기단축에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황해도 사찰 간행불서의 서지적 연구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Buddhist Scriptures Published in Temples Located in Hwanghae-do Province)

  • 송일기;박지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95-416
    • /
    • 2016
  • 이 연구는 조선시대 황해도 지방의 사찰에서 개판(開板)된 불서를 대상으로 시기별 간행 현상과 불서의 성격 등에 대해서 서지학적으로 분석한 글이다. 황해도에서 간행된 불서는 모두 85종으로 파악되었으며, 그 중 "용감수감(龍龕手鑑)" 등 5종은 황해도 사찰에서만 유일하게 개판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 불서는 조선전기에 64종이 간행되어 전체 75%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이 중에서도 명종 대에 문정왕후 등 왕실의 후원으로 집중적으로 개판되었던 현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임란 이후 조선후기에는 급격하게 쇠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바, 이는 임진과 병자의 양난을 거치면서 황해도 지방의 민생이 파탄에 이른 역사적 사실과도 일치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또한 이들 불서를 대상으로 주제별로 분류하여 성격을 분석해 본 결과 대체로 경전류와 종의류 불서가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적으로 사찰에서 개판불사에는 각수의 소임이 매우 중요한데, 대부분의 각수(刻手)는 황해도 지방의 사찰에서 활동하면서 2-3종의 불서를 판각하는데 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각수 중에 도성(道成)과 수연(守衍)은 황해도는 물론 다른 지방으로 이동하면서 불서를 판각하였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주목되는 각승(刻僧)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향후 북한지역 내 다른 지방의 개판 불서 연구에 비교 대상 논문으로써 의미를 지닐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