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Te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38초

Effect of Transfer Temperature of Epididymis on Survival Rate of Semen and B6D2F1 Mice Developmental Capacity

  • Lee, Dan-Bi;Park, KeeSang;Seo, Byoung Boo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67-374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ransfer temperature of epididymis on survival rate of semen and development ability of B6D2F1 mice embryo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survival rate of semen ($59.0%{\pm}0.1$ vs. $47.6%{\pm}0.1$), in vitro fertilization rate ($90.7%{\pm}0.1$ vs. $90.7%{\pm}0.1$), developmental rate ($90.0%{\pm}0.1$ vs. $90.0%{\pm}0.1$), and blastocysts formation rate ($53.1%{\pm}0.2$ vs. $52.3%{\pm}0.2$) between groups. (NS; P>0.05). However, the zona hatched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4^{\circ}C$ group compared to those of the $37^{\circ}C$ group ($47.8%{\pm}0.1$ vs. $25.6%{\pm}0.2$; p<0.05). When it comes to cell numbers of blastocysts, the % ICM (/total cel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of $4^{\circ}C$ compared to the $37^{\circ}C$ ($27.0%{\pm}0.1$ vs. $18.3%{\pm}0.1$; p<0.05).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otal cell numbers ($72.7{\pm}31.6$ vs. $62.0{\pm}36.6$), ICM cell numbers ($17.0{\pm}7.8$ vs. $14.6{\pm}8.6$), TE cell numbers ($55.8{\pm}29.8$ vs. $64.0{\pm}24.4$), the ratio of ICM:TE ($1:4.2{\pm}4.1$ vs. $1:6.4{\pm}7.2$) between two groups (NS; P>0.05). Taken altogether, it is expected to achieve the best developmental ability of B6D2F1 mice embryos in the transfer temperature of epididymis. Also these results can provide fundamental data to maximize culture condition for in vitro fertilization on B6D2F1 mice. In futur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results herein might be applied for in vitro culture of human embryos.

Frontiers in Magneto-optics of Magnetophotonic Crystals

  • Inoue, M.;Fedyanin, A.A.;Baryshev, A.V.;Khanikaev, A.B.;Uchida, H.;Granovsky, A.B.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1권4호
    • /
    • pp.195-207
    • /
    • 2006
  • The recently published and new results on design and fabrication of magnetophotonic crystals of different dimensionality are surveyed. Coupling of polarized light to 3D photonic crystals based on synthetic opals was studied in the case of low dielectric contrast. Transmissivity of opals was demonstrated to strongly depend on the propagation direction of light and its polarization. It was shown that in a vicinity of the frequency of a single Bragg resonance in a 3D photonic crystal the incident linearly polarized light excites inside the crystal the TE- and TM-eigen modes which passing through the crystal is influenced by Brags diffraction of electromagnetic field from different (hkl) sets of crystallographic planes. We also measured the faraday effect of opals immersed in a magneto-optically active liquid. It was shown that the behavior of the faraday rotation spectrum of the system of the opal sample and magneto-optically active liquid directly interrelates with transmittance anisotropy of the opal sample. The photonic band structure, transmittance and Faraday rotation of the light in three-dimensional magnetophotonic crystals of simple cubic and face centered cubic lattices formed from magneto-optically active spheres where studied by the layer Korringa-Kohn-Rostoker method. We found that a photonic band structure is most significantly altered by the magneto-optical activity of spheres for the high-symmetry directions where the degeneracies between TE and TM polarized modes for the corresponding non-magnetic photonic crystals exist. The significant enhancement of the Faraday rotation appears for these directions in the proximity of the band edges, because of the slowing down of the light. New approaches for one-dimensional magnetophotonic crystals fabrication optimized for the magneto-optical Faraday effect enhancement are proposed and realized. One-dimensional magnetophotonic crystals utilizing the second and the third photonic band gaps optimized for the Faraday effect enhancement have been successfully fabricated. Additionally, magnetophotonic crystals consist of a stack of ferrimagnetic Bi-substituted yttrium-iron garnet layers alternated with dielectric silicon oxide layers of the same optical thickness. High refractive index difference provides the strong spatial localization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with the wavelength corresponding to the long-wavelength edge of the photonic band gap.

음료 농축액 및 퓨레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Beverage Concentrates and Purees)

  • 김단비;신기해;조주현;백순옥;이옥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997-100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음료 농축액 및 퓨레로 사용되는 석류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양파추출 농축액, 도라지추출 농축액, 흑마늘 농축액, 홍삼 농축액, 아사이베리 퓨레, 새싹유채 퓨레의 이화학적 특성,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효능(DPPH radical scavenging, ORAC)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pH는 석류 농축액이 2.81로 가장 낮았으며 양파추출 농축액이 5.12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Brix는 홍삼 농축액이 70.30으로 가장 높았고 새싹유채 퓨레가 1.70으로 가장 낮았다. 총 페놀 함량은 아사이베리 퓨레에서 182.71 mg GAE/mL로 다른 시료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양파추출 농축액이 8.80 mg GAE/mL로 가장 낮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총 페놀 함량과 마찬가지로 아사이베리 퓨레에서 69.88%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ORAC 지수는 블루베리 농축액에서 $27,514{\mu}M$ TE/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도 아사이베리 퓨레에서 28.19%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천연물 유래 농축액 및 퓨레는 다양한 항산화 평가모델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농축액 및 퓨레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건강음료의 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 생물자원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ioresource Juices from Jeju)

  • 이영준;김단비;조주현;백순옥;이옥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93-29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에 자생하는 생물자원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여 추후 제주 생물자원을 이용한 산업적 활용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주 생물자원 20종 착즙액은 2.0-6.5의 pH 범위 값을 나타내었으며, 3.3-16.8 $^{\circ}Bx$ 값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 함량 측정 결과, 복분자 착즙액이 47.3 mg GAE/100 mL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포도와 블루베리가 각각 40.3 및 34.7 mg GAE/100 mL으로 측정되어 20종의 생물자원 중에서 베리류 착즙액(S6-S8)에서 높은 총 페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및 ORAC assay를 이용하여 20종 착즙액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한라봉 착즙액이 86.8%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영귤 착즙액이 $2,409.5{\mu}M$ TE/mL으로 가장 높은 ORAC 수치를 보였다. 또한 레몬, 황금향, 감귤 착즙액에서도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감귤류 착즙액의 경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한편, 아질산염 소거능은 참다래 착즙액이 가장 높은 활성(84.4%)을 나타내었다. 제주 생물자원 20종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결과 한 결과, DPPH radical 소거능과 pH간의 상관계수의 값이 0.7343으로 가장 높았다. 이때 5종의 감귤류 착즙액만을 선택하여 상관관계를 나타낸 경우 총 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과의 상관관계가 0.875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전처리 방법에 따른 참외와인의 품질특성과 항산화능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oriental melon wine depending on pretreatments)

  • 황희영;하형태;하세비;성기운;황인욱;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21-427
    • /
    • 2015
  • 고품질 참외와인을 제조하기 위하여 브랜칭 및 착즙 처리를 하여 발효와 숙성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발효 중 참외와인의 이화학적 특성은 모든 처리구가 유사한 추이를 보였으며, 브랜칭 및 착즙 처리가 알코올 발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숙성 후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알코올 함량, 가용성 고형분 함량, 환원당 함량, 적정 산도, pH가 각각 11.5~11.8%, 10.7~11.2%, 0.25~0.49 g/100 mL, 0.60~0.81%, 3.75~3.89 범위로 나타났으며, 숙성 전에 비하여 가용성 고형분, 환원당, 알코올 함량, 적정산도는 감소하고 pH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능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FRAP 활성이 각각 $563.00{\sim}785.00{\mu}M\;TE$, $504.60{\sim}811.93{\mu}M\;TE$ 범위로 나타났으며, 브랜칭 처리구의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287.53~312.08 mg/L 범위로 전처리 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05),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39.06~141.03 mg/L 범위로 브랜칭 처리구의 함량이 높았다. 또한 QDA profile 결과는 색, 맛, 풋내, 이취, 종합적 기호도 항목에서 모두 브랜칭 처리구가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브랜칭 처리는 참외와인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고 기호성을 좋게 하는 반면, 착즙 처리는 참외와인 제조 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OVOIL oil on B6D2F1 Mice Oogenesis

  • Lee, Dan-Bi;Park, Kee Sang;Seo, Byoung Boo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05-210
    • /
    • 201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ypes of oil (OVOIL vs. OIL) on B6D2F1 mice oogenesis. In this study, B6D2F1 F1 mice were used in order to maximize oogenesis. The expansion rate of cumulus cells ($82.0%{\pm}0.2$ vs. $78.0%{\pm}0.1$), in vitro fertilization rate ($92.0%{\pm}0.1$ vs. $88.0%{\pm}0.1$), developmental rate ($91.0%{\pm}0.1$ vs. $87.0%{\pm}0.2$), blastocysts formation rate ($56.0%{\pm}0.1$ vs. $57.0%{\pm}0.1$), and zona hatched rate($41.4%{\pm}0.2$ vs. $24.0%{\pm}0.1$) were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NS; P>0.05).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uration rate; the OVOIL group showed higher maturation rate compared to that of the OIL group ($96.0%{\pm}0.1$ vs. $87.0%{\pm}0.1$; P<0.05). In the blastocysts cell numbers, the total cell numbers ($83.9{\pm}26.1$ vs. $56.9{\pm}23.9$), ICM cell numbers ($15.7{\pm}8.8$ vs. $6.3{\pm}3.5$), TE cell numbers ($68.3{\pm}25.7$ vs. $50.7{\pm}24.1$), % ICM ($21.6%{\pm}0.1$ vs. $12.7%{\pm}0.1$), and the ratio of ICM:TE ($1:6.2{\pm}6.5$ vs. $1:10.3{\pm}7.0$)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OIL group than the OIL group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t is expected to achieve the more developmental ability of B6D2F1 mice depending on the type of oil (OVOIL vs. OIL). In addition, the results can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for culture condition on B6D2F1 mice. Henceforth, thu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herein might be used for in vitro culture of human embryos.

Human lactoferrin efficiently targeted into caprine beta-lactoglobulin locus with transcription activator-like effector nucleases

  • Yuan, Yu-Guo;Song, Shao-Zheng;Zhu, Meng-Ming;He, Zheng-Yi;Lu, Rui;Zhang, Ting;Mi, Fei;Wang, Jin-Yu;Cheng, 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8호
    • /
    • pp.1175-1182
    • /
    • 2017
  • Objective: To create genetically modified goat as a biopharming source of recombinant human lacotoferrin (hLF) with transcription activator-like effector nucleases. Methods: TALENs and targeting vector were transferred into cultured fibroblasts to insert hLF cDNA in the goat beta-lactoglobulin (BLG) locus with homology-directed repair. The gene targeted efficiency was checked using sequencing and TE7I assay. The bi-allelic gene targeted colonies were isolated and confirmed with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used as donor cells for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Results: The targeted efficiency for BLG gene was approximately 10%. Among 12 Bi-allelic gene targeted colonies, five were used in first round SCNT and 4 recipients (23%) were confirmed pregnant at 30 d. In second round SCNT, 7 (53%), 4 (31%), and 3 (23%) recipients were confirmed to be pregnant by ultrasound on 30 d, 60 d, and 90 d. Conclusion: This finding signifies the combined use of TALENs and SCNT can generate biallelic knock-in fibroblasts that can be cloned in a fetus. Therefore, it might lay the foundation for transgenic hLF goat generation and possible use of their mammary gland as a bioreactor for large-scale production of recombinant hLF.

MoS2 layer etching using CF4 plasma and H2S plasma treatment

  • 양경채;박성우;김경남;염근영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22.2-222.2
    • /
    • 2016
  • 트랜지스터 응용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 지면서 에너지 밴드갭이 0 eV에 가까운 그래핀 이외의 밴드 갭 조절이 가능한 MoS2 (molybdenum disulfide), BN (boron nitride), Bi2Te3 (bismuth telluride), WS2 (tungsten disulfide) 등과 같은 이차원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TMDC) 물질이 반도체 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MoS2의 경우 단결정 덩어리 상태에서는 약 1.3 eV의 밴드갭을 가지나 두께가 줄어들어 두 층일 경우에는 약 1.65 eV, 단일층이 되면 약 1.9 eV의 밴드갭을 가져 박막 층수에 따라 에너지 밴드갭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두께 조절이 가능하면서 대면적, 고품질을 가지는 MoS2 박막 합성은 아직 제한적이라 할 수 있으며 새로운 방법 및 물질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층수를 지니는 MoS2 합성을 위해 나노 두께의 MoS2 박막을 CF4 plasma 를 이용하여 layer etching 진행하고 CF4 plasma 100초 etching 진행한 2 layer 두께의 MoS2를 기준으로 H2S plasma를 이용하여 treatment 진행하였다. 물리적, 화학적 분석은 Raman spectroscopy,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FM (Atomic Force Microscopy) 등을 이용해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MoS2 layer 감소 및 damage recovery 등을 확인하였다.

  • PDF

MPLS망에서의 인터넷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 지원 방안 (Internet Multicast Routing Protocol Supporting Method over MPLS Networks)

  • 김영준;박용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E
    • /
    • 제37권3호
    • /
    • pp.93-103
    • /
    • 2000
  • 본 논문은 MPLS (Multiprotocol Label Switiching) 망에서 인터넷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인터넷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은 트리의 구성방식과 속성에 따라 최단거리 트리 방식, 공유트리 방식 및 복합트리 방식 등으로 분류된다. 각 방식에 따라 MPLS 망에서 지원해야 하는 기능이 달라진다. 특히, 단/양방향성 트리 링크, Flooding/prune 방식의 트리 구성, 하나의 멀티캐스트 그룹 에 다중 트리의 존재 등 여러 가지 미해결이거나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몇가지 가정을 세우고, 이를 바탕으로 각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을 MPLS 망에서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Flooding/prune 방식의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새로이 브로드 캐스팅용의 레이블 을 정의하여 해결하고, 공유트리 방식에 대해서는 기 제안된 블록기반 멀티캐스트 전송기법을 도입하여 셀인터리빙 (Cell Interleaving) 문제를 해결하며, 마지막으로 복합트리 방식에 대해서는 기존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에 기능을 추가하므로써 MPLS 지원문제를 간단히 해결한다.

  • PDF

2층 유전체를 사용한 십자형 급전선을 갖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슬롯 안테나의 해석 (Analysis of Wideband Microstrip Slot Antenna with Cross-shaped Feedline using 2-layer Dielectrics)

  • 장용웅;신호섭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E
    • /
    • 제37권2호
    • /
    • pp.69-74
    • /
    • 2000
  • T-모양의 마이크로스트립 급전 구조를 갖는 슬롯 안테나는 정합을 쉽게 이룰 수 있고 대역폭이 기존의 급전 구조의 슬롯 안테나에 비하여 넓었다. 양방향으로 복사체를 갖는 슬롯 안테나가 한 방향으로만 복사하기를 원할 경우, 반사판을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시한 한 방향으로만 복사체를 갖는 슬롯 안테나는 반사판 설치가 필요 없게 된다. 그래서 반사판을 포함하는 2-층의 유전체 층에 십자형 급전구조를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슬롯 복사체인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FDTD 법으로 해석하여 전계분포를 시간 영역에서 계산하였고, 이를 Fourier 변환시켜 슬롯 안테나의 반사손실, 전압 정재파비, 복사패턴을 주파수 영역에서 계산하였다. 그리고 슬롯의 길이(I/sub s/)와 폭(W/sub s/), 수평부 급전선의 길이(I/sub d/), 상측 수직 급전선의 길이(l/sub u/), offset 에 따라 대역폭이 민감하게 변한다. 설계변수들을 최적화한 후에 측정한 결과, 최대 대역폭은 중심 주파수 2.5㎓에서 1,850㎒의 광대역 특성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