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ula pendula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5초

개화유도(開花誘導)에 의한 임목육종(林木育種)싸이클의 단축(短縮) I. 자작나무와 은자작나무 유묘(幼苗)에 있어서 재배환경(栽培環境) 조절(調節)에 의한 개화유도(開花誘導) (Shortening of Breeding Cycle by Forced Flowering in Forest Trees I. Induction of Flowering by Cultural Treatments in Seedlings and Grafts of Betula pendula Roth and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

  • 류수환;여영동;최문규;최원규;심재우;정극수;정민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489-494
    • /
    • 1995
  • 자작나무 및 은자작나무 종묘(種苗)와 접목묘(接木苗)의 영양생장(營養生長)과 생식생장(生殖生長)을 촉진(促進)시키기 위하여 온실(溫室)과 실험실에 설치된 비닐하우스 내(內)에서 일장(日長), 온도(溫度), 습도(濕度), 양분공급(養分供給) 등을 부분적(部分的)으로 조절(調節)하여 촉성재배(促成栽培) 처리(處理)를 하였다. 이와 같은 생장촉진(生長促進) 처리(處理)에 의해 자작나무와 은자작나무는 파종(播種) 후(後) 250-508일 사이에 각각 71% 및 20%의 유묘(幼苗)가 암꽃 또는 수꽃을 형성(形成)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자작나무와 은자작나무는 접목(接木) 후(後) 51일 내지 497일 사이에 각각 53%와 80%의 접목묘(接木苗)가 수꽃을 발육(發育)시켰으며 암꽃이 발육(發育)을 시작하기까지는 365일 내지 396일이 소요(所要)되었다. 유묘(幼苗)에 대한 생장촉진(生長促進) 처리(處理) 의해 단기간(短期間) 내(內) 개화유도(開花誘導)에 성공(成功) 함으로써 임목(林木)의 개량(改良)을 위한 육종(育種) 싸이클과 신품종(新品種)의 종자(種子) 생산 기간(期間)을 획기적(劃期的)으로 단축(短縮)시킬 수 있는 계기(契機)를 마련하였다.

  • PDF

Introduction to Distribution and Ecology of Sterile Conks of Inonotus obliquus

  • Lee, Min-Woong;Hur, Hyeon;Chang, Kwang-Choon;Lee, Tae-Soo;Ka, Kang-Hyeon;Jankovsky, L.
    • Mycobiology
    • /
    • 제36권4호
    • /
    • pp.199-202
    • /
    • 2008
  • Inonotus obliquus is a fungus that causes white heart rot on several broad-leaved species. This fungus forms typical charcoal-black, sterile conks (chaga) or cinder conks on infected stems of the birche (Betula spp). The dark brown pulp of the sterile conk is formed by a pure mycelial mass of fungus. Chaga are a folk remedy in Russia, reflecting the circumboreal distribution of I. obliquus in boreal forest ecosystems on Betula spp. and in meridional mountain forests on beech (Fagus spp.) in Russia, Scandinavia, Central Europe, and Eastern Europe. Distribution at lower latitudes in Western and Southern Europe, Northern America, Asia, Japan, and Korea is rare. Infected trees grow for many years without several symptoms of decline. The infection can penetrate through stem injuries with exterior sterile conks developing later. In the Czech Republic, cinder conk is found on birches inhabiting peat bogs and in mountain areas with a colder and more humid climate, although it is widespread in other broad leaved species over the Czech Republic. The most common hosts are B. pendula, B. pubescens, B. carpatica, and F. sylvatica. Less frequent hosts include Acer campestre, Acer pseudoplatanus, Alnus glutinosa, Alnus incana, Fraxinus excelsior, Quercus cerris, Q. petraea, Q. robur, Q. delachampii, and Ulmus sp.

임목(林木)에 있어서 개화유도(開花誘導)에 의한 육종(育種)싸이클의 단축(短縮) II.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처리(處理)에 의한 자작나무와 은자작나무의 개화유도(開花誘導) 촉진(促進) (Shortening of Breeding Cycle by Forced Flowering in Forest trees II. Enhancement of Flowering Induction by Treatment of Growth Regulators in Betula pendula Roth and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

  • 정민섭;조진기;박상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495-501
    • /
    • 1995
  • 비닐하우스 및 야외에 식재된 자작나무와 은자작나무 실생묘(實生苗)와 접목묘(接木苗)에 대하여 유묘(幼苗) 발육초기(發育初期)에 개화유도(開花誘導)를 목적으로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을 처리하였다. 자작나무와 은자작나무의 실생묘(實生苗)들은 파종(播種) 후(後) 8-9개월(個月)사이인,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첫번째 처리후(處理後) 5개월(個月) 부터 암꽃을 가시적(可視的)으로 형성(形成)하기 시작하였다. 충분한 양분(養分)을 공급(供給)하면서 비닐하우스 내(內)에서 환경조절(環境調節) 하(下)에 양묘(養苗)한 실생묘(實生苗)들 중(中) IAA, $GA_3$, kinetin을 처리한 것과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을 전연 처리하지 않은 것(비닐하우스 내(內)의 비교목(比較木))의 33%가 암꽃을 형성하였으나 야외에 식재(植栽)된 비교목(比較木)에서는 암꽃이 전연 형성(形成)되지 않았다. 비닐하우스 내(內)에서 ABA와 SADH를 처리(處理)한 종묘(種苗)의 67%가 암꽃을 형성하였으며 특히 6.24 mM의 SADH를 처리한 실생묘(實生苗)들은 모두가 암꽃을 형성(形成)하였다. 2~5년생 실생묘(實生苗)와 접목묘(接木苗)에 대한 SADH 처리는 개화유도(開花誘導) 및 개화량(開花量)의 증가(增加)에 효과(效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공황사 처리가 몇 수목의 광합성, 호흡, 생장 및 기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ificial Asian Dust on Photosynthesis, Respiration, Growth and Stoma in Five Tree Species)

  • 배기강;이돈구;박영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4호
    • /
    • pp.392-398
    • /
    • 2009
  • 본 연구는 황사가 수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5 수종의 인위적 황사처리 이후 광합성, 호흡, 생장 및 기공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황사 처리량에 따른 생장량은 회화나무의 경우 평균 황사농도의 10배인 $5,000{\mu}g{\cdot}m^{-2}$에서 감소한 것이 관찰되었으며, 다른 수종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호흡량은 회화나무와 자작나무에서 $5,000{\mu}g{\cdot}m^{-2}$ 농도의 황사 처리에서 호흡량이 감소하였으며, 다른 수종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황사 처리량에 따른 최대광합성량은 회화나무와 자작나무에서 $500{\mu}g{\cdot}m^{-2}$ 농도의 황사 처리에서 각각 3주, 6주 이후에 감소하였고, $5,000{\mu}g{\cdot}m^{-2}$ 농도의 황사 처리에서는 처리직후 계속 감소하였다.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복자기는 유의성이 없었다. 광학현미경으로 회화나무의 대조구와 $5,000{\mu}g{\cdot}m^{-2}$ 농도의 황사 처리의 기공관찰 결과, $5,000{\mu}g{\cdot}m^{-2}$ 농도의 황사 처리에서 기공 내 먼지가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으로 5수종의 잎 뒷면 기공을 관찰한 결과, 회화나무와 자작나무는 기공의 크기가 크며, 대조구와 $5,000{\mu}g{\cdot}m^{-2}$ 농도의 황사 처리에서 기공 개폐율의 차이가 컸다. 이것은 황사 먼지가 기공이 큰 수종일수록 흡입되기 쉬우며 수목의 광합성, 호흡 및 생장을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광환경 차이에 의한 활엽수종 유묘의 생장과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rowth and Biomass Production of Deciduous Tree Seedlings under Different tight Environment)

  • 김선아;최정호;권기원
    • 임산에너지
    • /
    • 제21권3호
    • /
    • pp.46-5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인공피음에 의해서 광조건을 3단계로 달리하여 생육시킨 펜둘라자작나무, 층층나무, 물푸레나무를 대상으로 생장량과 물질생산량 등 특성을 조사하여 생리ㆍ생태적 특성을 밝히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인공피음처리에 따른 조사 대상 수종의 묘고생장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근원직경의 생장은 전광처리구가 투광율 7-10%의 피음처리구보다 상대생장율이 29-32% 이상 우수한 생장율을 나타냈다. 하지만 층층나무의 근원직경생장은 투광율 26-34% 처리구에서 높은 생장율을 나타냈다. 대부분의 수종에서 피음처리 수준에 따른 광량감소와 함께 총 물질생산량도 감소하였고, 잎과 줄기의 비율이 뿌리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묘의 T/R율은 대부분의 수종이 피음의 강도가 강할수록 T/R율이 높아지는 경향으로 전광처리구의 0.51∼l.13보다 투광율 7-10%의 강피음처리구가 1.00∼2.27로 높게 나타냈다. 전체적으로 비교할 때 인공피음처리에 의한 광량이 감소할수록 SLA, LAR, LWR은 광환경의 변화에 따른 피음의 강도가 강할수록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 PDF

한국내 고추나물의 하이퍼리신 유전자(HyH)의 탐색과 유럽의 서양고추나물과 비교 (Detect of Hypericin (HyH) gene in Hypericum erectum in Korea and Comparison of H. perforatum in Europe)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8호통권88호
    • /
    • pp.1034-1038
    • /
    • 2007
  • 하이퍼리신(Hypericin, HyH)은 예로부터 성 요한의 풀(St. John's Wort)로 널리 알려져 있는 서양고추나물(Hypericum perforatum)에서 추출되는 약리성분이다. 서양고추나물은 국내에서는 자생하지 않으나 같은 속의 고추나물(H. erectum) 등이 이속에 속하며 우리나라에 자생한다 . 고추나물을 조직배양으로 RNA를 추출하고 cDNA를 합성한 후 Hyp 유전자를 추출하여 서열화한 결과, 전체 크기는 732 bp로 나타났으며 서양고추나물의 HyH-1과 거의 99.8% 서열 일치를 나타내었다. 이 서열의 152개 아미노산 역시 서양고추나물의 항산화효소와 98% 일치하였으며 자작나무와 능금속 식물에서 유발되는 알레르기 유발유전자와 약 60% 일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우울증치료제로 사용되는 하이퍼리신 추출에 우리나라 자생종인 고추나물이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