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1,3-glucan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29초

Melittin-Hybrid 합성 펩타이드가 Fusarium oxysporum의 성장에 미치는 저해효과

  • 이동건;신송엽;이성구;이명규;함경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29-533
    • /
    • 1996
  • Melittin (ME) from honeybee venom has a broad range of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but it has hemolytic activity against eukaryotic cells. In order to design peptides with powerful antifungal activity without cytotoxic property of ME and understand structure-antifungal activity relationships, the hybrid peptides derived from the sequences of ME and cecropin A (CA) or magainin 2 (MA), MA(10-17)ME(1-12) and CA(1-8)ME(1-12). were synthesized by solid phase method. MA(10-17)ME(1-12) showed potent antifungal activity comparable to ME against Fusarium oxysporum with no hemolytic activity against human red blood cells. The hybrid peptides showed strong inhibi- tion of (1, 3)-$\beta$-D-glucan synthas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antifungal activity of the hybrid peptides against Fusarium oxysporum is attributed to the inhibition of cell wall synthesis. The results therefore showed a successful design of a peptide having antifungal activity without hemolytic property.

  • PDF

눈꽃동충하초 배지별 인공재배법과 성분분석에 관한연구 (Study on analysis of components and artificial cultural practice on several culture media of Paecilomyces japonica)

  • 이희덕;김용균;김홍규;이가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2-106
    • /
    • 1999
  • 1. 누에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재배에서 종균접종은 누에 5령1일째 실시하였으며, 감염율은 72% 되었으며 2. 눈꽃동충하초 대량생산을 위한 인공재배 최적배지는 "현미80g+번데기가루20g" 처리구에서 자실체 길이 11.4cm,무게 51.6g, 짙노랑색으로 아주 양호했으며, 현미 처리구, 번데기+PDA처리구에서도 양호했음. 3.누에동충하초에서 발생된 눈꽃동충하초는 번데기 1마리당 1.2g(번데기포함), 길이 3.0~3.5cm정도 되었으며, 일부는 누에상태에서도 동충하초가 발생하였음. 4. $\beta$-glucan함량은 누에 5령 1일 접종 처리구가 40.5%로 가장 높고 저비용 배지인 현미 16.4%, 번데기 20.7%, 현미+번데기가루 23.1%, 소나무 톱밥+밀기울 28.7%로 $\beta$-glucan 함량이 높았다. 5. 지네, 굼벵이, 누에가루처리구에서는 균사생육이 부진하였고 분생포자만 발생하였다.

  • PDF

Aucklandia lappa Causes Cell Wall Damage in Candida albicans by Reducing Chitin and (1,3)-β-D-Glucan

  • Lee, Heung-Shick;Kim, Youn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7호
    • /
    • pp.967-973
    • /
    • 2020
  • The fungal cell wall is a major target of antifungals. In this study, we report the antifungal activity of an ethanol extract from Aucklandia lappa against Candida albicans. We found that the extract caused cell wall injury by decreasing chitin synthesis or assembly and (1,3)-β-D-glucan synthesis. A sorbitol protection assay demonstrated that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 A. lappa extract against C. albicans cells increased eight-fold from 0.78 to 6.24 mg/ml in 72 h. Cell aggregates, which indicate damage to the cell wall or membrane, were commonly observed in the A. lappatreated C. albicans cells through microscopic analysis. In addition, the relative fluorescence intensities of the C. albicans cells incubated with the A. lappa extract for 3, 5, and 6 h were 92.1, 84.6, and 79.8%,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s, estimated by Calcofluor White binding assay. This result indicates that chitin content was reduced by the A. lappa treatment. Furthermore, synthesis of (1,3)-β-D-glucan polymers was inhibited to 84.3, 79.7, and 70.2% of that of the control treatment following incubation of C. albicans microsomes with the A. lappa extract at a final concentration equal to its MIC, 2× MIC, and 4× MIC,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 lappa ethanol extract may aid the development of a new antifungal to successfully control Candidaassociated disease.

The Adjuvant Effect of Sophy ${\beta}$-Glucan to the Antibody Response in Poultry Immunized by the Avian Influenza A H5N1 and H5N2 Vaccines

  • Le, Thanh Hoa;Le, Tran Binh;Doan, Thanh Huong Thi;Quyen, Dong Van;Le, Kim XuyenThi;Pham, Viet Cuong;Nagataki, Mitsuru;Nomura, Haruka;Ikeue, Yasunori;Watanabe, Yoshiya;Agatsuma, Takesh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4호
    • /
    • pp.405-411
    • /
    • 2011
  • Avian influenza virus vaccines produced in oil-emulsified inactivated form with antigen content of at least 160 hemagglutinin units (HAU) induced immunity in birds. However, in addition to enhancing the effect of the adjuvant(s), other additional supplemented biological compounds included in inactivated vaccines could produce higher levels of antibody. We examined in chickens, Vietnamese ducks, and muscovy ducks the adjuvant effect of Sophy ${\beta}$-glucan (SBG), a ${\beta}$-1,3-1,6 glucan produced by the black yeast Aureobasidium pollulans strain AF0-202, when administered with an avian influenza H5 subtype vaccine. In Experiment 1, 40 chickens (ISA Brown hybrid), allocated to four groups of ten each, were immunized with Oil-H5N1(VN), Oil-H5N1(CN), Oil-H5N2(CN), and saline (control group), respectively. In Experiment 2, chickens (ISA Brown hybrid), muscovy ducks (French hybrid), and Vietnamese ducks (indigenous Vietnamese) were used to further assess the effect of SBG on immunogenicity of the Oil-H5N1(VN) Vietnamese vaccine. ELISA and hemagglutination inhibition (HI) assays were used to assess the antibody response. The H5 subtype vaccines initiated significantly higher immune responses in the animals dosed with SBG, with 1.0-1.5 $log_2$ higher HI titers and 10-20% ELISA seroconversion, compared with those not dosed with ${\beta}$-glucan. Notably, some of the animals dosed with SBG induced HI titers higher than 9.0 $log_2$ following boosting immunization. Taken together, our serial studies indicated that SBG is a potential effector, such as enhancing the immune response to the H5 vaccines tested.

Rhodotorula glutints 세포벽 용해효소를 생산하는 Aspergillus fumigatus의 분리와 그 효소의 특성 (Isolation of Aspergillus fumigatus and Properties of It's Enzyme for Rhodotorula glutinis Cell Wall Lysis)

  • 반재구;이준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15-222
    • /
    • 1984
  • Rhodotorula gl$\varkappa$tinis 세포벽에 작용하는 용해 효소 생산곰팡이를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고, Aspergillus f'||'&'||'micro;mig$\alpha$tus에 속하는 species로 동정되었다. 이 세포벽 용해효소는 세표외 유도효소였으며 lytic polysaccharidase 와 protease로 구성되어 생세포 용해에 공동으로 착용하였다. 이 lytic polysaccharidase는 Ascomycetous 효모에서의 주 구성 결합인 ${\beta}-1,3-$${\beta}-1$, 6-glucan에는 작용치 않았다. 이 효소는 생세포에는 역가가 낮았지만 R. glutinis의 분획된 세포액에는 protease의 도움없이 작용할 수 있었다.

  • PDF

추출 및 침전조건에 따른 아가리쿠스버섯에서 분리한 조단백다당류의 특성 및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 (Characteristics of Crude Protein-bound Polysaccharide from Agaricus blasei Murill by Extraction and Precipitation Conditions and Its Antitumor Effect)

  • 홍주헌;윤광섭;최용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86-593
    • /
    • 2004
  • 아가리쿠스버섯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인 조단백다당류의 효율적인 추출공정을 확립하기 위하여 다양한 추출조건에서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추출 분리된 조단백다당류의 열분해 특성 및 SRB assay에 의한 인체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단백다당류의 추출수율은 초음파추출이 13.0%로 가장 높았으며, 열수추출이 7.8%로 가장 낮았다. 추출된 조단백다당류의 당 조성은 약 80%의 glucose와 fucose, galactose 및 mannose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가압조건에서 2시간과 3시간의 추출은 ${\beta}-glucan$ 함량이 각각 32.28%와 32.34%로 뚜렷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아 가압추출 2시간이 생리활성물질의 추출조건으로 효과적이었다. 또한 침전조건에 따른 조단백다당류의 침전수율 및 ${\beta}-glucan$ 함량은 4배 첨가 시 각각 10.89%와 35.97%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열분해 특성은 네 단계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240-365^{\circ}C$에서 67.8%의 무게 감소를 보여주어 높은 온도에서도 열적 안정성이 있었다. SRB assay에 의한 인체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검토한 결과, A549의 경우 $1,000{\mu}g/mL$ 농도에서 72시간 처리 시에는 43.9%의 암세포 손상을 보여주어 MCF-7과 AGS에 비해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mparison of Protein Binding Polysaccharide from Agaricus blazei Murill Prepared by Ultrafiltration and Spray-Drying Process

  • Hong, Joo-Heon;Choi, Yong-Hee;Youn, Kwang-Sup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1-5
    • /
    • 2007
  • Chemical properties of spray-dried powders separated based on molecular weight from crude protein binding polysaccharide (CP-SD) of Agraricus blazei were examined. Contents of ${\beta}$-glucan in SD-1, SD-2 and SD-3 were 18.67%, 48.24%, and 37.15% respectively, and SD-2 (10-150 kDa) showed the highest molecular weight. Obtained ${\beta}$-glucans were not pure glucan, but was determined to be an acidic proteo-heteroglycan with a large amount of glucose (74.46-80.05%), galactose (8.91-15.2%), and mannose (4.9-5.46%). Composition of their amino acids was mainly aspartic and glutamic acids. FT-IR spectrum revealed SD-1, SD-2 and SD-3 were structures of ${\beta}$-1,3-glucans and ${\alpha}$-1,6-glucans at 890 and 930 $cm^{-1}$, respectively, signals of ${\alpha}$-1,6-glucans for CP-SD was not found. Useful CP-SD was recovered from A. blazei for preparation of three powder types as food materials.

Phellinus linteus의 균사체 액상배양에서 단백다당체(β-D-glucan)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균주 개량과 배양형태 조절의 중요성 (Importance of Strain Improvement and Control of Fungal cells Morphology for Enhanced Production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s(β-D-glucan) in Suspended Cultures of Phellinus linteus Mycelia)

  • 신우식;권영중;정용섭;전계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2호
    • /
    • pp.220-22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Phellinus linteus 균사체의 액상배양을 통한 면역증강 생리활성 효능의 단백다당체 생산공정을 개발하기 위한 시도로서, 우선 생산균체의 원형질체 형성을 통한 고생산성 균주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발효기 액상배양 시 최적 배양형태의 유도를 통해 균사체와 단백다당체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실에서 채취한 생산 균주를 ITS rDNA sequencing 방법과 blast search 방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 다양한 Phellinus linteus 종들과 99.67% 이상의 유사성 확인되어, 이 균주를 Phellinus linteus라고 최종적으로 동정할 수 있었다. 이 동정된 균주로부터 균주 개량을 시도하기 위해 Phellinus linteus 균사체로부터 대량의 원형질체 형성 및 재생에 의한 단일 콜로니 획득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균주를 신속하게 개량할 수 있었다. Sorbitol을 이용한 banding filtr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원형질체를 회수한 결과 $10^5{\sim}10^6\;protoplasts/ml$를 얻을 수 있었으며, 원형질체 재생률은 $10^{-2}{\sim}10^{-3}$로 나타났다. 균주개량을 위해 원형질체 재생배지와 고체배양배지에서 고성장성 및 고안정성을 보이는 균주들을 지속적으로 대량 선별하여, 액상 생산배양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균사체량은 13~15 g/L로 대부분 비슷하게 자랐으며, 조단백다당체의 함량 또한 5.8~6.4%로 거의 비슷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부터 고체배양배지에서 빠른 성장속도를 보여주는 균주들이 대부분 액상 생산배양에서도 고생산성 및 고안정성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Phellinus linteus 균사체의 경우 조단백다당체의 함량이 세포 무게당 거의 일정한 양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조단백다당체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최종 생산배양에서의 균체량 증가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어, 균사형성 고등균류의 균사체 배양 시 균체량 증가에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인 생산균주의 배양형태적 특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사하였다. 균주개량 실험을 통해 고생산성 균주로 최종 결정된 AR147 균주를 이용해서 다양한 배양조건에서 발효조 배양을 수행한 결과, 최종 생산발효조로의 접종원이 고농도의 균사모양인 경우에 생산균주의 배양형태가 매우 작은 compact한 펠렛 모양(대부분 직경 0.5 mm 이하)을 유지하는, 이상적인 균사체 액상배양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생산 발효조배양에서 직경 0.5 mm 이하의 compact한 펠렛 모양의 배양형태가 유도되었을 경우, lag phase 시간의 획기적 감소와 1.5배 이상의 높은 세포비성장속도로 인해, 최종 균사체생산성이 다른 배양형태를 유도한 경우에 비해 약 3.3배 더 높은 주목할 만한 배양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로부터 균사 형성 Phellinus linteus의 산업용 발효조 배양 시, 각 배양단계에서의 생산균체의 배양형태가 최종 균체생산성, 궁극적으로는 최종 단백다당체의 생산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haracterization of Cell Wall Proteins from the soo1-1/ret1-1 Mutant of Saccharomyces cerevisiae

  • Lee, Dong-Won;Kim, Ki-Hyun;Chun, Se-Chul;Park, Hee-Mo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0권3호
    • /
    • pp.219-223
    • /
    • 2002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Soo1p/${\alpha}$-COP during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and intra-cellular transport of cell wall proteins in Saccharomyces cerevisiae, cell wall proteins from the soo1-1/ret1-1 mutant cells were analyzed. SDS-PAGE analysis of biotin labeled cell wall proteins suggested that the soo1-1 mutation impairs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of cell wall proteins, such as N- and/ or Ο-glycosylation. Analysis of cell wall proteins with antibodies against ${\beta}$-1,3-glucan and ${\beta}$-1,6-glucan revealed alteration of the linkage between cell wall proteins and ${\beta}$-glucans in the soo1-1 mutant cells. Compositional sugar analysis of the cell wall proteins also suggested that the soo1-1 mutation impairs glycosylation of cell wall protein in the ER, which is crucial for the maintenance of cell wall integrity.

Ceriporia lacerata 배양액과 고정화 Lactobacillus plantarum K154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뷰티르산 생산 최적화 (Optimization of γ-Aminobutyric Acid (GABA) Production Using Immobilized Lactobacillus plantarum K154 in Submerged Culture of Ceriporia lacerata)

  • 이은지;이삼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38-445
    • /
    • 2015
  • L. plantarum K154 고정화와 C. lacerata 균사체 배양물을 이용한 혼합발효를 통해서 다당류, ${\beta}$-glucan과 같은 생리활성물질과 기능성 GABA 생산을 최적화 하고자 하였다. C. lacerata 균사체의 최적 배양 조건으로 glucose 3%, soybean flour 3%, $MgSO_4$ 0.15%를 혼합하여 배지로 사용하였고, 5 L jar fermentor를 이용하여 $25^{\circ}C$에서 7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배양물은 균사체 함량 29.7 g/L, 다당류 함량 3.1 g/L, ${\beta}$-glucan 2% (w/w), protease 활성 68.96 unit/mL, ${\alpha}$-amylase 활성 10.37 unit/mL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C. lacerata 균사체 배양물을 이용하여 젖산세균 고정화에 의한 혼합발효물의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배양 1일 째 비드 내에서 젖산세균의 수는 $3.13{\time}10^9CFU/mL$로 높게 나타났고, 배지에 유리된 젖산세균의 수는 배양기간 동안 $1.48{\time}10^8CFU/mL$로 유지하였다. 알지네이트 1.5%를 사용하여 비드를 제조하였을 때, GABA 함량을 측정한 결과 배양 7일 째 비드 내에서 6.30 mg/mL, 배지에서 9.96 mg/mL로 높게 나타났다. 젖산세균 고정화의 재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고정화 비드를 5회간 재사용하여 $30^{\circ}C$에서 15일간 혼합발효한 결과, GABA 생산이 급격히 증가하여 배양 기간 동안 유지하였다. 결론적으로 C. lacerata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고정화된 젖산세균을 이용한 혼합발효는 고농도 GABA를 포함된 기능성 소재를 생산할 수 있었으며, 이는 식품 및 생물 산업의 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