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thic pollution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8초

국내 연안개발에 따른 조하대 유기물 오염지표종 분포 연구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Organic Pollution Indicators at Subtidal on Coast Developmentsin Korea)

  • 한형섬;이승현;김종춘;손대선;마채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2호
    • /
    • pp.112-121
    • /
    • 2020
  • 연안개발에 따른 유기물 오염은 유기물 오염지표종의 분포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유기물 오염지표종이 대상해역에 장기간 우점하여 저서생태계를 교란시킨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 전 해역을 대상으로 조하대 저서생태계 유기물 오염정도를 확인한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연안개발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의 조하대 저서동물 조사결과를 분석하여 유기물 오염지표종의 분포를 확인하고, 우리나라 전 해역 조하대 유기물 오염정도를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유기물 오염지표종별 분포 현황을 이미지 프로그램을 통해 지도로 작성하고, 전체 출현분포 현황을 통해 전 연안의 저서건강도지수(BHI, Benthic Health Index)를 도식화하였다. 유기물 오염정도는 사업구분 및 유기물 오염지표종별 분포가 다양하였으며, 유기물 오염지표종 중 Lumbrineris sp.가 전 해역에 가장 우점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전체 조하대 유기물 오염정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앞으로의 조하대 저서생태계 유기물 오염정도는 유기물 오염지표종 분포를 통해 확인하고, 향후 연안개발 계획 수립 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유기물 오염지표종 중 Lumbrineris sp.의 분포는 간접적으로 개발 대상지의 유기물 오염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Benthic Pollution Assessment Based o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in Gamak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Koo, Bon-Joo;Je, Jong-Geel;Shin, Sang-Ho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11-22
    • /
    • 2004
  • Benthic pollution assessment based o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with environmental variables was carried out at twelve stations during two periods on a presumed pollution gradient in Gamak Ba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methods were applied to investigate structural changes in the benthic communities. A clear gradient of pollution effects on the macrobenthic community was observed from the interior to the exterior of the bay. The community on the northwestern basin was severely disturbed due to a low level of hydrodynamics and a large amount of pollutant input from nearby cities. Exterior regions on the southern basin appeared to have the best benthic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mong all stations according to most methods of analysis. Central ridge regions and two stations around the islets in the mouth of the bay exhibited intermediate levels of perturbation when compared to the more disturbed interior and undisturbed exterior regions. Pollution effects on the communities were attenuated at the southern area of the central ridge during spring compared to those of summer, where aquacultural farming was densely distributed. The environmental variables primarily correlated to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were total organic carbon (C), organochlorine pesticides (OCPs), and tributyltins (TBTs), contents found on the surface sediment, as anthropogenic variables indicating organic materials.

인천연안역 저서동물의 종조성을 이용한 환경평가 (Marine Environmental Assessment based on the Benthic Macroinfaunal Compositions in the Coastal Area of Inchon, Korea)

  • 이재학;고병설;박흥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71-781
    • /
    • 1997
  • 연안역의 환경을 오염이란 관점에서 가장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평가 방법을 선정하기 위하여 인천연안역을 대상으로 저서동물군집을 이용한 환경평가 방법인 종-개체수-생물량곡선 (SAB), 순위-빈도 곡선 (RFD), 개체수-생물량 비교법 (ABC), 대수-정규 분포 곡선 (LND), 내서 동물 식성지수를 응용한 저서 오염 지수 (BPI)에 적용하여 환경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래프를 이용한 평가방법은 환경상태를 한 눈에 파악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충분한 생물자료가 요구되기 때문에 지역적으로 또는 세부적으로 비교${\cdot}$분석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 저서오염지수에 의하면 정점간의 비교가 가능하였으며, 집괴분석의 결과에서 얻을 수 없는 출현종의 기능적인 면을 고려하여 오염의 정도나 경로까지 추적할 수 있었다. 여러 환경평가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인천연안역은 외해역 보다는 영종도 북동쪽 해역이 다소 오염의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특히 인천항이 오염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용문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변화 (Chang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in the Yongmoonchun, Yang Pyong)

  • 진재호;임영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6호
    • /
    • pp.461-470
    • /
    • 1997
  • There are 7 classes, 17 orders, and 141 speci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t the 5 study sites from Feb, '91 to May, '92. Total species frequency number has less variations among sites than seasonal changes. Not considering seasonal changes this indicates that there are some influences from outside pollution sources. Seasonally, Ortho chadiinae sp. 2 take 21.2% share of total species. It was the dominant species in Feb. '91. With total average level Ephemeroptera take 51.3% of total species as first dominant species. Diptera 27.8% as second dominant species and Trichoptera 16.7% as third dominant species. Through these biological indexes, they appear to have unstable living environments in summer at sites 1 and 5. One can see that site 1 is more polluted than site 3 because site 1 has more pollution sources such as pastures and recreation areas.

  • PDF

Individual-Based Models Applied to Species Abundance Patterns i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Streams in Response to Pollution

  • Cho, Woon-Seok;Nguyen, Tuyen Van;Chon, Tae-Soo
    • 생태와환경
    • /
    • 제45권4호
    • /
    • pp.420-443
    • /
    • 2012
  • An Individual-Based Model (IBM) was developed by employing natural and toxic survival rates of individuals to elucidate the community respons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to anthropogenic disturbance in the streams. Experimental models (dose-response and relative sensitivity) and mathematical models (power law and negative exponential distribution) were applied to determinate the individual survival rates due to acute toxicity in stressful conditions. A power law was additionally used to present the natural survival rate. Life events, covering movement, exposure to contaminants, death and reproduction, were simulated in the IBM at the individual level in small (1 m) and short (1 week) scales to produce species abundance distributions (SADs) at the community level in large (5 km) and long (1~2 years) scales. Consequently, the SADs, such as geometric series, log-series, and log-normal distribution, were accordingly observed at severely (Biological Monitoring Working Party (BMWP<10), intermediately (BMWP<40) and weakly (BMWP${\geq}50$) polluted sites. The results from a power law and negative exponential distribution were suitably fitted to the field data across the different levels of pollution, according to the Kolmogorov-Smirnov test. The IBMs incorporating natural and toxic survival rates in individuals were useful for presenting community responses to disturbances and could be utilized as an integrative tool to elucidate community establishment processes in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streams.

수영강의 수영천 및 석대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부수성에 따른 월별 군집 변이 (Monthly Changes i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Different Saprobities in the Suyong and Soktae Streams of the Suyong River)

  • Kang Da Hyeung;Tae-Soo Chon;Young-Seuk Par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1호
    • /
    • pp.157-177
    • /
    • 1995
  • Monthly changes in communiti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llected in the Suyong and Soktae stream of the Suyong river were investigated from September 1993 to August 1994. The total number of species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ranged from seven to seventy six species according to pollution levels at the study sites. Monthly changes in species richness appeared differently in different taxonomic assemblages. In chironomids differences in species richness responding to different levels of saprobity were shown consistently as time proceeded. In Ephemeroptera species richness at the relatively clean sites responded sensitively to slight enrichment. In connection with species richness the monthly changes in densities in taxonomic assemblages also appeared to effectively represent environmental impacts. Species diversity generally represented the pollution status also, however the monthly variations at the study sites appeared to be relatively high. The clustering analysis showed that the communities collected at polluted sites were grouped closely, and the communities collected at the relatively clean sites were clustered to the same stream although the degree of community association was low, Through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impact of Pollution was reflected in a great degree in overall community variations.

  • PDF

하천환경의 생물학적 평가를 위한 간이저서동물지수(SBMI)의 개발 (Development of Simple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dex (SBMI) for Biological Assessment on Stream Environment)

  • 공동수;민정기;노성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14-536
    • /
    • 2018
  • GPI (Group Pollution Index) using 29 indicator groups of Korean benthic macroinvertebrates was proposed in 1992, a higher category taxa-level index developed for rapid field assessment of organic water pollu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se the assessment scheme of GPI based on taxonomic performance and ecological information accumulated since 1992. The original GPI was renamed SBMI (Simple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dex), and SBMI was based on saprobic valency of 26 indicator groups composed of higher category taxa (mainly family ~ phylum) excluding some genus or species-level taxa. SBMI revealed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ncentration of 5-day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_5$) (correlation coefficient r = 0.78, n = 569 sites), total suspended solids (r = 0.69), and total phosphorus (r = 0.77). Also, SBMI revealed strong correlation with Shannon-Weaver's species diversity (r = -0.85), Margalef's species richness (r = -0.85), and McNaughton's dominance (r = 0.83).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SBMI to concentration of water quality items and values of community indices such as species diversity was 3 ~ 8 % and approximately 11 ~ 14 % higher than that of GPI, respectively. Correlation between SBMI and water quality factors or community indices such as species diversity did not reveal much difference compared to that of species-level indices, such as BMI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dex) and ESB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SMBI is a simple-qualitative index with higher category taxa easily identified, and is applicable for rapid field assessment of water environment impairment.

낙동강 하구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분포에 따른 생태계 평가 적용 (Implication to Ecosystem Assessment from Distribution Pattern of Subtidal Macrobenthic Communities in Nakdong River Estuary)

  • 윤건탁;박흥식;장만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6권4호
    • /
    • pp.246-253
    • /
    • 2011
  • 낙동강 하구역에서 홍수기 전후에 저서동물군집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에서, 저서환경은 대부분 지역에서 사질 퇴적상이 우세하였으며, 일부 수로 지역에서 복잡한 퇴적상을 나타냈다. 홍수기 방류에 의한 공간에 따른 퇴적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홍수기 이후 하구역 상부에서 유기물이 소량 증가하였다. 저서생물 종조성은 공간적으로 차이를 보였는데, 홍수기 이후에 배수갑문 근처 지역에서 종조성이 감소하였다. 군집분석 결과는 3개 군집구조가 나타났으며, 하구역 하부에 위치한 사주를 기준으로 공간적 구배를 나타냈다. 사주 상부에는 Sinocorophium sinensis, Magelona japonica, Heteromastus filiformis 등 유기오염 기회종들이 우점하였다. 기회종이 디수 출현한 것은 낙동강 하구둑 주변에 서식하는 저서동물이 방류로 인한 유기물 유입 영향에 따른 것으로 해석되며, 방류로 인한 영향은 방조제 부근에서 사주지역까지 나타났고, 사주 바깥지역은 대량방류로 인한 저서동물의 종조성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저서오염지수를 이용한 진해만 해역의 저서건강도 평가 (The macrobenthic community health was assessed using the Benthic Pollution Index(BPI) in Jinhae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서진영;최진우
    • 환경생물
    • /
    • 제40권4호
    • /
    • pp.510-524
    • /
    • 2022
  • 2011년 2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진해만에 23개 정점을 선정하여 저서오염지수를 이용하여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건강도를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 거제도 북쪽과 칠천도 부근의 정점을 제외한 모든 진해만 해역에서 저서동물군집의 건강도가 4~5등급으로 매우 오염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산만과 고성만, 통영만의 일부 정점들에서는 기회종이 속한 4그룹의 비중이 90% 이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저서환경이 오염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진해만에서는 마산만, 행암만, 통영만, 고현만에서 여름철 hypoxia 현상으로 인해 무생물 상태를 보였고, 종료 후 기회종이 대량 가입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hypoxia 후 기회종이 가입되지 않은 일부 정점들이 관찰되었고, 이로 인해 저서건강도가 과대평가되는 현상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진해만의 저서건강도는 경기만의 시화호, 부산항만 등 다른 특별관리해역들에 비해서도 매우 낮게 나타나 심각하게 오염된 저서환경임을 시사하였다.

진위천의 수질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ndices in the Jinwi Stream)

  • 최아름;박선진;김진영;송미영;공동수
    • 생태와환경
    • /
    • 제45권1호
    • /
    • pp.1-10
    • /
    • 2012
  • 본 연구는 상류부터 하류까지 오염도가 상이한 진위천에서 나타나는 생물군집지수와 수질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수질의 오염도가 증가할수록 하루살이류는 감소하였으며, 날도래류는 강부수성 수역에서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반면 환형동물류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파리류는 강부수성 수역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상관분석의 결과, 종풍부도지수(RI)와 ESB는 $BOD_5$와 부유물질 (SS)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우점도지수 (DI), 다양도지수(H'), EPT, KSI는 $BOD_5$에만 유의성을 보였고 균등도지수 (J)는 두 항목 모두와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EPT의 경우 수질과 더불어 물리적 요인에도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오탁계급치의 평균치로 산정되는 KSI의 경우 유기물 오염에 대한 지표로서 적용성이 높으나 부유물질의 영향은 나타내지 못하는 반면 ESB 지수는 유기물과 무기물 오염은 물론 군집의 다양성과 풍부도도 함께 대변할 수 있는 지표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