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thic Polychaetes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초

황해의 저서군집내에서 다모류의 중요성과 종조성 (Quantitative import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polychaetes in the benthic community of the Yellow Sea)

  • 이재학;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89-195
    • /
    • 1989
  • 본 연구는 1982년 8월부터 1986년 2월 까지 5년에 걸쳐 계절별로 한반도에 인접한 황해의 저서다모류를 대상으로 정량 채집하여 다모류의 중요성과 종조성을 파악하였다. 다모류의 비중은 전 저서동물군 중에서 가장 높은 $35.1\~46.4\%$의 조성률을 나타내었고, 생체양에 있어서는 극피동물이나 연체동물군이 우점군으로 나타났으나 그들의 계절적 변화 폭이 일정하지 않고 매우 다양했다. 채집도구에 따른 다모류의 비중은 드레지(dre-dge)를 사용할 경우 채이기(grab)의 경우보다 약간 낮은 조성률을 나타내었다. 이는 드레지의 경우가 훨씬 더 퇴적물의 표층부분만을 예인하기 때문이었으며 다모류의 조성률도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기간 중 출현한 다모류는 모두 141종으로 나타났으며 이 해역에서의 대표종은Spiophanes bormbyx, Ampharete arctica, Geniada maulata, Nephtys caeca, Nothria iridescens이었다.

  • PDF

황해의 저서군집내에서 다모류의 분포유형 (Distributional Pattern of Polychaetes in the Benthic Community of the Yellow Sea)

  • 이재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4-229
    • /
    • 1987
  • 본 연구는 1982연 8월부터 5년에 걸쳐 한반도에 인접한 황해의 저서동물을 대상으로 정량채집하여 그중 다모류의 분포유형을 밝히고 저서군집내에서의 특징적인 다모류의 종류와 그들의 생물학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다모류의 저식환경이 따른 분포유형을 보면 온수종은 18종, 냉수종은 22종, 범세계종은 20종, 고유종은 29종, 태평양연안종은 7종이었으며 퇴적물의 특성에 따라서 분류할 경우 사질상에 특징적인 종은 Anaitides koreana, Aglaophamus sinensis, Nephtys polybranchia, Nephtys caeca, Glycera capiteta, Scoloplos armiger 등이, 이질상에 특징적인 종은 Haploscoloplos elongatus와 Ophelina aulogaster가 밟혀졌다. 본 조사해역의 저저군집은 우점하는 저서생물상에 의해 6개 저서군집으로 구분되어 각 군집은 저서구역의 생태적인 특징에 따라 다모류의 종류가 밟혀졌다. 전반적으로 황해는 Ophiura kinbergi, Amphioplus megapomus 및 Luidia quinaria 등 극피동물의 분포구역이 많고 서식밀도에 있어서도 매우 높아 이들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었다.

  • PDF

2020년 하계 제주도 인근 대륙붕 해역의 저서다모류군집 구조 및 저서생태계 건강도 평가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Polychaetes and its Health Status (Assessed by Two Biotic Indices) on the Adjacent Continental Shelf of Jeju Island, in Summer of 2020)

  • 이서이;김건;서호영;신현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4권2호
    • /
    • pp.113-126
    • /
    • 202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and benthic ecosystem quality status on the adjacent continental shelf of Jeju Island, and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at 31 stations in July and August, 2020. The surface sediment was generally composed of muddy sand facies and sandy mud facies,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was medium silt (6.1±1.6∅). The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revealed a total of 73 species with a mean density of 242 ind./m2.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Notomastus latericeus, Ampharete arctica and Onuphis shirikishinaiensis. By the cluster analysis and nMDS results based on species composition of the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three station groups arranged from east to west by the water depth and sedimentary facies. The station group located in the west was subdivided into two station groups from south to north. From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nd PCA, it was found that the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in the study area had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sedimentary environment and water depth. The benthic faunal community (or ecosystem) on the adjacent continental shelf of Jeju Island was assessed to be in a healthy state by biotic indices such as AMBI and BPI.

목포 인근 해역 펄 조간대의 저서동물 군집 (Macrozoobenthic Community on the Mud-tidalflat around Mokpo Coastal Area, Korea)

  • 임현식;박경양;임병선;이점숙;주수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5호
    • /
    • pp.355-365
    • /
    • 1997
  • Macrozoobenthic community structure was studied on the mud-tidalflat around Mokpo coastal area, Korea, from September 1995 to May 1996. Ten sampling stations were chosen along the 1km transect with a 100 m intervals. Triple macrozoobenthos sampling were conducted with a stainless box core sampler (size $13{\times}22{\times}30$ cm) at each station on the seasonal basis. A total of 119 species of macrobenthos was sampled with a mean density 2,357 $ind./m^2$ and biomass of 180. 94 $g/m^2$ during the study period. Of these species, there were 51 species of mollusce (43%), 36 of crustaceans (30%), 27 of polychaetes (23%). Molluscs were density-dominant faunal group with a mean density of 1,804 $ind./m^2$, comprising of 75% of the total density of the benthic animals. It was followed by polychaetes with 347 $ind./m^2$ (15% of the total density). Molluscs were biomass-dominant faunal group with a mean biomass of 147.51 $g/m^2$ (82% of the total biomass).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and biomass showed increasing trends toward the lower intertidal stations from the higher stations. Major dominant species were Musculista senhousia (bivalve), Capitellidae spp. (polychaetes) with a density of 1,640 $ind./m^2$ and 179 $ind./m^2$ , respectively. The density of M. senhousia was more than 63% of the total density of benthic organism on the tidal area. Small gastropod Cerithideopsilla umumriensis was another dominant epifaunal species between st.1 and 2 with a mean density of 100 $ind./m^2$.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benthic community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tional groups, that is, upper, middle and lower groups by the exposure duration.

  • PDF

1995년 12월 경기만 북부해역에서와 저서다모류 군집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in Northern Kyeonggi Bay in December 1995)

  • 신현출;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3권4호
    • /
    • pp.261-270
    • /
    • 1998
  • 본 연구는 경기만의 저서다모류 군집의 분포와 종조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5년 12월에 수행되었다. 저서동물의 평균서식밀도는 557 개체/$m^2$이었고, 우점 동물군은 다모류로서 출현종수는 60 종, 서식밀도는 488 개체/$m^2$이었다. 저서다모류의 서식밀도는 인천항을 중심으로한 염하수로 일대 해역에서 가장 높았고, 영종도와 송도 주위의 조간대 지역과 주수로를 포함한 외해역에서는 낮았다. 최우점종은 Heteromastus filiformis이었으며(다모류 중 47.3%), 다음은 Nephtys polybranchia, Tharyx sp., Sternaspis scutata의 순이었다. 우점종의 종조성에 기초한 집괴분석 결과 경기만은 외해역/수로역, 인천항, 영종도조간대, 송도조간대의 네 해역으로 구분되었다. 외해역과 수로역은 출현종수가 가장 많아 다양도지수가 가장 높은 정점군이며, 인천항은 다모류의 서식밀도가 가장 높은 정점군이다. 특히 인천항은 H. filiformis가 극우점하는 지역이다. 경기만에서 수행된 이전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면, 종수나 서식밀도는 최근 10 년간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우점종은 각 연구마다 차이를 보이나, 대체로 버들갯지렁이과, 실타래갯지렁이과, 얼굴갯지렁이과에 속하는 소형의 기회주의종들 이었다. 이러한 사실은 경기만의 유기물 오염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음을 지시하며, 특히 본 연구 결과는 오염의 중심지가 인천항이며, 시화방조제 인근해역의 저서동물군도 극도로 불안정한 상태에 있음을 나타낸다.

  • PDF

저서동물에 의한 여름철 광양만의 저서환경 상태파악 (The Summer Benthic Environmental Conditions Assessed by the Functional Groups of Macrobenthic Fauna in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최진우;현상민;장만
    • 환경생물
    • /
    • 제21권2호
    • /
    • pp.101-113
    • /
    • 2003
  • 여름철 광양만의 저서환경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2001년 6뭘 광양만의 38개 조사정점에서 대형저서동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154종 이었고, 다모류가 출현종수와 개체수에서 가장 우점한 동물분류군이었다. 다모류의 Tharyx sp.(44.8%),Lumbrineris longifolia (14.0%), 이매패류의 Mytilus edulis (6.5%), 단각류의 Corophium sinense (4.5%), 다모류의 Heteromastus filiformis(3.6%), Sigambra tentaculata (1.7%)등이 주요 우점종이었다. 광양만의 묘도 서쪽에 위치한 정점들에서 종수와 개체수가 적었고, 광양만의 주수로역에서 풍부한 생물상을 보였다. 저서오염지수 (BPI)와 생물계수(BC)에 의한 저서군집의 건강도지수서는 주수로역의 일부 정점을 제외한 전 정점이 현재 정상상태 또는 약간 오염된 상태에 있었고, 광양만 입구 지역에서는 유기물오염에 잘 적응한 다모류의 대량 출현이 있어서 유기물 오염의 징후로 보여 향후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 발전소 주변의 저서다모류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Environmental Effects on the 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Around the Power Plant Areas in the East Sea of Korea)

  • 권순현;이재학;유옥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2권1호
    • /
    • pp.18-30
    • /
    • 2017
  • 저서퇴적상은 다모류 군집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지만, 다양한 퇴적상을 가지는 온배수 지역에서 저서다모류 서식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동해 연안 저서다모류의 종 조성 및 군집 분포에 따른 공간적 분포 양상을 파악하였고, 이에 영향을 미친 환경요인들을 측정하였으며,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온배수와 퇴적상의 차이가 저서다모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서다모류 군집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8월에서 2013년 2월까지 온배수 영향이 있는 울진, 고리 지역과 비교대상 지역인 후포 지역을 포함한 세 지역에서 생물을 채집하였다. 조사결과 총 283종, 평균 4,912개체/$m^2$의 저서다모류가 출현하였다. 주요 우점종으로는 Spiophanes bombyx, Magelona japonica, Lumbrineris longifolia, Sternaspis scutata 등 이었으며, 울진과 후포지역은 S. bombyx, 고리 지역은 M. japonica가 최우점 출현하여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Lumbrineris longifolia와 M. japonica는 일반적인 동해 연안에 많은 수로 우점 서식하지만 조사지역의 발전소 취 배수구 지역에 거의 출현하지 않아 발전소 취 배수구 지역의 인위적인 환경교란이 저서다모류 종 조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지역을 종합하여 다모류 군집 분석을 실시 한 결과 퇴적물 내의 총 유기탄소량과 퇴적물의 입도, 퇴적상에 따른 군집으로 나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다모류의 군집구조는 발전소 온배수 및 취 배수구의 인위적인 환경 교란에 의한 영향은 발전소 취 배수구 주변에 국한되며 그 이외의 지역에서는 퇴적물 내의 총 유기탄소량과 퇴적물의 입도 등 지역 간 퇴적상 조성에 보다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진해만 북부해역 저서다모류 군집의 시$\cdot$공간적 분포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in the northern Jinhae Bay)

  • 임경훈;신현출
    • 환경생물
    • /
    • 제23권3호
    • /
    • pp.238-249
    • /
    • 2005
  • 2002년 9월, 12월 그리고 2003년 3월에 걸쳐 진해 국가산업단지 인근의 조사해역에서 총 27개 정점을 선정하고 저서동물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전 조사기간 모두 각각 총 9개 동물군이 확인되었고, 평균 저서동물의 서식밀도는 $2,324ind.m^{-2}$으로, 일반적인 한국 연안의 저서동물 서식밀도보다 다소 높은 값이었다. 이중 전 계절에서 가장 우점하는 동물군은 다모류로서, 3회 평균 $1,713ind.m^{-2}$의 서식밀도를 나타내었으며, 출현 개체수에 있어 전체 출현동물의 $73.7\%$를 차지하여 그 중요도가 가장 높았다. 다모류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는 전 계절 조사기간동안 $61\~$66종, $1,445\~l,899ind.m^{-2}$으로 계절 변동은 크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진해 국가산업단지 인근의 해역에서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가 낮았고, 비교적 해수 소통이 원활한 초리도 인근 해역에서 높았다. 진해만에서 3계절동안 우점한 다모류는 Lumbrineris longifolia, Tharyx sp., Mesochaetopterus sp., Heteromastus filiformis, Prionospio sp., Glycinde sp. 등이었다. 우점 다모류 역시 진해 국가산업단지 인근의 해역에서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가 낮은 편이었고, 초리도 인근 해역에서 대체적으로 높았다. 이중 Mesochaetopterux sp.만 유독 수하식 홍합양식장이 위치한 일부 정점에서 극우점 하였다. 집괴분석에 의해 본 연구 해역을 구분한 결과, 진해 국가산업단지에서부터 외해쪽으로 나가면서 정점군들의 위치가 단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뚜렷하였다.

A Benthic Polychaete Assemblage off the Korean South Coast(Gwangyang Bay and Yeosu Sound)

  • Kim, Yong-Hyun;Shin, Hyun-Choo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2호
    • /
    • pp.157-166
    • /
    • 2010
  • We investigated the benthic polychaete assemblage in Gwangyang Bay and Yeosu Sound in February 1997. The sediment was an almost entirely muddy facies. The benthic macrofauna comprised 295 species occurring at a mean density of 875 $indiv./m^2$. Polychaetes were the major faunal component; there were 94 species at mean density 765 $indiv./m^2$. The highest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 occurred in the Myodo south and north channels, in the mouth of Gwangyang Bay, and in the Noryang channel mouth. The most abundant polychaete was Tharyx sp. (47.9%), followed in rank order by Heteromastus filiformis (9.6%), Melinna cristata (9.3%), and Lumbrineris longifolia (7.3%). Cluster analysis divided the study area into four station groups based on station similarities in benthic polychaete assemblages: the Glycinde-Prionospio cluster in the western inner bay, the H. filiformis cluster in the middle inner bay, the Melinna-Lumbrineris cluster in the Myodo south-north channel, and the Tharyx cluster in the eastern main channel region. The sediment type of Gwangyang Bay has changed gradually from sandy to muddy. Dominant species have also changed from Chone teres and Lagis bocki to Tharyx sp., which is a potential organic pollution indicator.

외나로도 주변해역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과 저서 생물상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enthic faunal facies in the sediments around the Oenaro Island, southern part of Korea)

  • 현상민;최진우;신경순;장만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5-225
    • /
    • 2002
  • In order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enthic facies of the sediments from the Oenaro Island where red tide proliferation is first observed every year including this year, surface and short multiple core sediment samp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geochemical and benthic facies variation. The contents of organic carbon, carbonate, and sulfide gas were relatively low. The variation in C/N ratios, which indicate nature of organic carbon, suggested that the organic carbon recorded in the study area is composed of mixtures of marine and terrigenous organic matters. The concentration of minor elements found at the surface and multiple core sediment samples were also low as well as the enrichment factors(Ef) for the seven heavy metals indicated that the sediment of this area is not polluted significantly. The macrobenthic faunal community comprised 61 species, and their mean density was 708 ind./m2. Polychaete worms were major taxa of this benthic community. A crustacean amphipod, Melita sp. was the most abundant species accounted for 20.7% of total abundance, and the small polychaetes such as Heteromastus filiformis, Paralacydonia poradoxa, Magelona japonica and Sigambra tentaculata were the next dominant species. The macrobenthos around the Oenaro Island were more diverse and abundant than that in Gamak Bay. The benthic communities in the study area sustained somewhat different species composition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and the MDS ordination. The benthic community health condition at three stations seemed to be unbalanced, and slightly polluted based on the biological index such as BPI and BC. There was no clear relationship between the geochemistry characteristic and the benthic faunal facies attributed by the micro-algal blooms in this coastal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