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omyl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4초

제주도(濟州道) 연안(沿岸) 해양(海洋) 중(中) benomyl의 잔류(殘留) (Residue of benomyl in the coastal environment on the Cheju island)

  • 김정호;서승교;오윤근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1-56
    • /
    • 1999
  • Benzimidazole계 농약인 benomyl네 의한 제주도연안 해양오염을 규명하고자, 1996년 5월, 8월, 10월에 제주시와 서귀포시 근해 해양 환경시료에서 benomyl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Benomyl은 자연계에서 주로 carbendazim (methyl 2-benzimidazolecarbamate)으로 빠르게 변환되고 대사 되기 때문에 carbendazim 잔류량을 benomyl 잔류량으로 하였다. UV-HPLC에 의한 benomyl의 최소검출농도는 해수 중에서 $0.2{\mu}g/L$이었고, 저니토, 우뭇가사리, 미역, 소라, 성게 등 고체시료는 $0.4{\mu}g/kg$이었다. 모든 시료의 해수와 저니토에서 benomyl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우뭇가사리와 미역, 소라, 성게의 모든 시료에서 benomyl이 불검출 되었다. 이는 농약살포기인 5월, 8월과 농약 비살포기인 10월에도 같은 결과였다. 또한 감귤농업을 상대적으로 적게 하는 북제주도의 제주시부근 뿐만 아니라, 감귤농업을 많이 하는 남제주도의 위미연안에서도 benomyl이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benomyl에 의한 제주도 연안 해양환경의 오염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느타리버섯의 Benomyl 저항성(抵抗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Benomyl Resistance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spp.))

  • 유성준;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8
    • /
    • 1984
  • 1. Benomyl은 버섯류(類)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을 억제(抑制)하였는데 $ED_{50}$은 Pleurotus spp. 25ppm, Agaricus bisporus 50ppm, Flammulina velutipes 200ppm으로서 Pleurotus spp.가 benomyl에 대하여 감수성(感受性)이 가장 높았다. 2. Benomyl 함유배지(含有培地)에서 계대배양(繼代培養)할 때 5세대(世代) 및 10세대(世代)에는 1세대(世代)보다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증가(增加)하였고 생장증가율(生長增加率)은 명(各) 버섯균(菌)의 benomyl $ED_{50}$농도(濃度)에서 가장 높았다. 3. Benomyl 처리(處理) 배지(培地)에서의 계대별(繼代別) 균사생장(菌絲生長)은 균(菌)의 종류(種類)에 따라 달라서 P. florida는 5세대(世代), Agricus bisporus는 7대(代)까지는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증가(增加)하다가 그후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4. Benomyl의 계속처리(繼續處理)는 mutant sector의 발생(發生)을 유기(誘起)하였는데 sector의 출현(出現)은 benomyl의 처리농도(處理濃度)가 낮을때 빨랐으며 P. ostreatus가 P. florida 보다 빨랐다. 5. Benomyl에 의해 유기(誘起)된 mutant sector는 약제(藥劑)에 계속처리(繼續處理)된 모(母) colony 보다 균사생장(菌絲生長)이 빨랐으나 benomyl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에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benomyl란 함유배지(含有培地)에서 계대배양시(繼代培養時) 정상(正常) colony에서 보인 균사생장(菌絲生長)의 증가(增加)는 약제저항성(藥劑抵抗性)에 기인(起因)하는 것이었다.

  • PDF

두꺼비 배아를 활용한 화학물질의 독성평가 연구 (Toxicity Evaluation of Chemicals using Asian Toad Embryos, Bufo gargarizans)

  • 고선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05-711
    • /
    • 2016
  • 국내에 서식하는 두꺼비의 배아를 이용하여 화학물질의 독성평가에 대한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FETAX(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Xenopus) 기법에 따라 두꺼비(Bufo gargarizans)의 배아를 배양하면서 Zn과 Benomyl의 효과를 probit 분석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Zn과 Benomyl의 농도에 의존하여 유생의 체장 길이는 감소하고 치사율과 기형율은 증가하였으며 Zn과 Benomyl의 teratogenic concentration($EC_{50}$)은 각각 2.3, $1.0mg/{\ell}$을 나타내었고 embryo lethal concentrations($LC_{50}$)은 10.3, $6.9mg/{\ell}$을 나타내었다. Teratogenic index($TI=LC_{50}/EC_{50}$)는 Zn의 경우 4.4, Benomyl의 경우 6.7을 나타내어 Zn과 Benomyl은 두꺼비 배아 발달에 최기형성 물질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보아 Zn과 Benomyl 모두 낮은 농도에서 두꺼비 배아발달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이는 다량의 배아 확보가 가능하며 배양이 용이하고 치사율, 기형율, 성장률, 기형양상 등을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두꺼비 배아를 활용한 시험기법은 화학물질 및 환경오염물질의 독성검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광촉매공정과 초음파를 접목시킨 광촉매공정에 의한 Benomyl의 분해 비교 (The Comparison of Photocatalysis and Sonophotocatalysis for Benomyl Degradation)

  • 안상우;박재홍;조일형;장순웅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85-589
    • /
    • 2006
  • Comparison between photocatalysis and sonophotocatalysis were performed in lab-scale experiments for the treatment of benomyl. The effect of operational parameters, i.e., initial benomyl concentration, $TiO_2$ concentration, $H_2O_2$ concentration on the degradation rate of aqueous solution of benomyl has been examin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photocatalysis and sonophotocatalysis processes were determined: initial Benomyl concentration was 3 mg/L, the concentration of $TiO_2$ was 2 g/L and $H_2O_2$concentration was 1.5 mM.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sonophotocatalysis was effective for inducing faster degradation of the benomyl.

Influence of Benomyl on Photosynthetic Capacity in Soybean Leaves

  • Roh, Kwang-Soo;Oh, Mi-Jung;Song, Seung-Dal;Chung, Hwa-Sook;Song, Jong-Suk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6권2호
    • /
    • pp.100-106
    • /
    • 2001
  • Thi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study the influence of benomyl on photosynthetic pigments and enzymes in soybean leaves. Chlorophyll and pheophytin levels were reduced by benomyl 45 days after green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lorophyll a and b, and pheophytin must be controlled by benomyl. SDS-PAGE analysis showed that 50 and 14.5 kD polypeptides represented as large and small subunits of rubisco. In the both of these subunits, the band intensity of the contro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after benomyl treatment, indicating that these two subunits are affected by benomyl. Benomyl strongly inhibited both the activity and content of rubisco as its concentration was gradually increased. However, it remains unclear whether this reduction of rubisco level was due to a reduced level of rubisco activase. Two major polypeptides of 46 and 42 kD were identified as rubisco activase subunits by SDS-PAGE. The intensity of these two bands was shown to be higher in the control than after benomyl treat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ubisco decrease resulting from increased benomyl concentrations was caused by rubisco activase. A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the activity and content of rubisco activase by benomyl was also observed. There results suggest that the decrease in rubisco level caused by benomyl is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both the activity and content of rubisco activase.

  • PDF

농약류(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가 두꺼비(Bufo Gargarizans) 배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sticides(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 on the Asian Toad(Bufo Gargarizans) Embryo Development)

  • 고선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7-215
    • /
    • 2020
  • 농약류 3종의 독성평가를 위해 FETAX(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Xenopus) 기법에 따라 국내에 서식 중인 두꺼비(Bufo gargarizans)의 배아를 배양하면서 Benomyl(살균제), Carbofuran(살충제), Thiobencarb(제초제)의 영향을 probit 분석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의 농도에 의존하여 유생의 체장 길이는 감소하고 치사율과 기형율은 증가하였다. 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의 teratogenic concentration(EC50)은 각각 1.03, 8.74, 4.98mg/ℓ을 나타내어 Benomyl이 기형 유발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embryo lethal concentrations(LC50)은 7.26, 560.72, 16.87mg/ℓ을 나타내어 Benomyl이 가장 낮은 농도에서 배아가 치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eratogenic index (TI=LC50/EC50)는 Benomyl 7.05, Carbofuran 64.16, Thiobencarb 3.39를 나타내어 TI값이 모두 기형유발물질로 판단되는 기준인 1.5이상으로 시험에 사용된 농약류 3종은 최기형성 물질로 판단된다. Carbofuran이 가장 강력한 최기형성물질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농약류가 두꺼비 및 양서류의 배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그 작용기작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LC/MS법 및 LC/UVD(EPA-631)를 이용한 수계 중 Benomyl의 분석법 평가 (Evaluation of LC/MS and LC/UVD(EPA-631) Methods in Determination of Benomyl Concentration in Water Samples)

  • 김기동;최원규;서용찬;박병황;최혜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0-44
    • /
    • 2001
  • 내분비계 장애물질 중의 하나인 농약 benomyl의 환경잔류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수질중의 benomyl 농도를 정량 하였다. 일반적으로 benomyl은 가수분해하여 carbendazim으로 변하며 본 분석법은 carbendazim을 정량 하는 간접법이다. 수질중의 잔여 benomyl은 가수분??후 적절한 용매로 추출하여 농축, 정제되었다. 농축된 시료의 carbendazim 농도를 LC/MS (TOF)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방해물질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제거할 수 있었다. 검출한계는 LC/UVD법(EPA-631)에 비하여 약 1,600배 낮았으며 spike의 회수율도 약 80~118%로 양호하였다.

  • PDF

수확후 처리제로서 Benomyl과 Bitertanol이 처리된 사과의 저장조건에 따른 잔류량 (Residues of Benomyl and Bitertanol in Apples Treated as Postharvest Fungicides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 이은주;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34-441
    • /
    • 1996
  • 저장중인 사과에 발생하는 병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postharvest 약제로서 benomyl과 bitertanol을 사과에 처리한 후 CA 및 저온저장시켜 저장중 약제의 분해양상, 잔류량의 변화 및 약제의 안전성 평가 그리고 약제의 사과 내로의 침투율을 조사하였다. CA저장에서 약제의 분해양상은 사과의 저장 초기에는 느린 속도로 분해되나 저장 후반기로 갈수록 빠르게 분해되며, 저온저장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저장 후기보다 초기에 빠른 분해양상이 나타났다. Benomyl과 bitertanol이 표준살포농도로 처리된 사과에서의 초기농도는 2.24 및 1.54mg/kg으로 나타났으며, CA저장에서는 저장후 135 및 96일, 저온저장에서는 115 및 70일에 MRL인 1mg/kg에 이르렀다. Benomyl과 bitertanol의 분해반감기는 CA저장에서 124 및 130일이고, 저온저장에서는 101 및 111일로 나타나서 CA저장보다는 저온저장에서 보다 더 빠른 분해가 이루어졌다. Benomyl과 bitertanol이 처리된 사과에서의 침투율을 조사한 결과 두 약제 모두 과육부보다는 과피에 주로 잔류되어 있었다.

  • PDF

청개구리 배아를 활용한 농약류(살균제, 살충제, 제초제)의 독성평가 연구 (Studies on Toxicological Evaluation of Pesticides(Fungicide, Insecticide, Herbicide) using Tree Frog Embryos, Hyla japonica)

  • 윤필상;고선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8-186
    • /
    • 2019
  • 국내에 서식중인 청개구리의 배아를 활용하여 농약류 3종의 독성평가를 위해 FETAX(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Xenopus) 기법에 따라 청개구리(Hyla japonica)의 배아를 배양하면서 Benomyl(살균제), Carbofuran(살충제), Thiobencarb(제초제)의 효과를 probit 분석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의 농도에 의존하여 유생의 체장 길이는 감소하고 치사율과 기형율은 증가하였다. 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의 teratogenic concentration($EC_{50}$)은 각각 1.00, 0.58, 4.75mg/L을 나타내어 Carbofuran이 기형유발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embryo lethal concentrations($LC_{50}$)은 7.04, 28.71, 16.12mg/L을 나타내어 Benomyl이 가장 낮은 농도에서 배아를 치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eratogenic index($TI=LC_{50}/EC_{50}$)는 Benomyl 7.04, Carbofuran 49.50, Thiobencarb 3.39를 나타내어 TI값이 모두 기형유발물질로 판단하는 기준인 1.5 이상을 나타내어 시험에 사용된 농약류 3종은 최기형성 물질로 판단되며 Carbofuran이 가장 강력한 최기형성물질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 of Benomyl Treatments on Ginsenosides and Arbuscular Mycorrhizal Symbiosis in Roots of Panax ginseng

  • Eo, Ju-Kyeong;Eom, Ahn-Heum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4호
    • /
    • pp.256-259
    • /
    • 2009
  • The effects of benomyl treatment on ginsenoside and arbuscular mycorrhizal (AM) symbiosis in the roots of Panax ginseng that were collected from two sites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 ginseng roots that were treated with benomyl showed different species compositions of AM fungi colonizing the ginseng roots, compared to untreated roots. In the analysis of ginsenoside, R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enomyl untreated roots than in benomyl treated roots. The results suggest that AM fungal species composition and ginsenosides in ginseng root could be influenced by the benomyl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