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ign neoplasms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17초

MicroRNA-186 targets SKP2 to induce p27Kip1-mediated pituitary tumor cell cycle deregulation and modulate cell proliferation

  • He, Zongze;Chen, Longyi;Wang, Qi;Yin, Cheng;Hu, Junting;Hu, Xiao;Fei, Fan;Tang, Ji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3권3호
    • /
    • pp.171-179
    • /
    • 2019
  • Pituitary tumors are usually benign but can occasionally exhibit hormonal and proliferative behaviors. Dysregulation of the G1/S restriction point largely contributes to the over-proliferation of pituitary tumor cells. F-box protein S-phase kinase-interacting protein-2 (SKP2) reportedly targets and inhibits the expression of $p27^{Kip1}$, a well-known negative regulator of G1 cell cycle progression. In this study, SKP2 expression was found to be upregulated while $p27^{Kip1}$ expression was determined to be downregulated in rat and human pituitary tumor cells. Furthermore, SKP2 knockdown induced upregulation of $p27^{Kip1}$ and cell growth inhibition in rat and human pituitary tumor cells, while SKP2overexpression elicited opposite effects on $p27^{Kip1}$ expression and cell growth. The expression of microRNA-186 (miR-186) was reported to be reduced in pituitary tumors. Online tools predicted SKP2 to be a direct downstream target of miR-186, which was further confirmed by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s. Moreover, miR-186 could modulate the cell proliferation and $p27^{Kip1}$-mediated cell cycle alternation of rat and human pituitary tumor cells through SKP2. As further confirmation of these findings, miR-186 and $p27^{Kip1}$ expression were downregulated, while SKP2 expression was upregulated in human pituitary tumor tissue samples; thus, SKP2 expression negatively correlated with miR-186 and $p27^{Kip1}$ expression. In contrast, miR-186 expression positively associated with $p27^{Kip1}$ expression. Taken together, we discovered a novel mechanism by which miR-186/SKP2 axis modulates pituitary tumor cell proliferation through $p27^{Kip1}$-mediated cell cycle alternation.

심장 종양의 수술적인 치료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xperience of the Surgical Treatment of Cardiac Tumor)

  • 방정희;우종수;최필조;조광조;김시호;박권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4호
    • /
    • pp.375-380
    • /
    • 2010
  • 배경: 심장의 원발성 종양은 아주 드문 질환이다. 이중 대부분의 경우는 양성인 점액종이고 이는 조기의 수술적인 치료로 거의 완치되는 반면 육종과 같은 악성종양은 수술적 제거가 어렵고 예후도 안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는 심장 종양으로 수술적인 치료를 했던 환자를 모아서 분석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8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심장 종양으로 수술적인 치료를 하였던 2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 검토를 통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환자의 연령은 20세에서 76세 사이로 평균 $54.2{\pm}15.6$세였다. 남자가 11명(39%), 여자가 17명(61%)이었다. 15예(54%)에서 심부전의 증상 호전을 위해 응급 수술을 시행하였다. 술 전 주 증상은 호흡곤란이 15예(54%)로 제일 많았다. 전 환자에서 술 전 심장초음파로 진단이 되었다. 수술 시 종양의 크기는 장축이 2∼40 cm의 범위로 평균 $7.0{\pm}6.9$ cm였으며 종양의 부착부위는 18예(64%)에서 심방중격에, 9예(32%)에서 좌심방에, 2예(7%)에서 승모판막윤에, 2예(7%)에서 좌심실에 위치하고 있었다. 수술은 전 환자에서 양 심방절개를 통해 접근하였고 25예(89%)에서 완전절제가 가능하였다. 조직검사에서 육종이 4예(14%), 지방종이 1예(4%), 점액종이 23예(82%)였으며 완전절제를 못했던 3예는 모두 육종이었다. 술 후 사망은 없었다. 외래 추적은 24예(86%)에서 가능했으며 평균 추적 기간은 $46.8{\pm}42.7$개월이었다. 추적 환자 중 만기 사망은 조직검사에서 육종이었던 3명이 있었다. 육종으로 수술했던 환자로 재발 혹은 타 조직으로 전이하여 1예에서 2차례 재수술, 1예에서 전이 부위 절제술, 1예에서는 항암치료만을 했던 환자였다. 평균 재발 및 전이기간은 각각 $12.7{\pm}10.8$개월, $20.5{\pm}16.8$개월이었다. 결론: 심장 종양의 대부분인 점액종은 색전 등의 위험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수술함이 원칙이고 수술적 제거로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악성종양인 육종은 발견 시 이미 상당히 진행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주위 조직으로의 침윤이 심해 수술적인 제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심부전 증상 등의 증상완화를 위해서는 가능한 부위의 절제를 함으로써 환자의 향후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편으로 보인다.

폐과오종 29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Pulmonary Hamartoma ; 29 Cases)

  • 이상학;윤형규;송소향;이숙영;김석찬;안중현;최영미;김치홍;권순석;김영균;김관형;문화식;송정섭;박성학;이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6호
    • /
    • pp.644-649
    • /
    • 2002
  • 연구배경 : 폐과오종은 폐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중 가장 흔한 형태의 종양이다. 하지만 아직 국내에 폐과오종에 대한 논문은 그리 많이 발표되어 있지 않다. 방 법 : 저자들은 1990년에서 1999년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강남성모병원, 성바오로병원, 성빈센트병원에서 조직학적으로 폐과오종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위의 기간동안 폐과오종을 진단받은 환자는 29명이었다. 발생빈도는 50대가 11명 (37.5%)로 가장 많았다. 증상이 있었던 경우는 12명 (41.4%)로 흉부불쾌감이 가장 흔한 증상(31.0%) 이었으며 무증상이 경우는 17례 (58.6%)였다. 폐내과오종이 25예 (86.2%)로 기관지내 과오종의 4예(13.8%)에 비해 많았으며 좌측폐에 발생한 경우보다 우측폐에 발생한 경우가 많았다(1:2.2). 석회화소견은 단순 X-선상 19.2%에서, 흉부컴퓨터단층촬영상 29.4%에서 관찰되었다. 수술적절제로 진단받은 경우가 24예 (82.8%)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경피폐생검에 의해 진단된 경우는 4예(13.8%)였다. 26예 (89.7%)에서 수술적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3예에서는 추적관찰만을 시행하였다. 평균 19.6개월의 추적기간중 재발한 예는 없었다. 결 론 : 폐과오종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보다 많이 관찰되었으며 좌측보다는 우측에서 발생한 경우가 많았다. 석회화 소견은 흉부 X-선상 19.2%, 흉부컴퓨터단층촬영상 29.4%에서만이 관찰되었다, 추적관찰기간 동안 재발된 예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