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ch Scale Coal Gasifie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Bench Scale급 건식 석탄가스화기에서의 가스화 특성 (Gasification Characteristics in a Bench Scale Coal Gasifier)

  • 유영돈;임동렬;이한구;정석우;윤용승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1-97
    • /
    • 1996
  • Bench Scale급 가스화기를 이용하여 중국 대동탄에 대하여 O2/coal 비, 가스화기 운전 압력에 따른 가스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스화기를 가압하는 방법으로 메탄과 산소의 버너를 이용하여 운전 압력까지 단시간 내에 가압하는 방법을 정립하였다. 가스화기 압력은 상압으로부터 10기압까지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10기압, 반응온도 1350-140$0^{\circ}C$, O2/coal 비(as-fed 기준) 0.9의 운전조건에서 탄소전환률 90%이상, 냉가스효율 60%, 그리고 heating value 1800 Kcal/N㎥ 정도의 생성가스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Bench Scale급 기류층 석탄가스화기에서 회분의 용융 특성 (Characteristics of Coal Ash Melting in Bench Scale Entrained Coal Gasifier)

  • 정봉진;이중용;이계봉;윤용승
    • 에너지공학
    • /
    • 제8권1호
    • /
    • pp.127-136
    • /
    • 1999
  • Bench Scale급 기류층 석탄가스화기에서 배출된 슬form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Drayton 석탄과 Kideco 석탄으로부터 생성된 슬래그의 조성, 형상, 잔존탄소함량 및 중금속 성분들을 분석하였다. Drayton 석탄 슬래그의 형상은 표면이 매끄럽고 단단하며 다공성을 띄면서 crack이 거의 없고 결정구조가 비정형인 반면에, Kideco석탄 슬래그의 경우는 표면이 거칠고 crack이 상당히 많이 존재하며 주결정상은 pyroxene과 anorthnite 등으로 이루어져있다. 슬래그의 재활용시 판단 기준이 되는 잔존탄소함량은 두 대상탄 모두 1% 이하를 나타내어 재활용이 가능하며, 슬래그의 용출수 분석결과 석탄중에 함유된 중금속은 슬래그중에 용융되어 안정한 화합물로 존재하므로 중금속 유출로 인한 2차적인 환경오염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Bench Scale급 석탄가스화기 시스템내의 고체시료 특성 (Characteristics of Solid Materials sampled in the Bench Scale Coal Gasifier)

  • 정봉진;이나연;이찬;남원준;김경훈;윤용승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73.1-73.1
    • /
    • 2011
  • 석탄가스화 복합발전(IGCC) 시스템은 고온 고압으로 운전되는 가스화기에서 미분탄을 산소와 함께 가스화하여 주로 CO 및 $H_2$를 생성하고 이때 발생되는 먼지 및 황성분은 각각 집진기 및 탈황장치에서 제거되며, 석탄 회분은 고온에서 용융되어 슬래그의 형태로 배출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기본자료를 파악하기 위해서, 고온 고압의 운전조건에서 1일 3톤의 석탄을 처리할 수 있는 Bench Scale급 석탄가스화기를 이용하여 가스화에 사용된 원탄 및 가스화기 설비의 각 지점에서 샘플링한 고체 시료를 중심으로 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가스화 실험은 아역청탄 계열의 ABK 석탄을 대상으로 가스화기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1400{\sim}1450^{\circ}C$, $7.5{\sim}7.6Kg/cm^2$로 유지시키면서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석탄 시료의 기본적인 물성치를 조사하기 위하여 표준방법에 따라 석탄의 공업분석, 원소분석, 발열량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석탄가스화기에서 배출된 슬래그와 대상 석탄 회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XRF를 이용한 회분의 성분분석, Heating Microscope를 이용한 회분의 용융점 분석, XRD를 이용한 회분과 슬래그내의 화합물의 형태 및 결정구조 파악, SEM을 이용한 슬래그의 형상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석탄가스화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설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관련 설비의 특정 지점에서 채취한 시료의 입도분석, 원소분석, 촤 회분 무게비, 슬래그중의 잔존탄소함량, 슬래그와 슬래그로부터 제조된 용출수내의 중금속 함량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 PDF

Datong탄에 대한 Bench Scale Unit급 분류층 석탄가스화 연구 (Gasification Study of Datong Coal in a Bench Scale Unit of Entrained Flow Gasifier)

  • Ryu, Si-Ok;Kim, Jae-Ho;Lee, Hyo-Jin;Lee, Jae-Goo;Park, Tae-Jun;An, Dal-Hong;Park, Ho-Young
    • 에너지공학
    • /
    • 제6권1호
    • /
    • pp.96-103
    • /
    • 1997
  • 0.5~1.0톤/일 용량의 BSU급 분류층 가스화기에서 중국산 Datong탄에 대한 석탄가스화 특성실험을 하였다. 가스화기의 반응온도는 1300~155$0^{\circ}C$를 유지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슬러리농도는 62.5wt% ($H_2O$/Coal=0.6)였다. 산소 및 슬러리는 버너에 주입되기전 예일을 실시하였으며 $O_2$/Coal의 공급비는 0.8~l.2를 유지하였다. 또한 슬러리의 점도를 낮추고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제로서 CWM 1002와 NaOH를 각각 0.3%와 0.05% 추가하였다. 석탄가스화 실험에서 측정된 생성기체는 주로 수소,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량의 메탄도 생성되었다. 생성된 가스는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H$_2$와 CO의 생성량은 증가하는 반면 $CO_2$의 양은 감소하였다. 산소의 공급량이 증가함에 따라 $CO_2$의 생성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CO 및 H$_2$의 생성량은 $O_2$/Coal의 비가 약 0.9에서 최대치를 나타낸 후 감소하였으며, 생성가스 발열량은 1700~2400 kcal/N㎥을 나타내었다.

  • PDF

1 T/D급 습식 분류상 석탄가스화기에서의 석탄가스화 특성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al Gasification by 1 T/D BSU Coal-Slurry Entrained Gasifier)

  • 박태준;김재호;손성근;이재구;홍재창;김용구;최영찬
    • 에너지공학
    • /
    • 제8권4호
    • /
    • pp.553-559
    • /
    • 1999
  • 1 T/D 급 습식 분류상 석탄가스화 장치를 이용하여 외국의 각종탄에 대한 가스화 실험을 통해, 1) 석탄가스화를 위한 적절한 탄종을 선정하고 , 2) 탄종에 따른 가스화 반응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3) 가스화 반응기에서 예상되는 문제점을 사전에 제거하고, 4) 습식분류상 가스화기술에 대한 요소기술 및 운소기술 및 운전기술을 확보하므로서 향후 IGCC Plant 설계, 건설시에 시행착오를 줄이는데 크게 기여하고저 하였다. 가스화 실험을 위해 미국산 Cyprus 및 Alaska 탄이 사용되었으며 , 실험결과 Cyprus 및 Alaska 탄은 국내발전용 탄인역청탄 및 갈탄으로 비교적 반응성은 양호하였으며, slag 의 용융온도 또한 약 129$0^{\circ}C$로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석탄슬러리 농도는 Cyprus 탄의 경우 58, 62 , 65 %로 유지하였으며 가스화장치에 공급하는데는 점도 상승에 따른 큰 문제점이 없었으나, Alaska 탄의 경우엔 수분함량이 많아 슬러리 제조 및 feeding 상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58%로 운전하였으며 , 60%이상 슬러리 농도를 유지할수 없었다. O2 coal ratio는 0.6에서 1.2까지 유지하면서 운전하였으며 갈탄인 Alaska탄의 경우 수분함량이 많아 산소소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탄종에 대한 가스화실험을 통해, 생성된 합성가스(H2+ CO)는 40-62% 로나타났으며 , 생성가스의 열량은 1, 400-2,050kcal/N㎥(HHV)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