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lonolaimida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산 위축선충류의 분류학적 연구 (Systematic Study of Korean Stunt Nematodes)

  • 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23
    • /
    • 1993
  • 지금까지 한국산 Belonolaimidae과는 2아과 4속 23종이 발표되었다. 이중에 Tylenchorhynchus maritini는 T. annulatus로 정리되었고, Merlinius acuminatus, M. brevidens, M. joctus, M. lenorus, M. nothus, M. koreanus는 Geocenamus 속으로 변경되었으며, M. clavicaudatus, M. macrurus, M. socialis는 Amplimerlinius 속으로 변경되었다. Quinisulcius capitatus는 Tylenchorhynchus capitatus로 정리되었다. 각 속별 검소펴를 작성하였으며, 종을 동정하는데 용역하도록 사진을 첨부하였고, 채집지 및 기주식물을 기록했다.

  • PDF

韓國産 여섯줄 萎縮線蟲屬(Geocenamus )의 1新種 및 1 味記錄種 (A New and An Unkwon Species of Geocenamus (Nematoda: Belonolaimidae) from Korea)

  • Choi Young-Eoun;Kyung-Nyun Kim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5-21
    • /
    • 2001
  • 여섯줄 위축선충속에 1신종 Geocenamus seonunensisn. sp.과 1미기록종 Geocenamus processus (Siddiqi, 1979) Brzeski, 1991를 새로히 채집하였다; Geocenamus seonunensis n. sp.는 G. myungsugae Choi & Geraert, 1993와 비슷하나 구순부가 단추모양이 아니고, 구침 길이가 56~67$\mu$m 으로 훨씬 긴 점이 다르다. G. tumensis(Skwiercz, 1984)Brzeski, 1991와는 둥근 수정낭을 가지고, 구침이 훨씬 긴 것이 다르고, G. superbus(Allen, 1955) Fortuner & Luc, 1990와는 꼬리 끝이 주름 진 것이 다르고, G. brevicaudatus(Peng & Hunt, 1995) Brzeski, 1998와는 구침이 긴 것이 다르고, G. longes (Wu, 1969) Tarjan, 1973. 와는 표피의 종주선의 수가 적은 것이 다르다.

  • PDF

수단산 위축선충과(참선충목) 두 신종에 대한 보고 (Two New Species of Tylenchorhynchus Cobb, 1913 (Nematoda: Belonolaimidae) from Sudan)

  • ;문일성;이동운;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57-60
    • /
    • 2010
  • 수단의 사탕수수 재배지에서 발견된 네줄위축선충속(Tylenchorhynchus Cobb, 1913)의 두 신종 T. sudanensis (수단위축선충)와 T. elamini (엘라민위축선충)을 기술하고 도해한다. T. sudanensis 암컷성충의 체장은 0.692 mm이고 구침길이는 20 - 23 ${\mu}m$이다. T. elamini 암컷성충의 체장은 0.61 - 0.78 mm 이고 구침길이는 16 - 19 ${\mu}m$이다. 그리고 두 신종의 중요 측정치와 간단한 기술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