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havior rating scale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4초

구조화된 음악활동을 통한 학습장애 청소년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관한 연구 (On Improving the Attention of Young Boys and Girl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rough Well Organized Music Activities : A Case Study)

  • 임명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권1호
    • /
    • pp.47-71
    • /
    • 2004
  • 학습장애를 가진 청소년들은 일반인들에 비해 학습에 필요한 기본 기술의 하나인 주의집중력의 습득에 있어서 어려움을 보이며 이로 인하여 학업성취에 문제를 가져온다. 음악은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으며 정서적으로 민감한 청소년기의 학습장애인들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는 좋은 자극제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장애 청소년을 위한 개별 음악 활동을 실시하여 주의집중력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중학교 1학년 2명과 중학교 2학년 1명으로 3명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음악 활동은 연구자와 대상자가 일대 일로 실시하였으며 주 2회, 10주 동안 총 20회기로 진행되었으며 매 회기는 30분씩 이루어졌다. 한 회기에 실시된 활동은 다음 회기에 다시 반복되었으며 연구기간 동안 총 10개의 음악활동 계획안을 적용하였다. 음악 활동은 연구자가 학습장애 청소년을 위하여 만든 것으로 음악과 노래, 음악과 악기 연주, 음악 감상의 세 영역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주의집중력의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음악 활동을 실시하기 전 후 1주에 FAIR 주의집중력 검사와 Conners의 주의집중행동 평가 척도를 평정하였다. 또한 비디오 관찰을 통하여 연구자가 제시하는 과제 수행의 정확도가 회기별로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하였고 매 회기별로 10분씩 눈맞춤 횟수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첫째, 구조화된 음악활동이 학습장애를 가진 청소년들의 FAIR주의집중력 검사와 과제 수행의 정확도에 있어서 증가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에 참가한 3명의 학습장애 청소년들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Conners주의집중행동 평가척도를 이용한 사전 사후 검사결과와 눈맞춤 행동의 변화를 분석하였을 때, 본 연구에 참가한 3명의 학습장애 청소년들의 주의집중 행동의 증가를 보임으로써 이들의 주의집중행동의 향상시켰다.

  • PDF

소아청소년 집단에서 집단 따돌림의 유병률과 이와 관련된 정신병리 현상 (Prevalence of School Bullying and Related Psychopatholog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권순재;박태원;박선희;양종철;정영철;정상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3권3호
    • /
    • pp.143-153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prevalence rate of school bullying and its related psychopathology. Methods : A total of 3,550 elementary/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 self-report questionnaire on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in school bullying was used for collection of data regarding prevalence and the present state of school bullying. For evaluation of associated psychopathology, self report forms, including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TAIC),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Rating Scale (ARS),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Korean-Youth Self Report (K-YSR), and the Korean Eppendorf Schizophrenia Inventory (K-ESI) were applied. Samp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our subtype groups (control, victim, perpetrator, and victim-perpetrator) and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compared. Results : Overall, the prevalence rate for bullying perpetration was 64.4% and the prevalence rate for bullying victimization was 63.4%, indicating involvement of more than half of students in school bullying. Bully-victims reported high social immaturity and depressive and suicidal tendency, whereas bully-perpetrators reported less social immaturity and more externalizing problems. Among the subtype groups, the victim-perpetrator group showed the most prominent depressive/anxiety tendency and behavioral problems. Conclusions : Both victimization and perpetration of bullying are common problems for child and adolescent groups and several psycho-social problems were found to be re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guide direction of future study and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prevention of bullying.

Effect of Stem Cell Transplantation on Pain Behavior and Locomotor Function in Spinal Cord Contusion Model

  • Park, Hea-Woon;Kim, Su-Jeong;Cho, Yun-Woo;Hwang, Se-Jin;Lee, Won-Yub;Ahn, Sang-Ho;Jang, Sung-Ho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2권3호
    • /
    • pp.79-85
    • /
    • 2010
  • Purpose: Many trials for new therapeutic approaches such as stem cell-based transplantation have been conducted to improve the repair and regeneration of injured cord tissue and to restore functions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SCI) in animals and humans. Adipose tissue-derived stromal cells (ATSCs) have multi-lineage potential to differentiate into cells with neuron-like morphology. Most studies of stem cell transplantation therapy after SCI are focused on cellular regeneration and restoration of motor function, but not on unwanted effects after transplantation such as neuropathic pain. This study was focused on whether transplantation of ATSCs could facilitate or attenuate hindpaw pain responses to heat, cold and mechanical stimulation, as well as on improvement of locomotor function in a rat with SCI. Methods: A spinal cord injury rat model was produced using an NYU impactor by dropping a 10 g rod from a height of 25 mm on to the T9 segment. Human ATSCs (hATSCs; approximately $5{\times}10^5$ cells) or DMEM were injected into the perilesional area 9 days after the SCI. After transplantation, hindpaw withdrawal responses to heat, cold and mechanical allodynia were measured over 7 weeks. Motor recovery on the Basso, Beattie, and Bresnahan (BBB) locomotor rating scale and on the inclined plane test were also evaluated. Result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increased hindpaw withdrawal responses to cold allodynia was observed in both groups after transplantation, but the development of cold-induced allodynia in the hATSC transplant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locomotor functional improvement after SCI was also significant. Conclusion: Careful consideration not only of optimal functional benefits but also of unintended side effects such as neuropathic pain is necessary before stem cell transplantation therapy after SCI.

Development of Management Guidelines and Procedure for Anthropometric Suitability Assessment: Control Room Design Factors in Nuclear Power Plants

  • Lee, Kyung-Sun;Lee, Yong-Hee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9-43
    • /
    • 2015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anagement guidelines and a procedure for an anthropometric suitability assessment of the main control room (MCR) in nuclear power plants (NPPs). Background: The condition of the MCR should be suitable for the work crews in NPPs. The suitability of the MCR depends closely on the anthropometric dimensions and ergonomic factors of the users. In particular, the MCR workspace design in NPPs is important due to the close relationship with operating crews and their work failures. Many documents and criteria have recommended that anthropometry dimensions and their studies are one of the foremost processes of the MCR design in NPPs. If these factors are not properly considered, users can feel burdened about their work and the human errors that might occur. Method: The procedure for the anthropometric suitability assessment consists of 5 phases: 1) selection of the anthropometric suitability evaluation dimensions, 2) establishment of a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dimensions, 3) establishment of criteria for suitability evaluation dimensions, 4) establishment of rating scale and improvement method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dimensions, and 5) assessment of the final grade for evaluation dimensions. The management guidelines for an anthropometric suitability assessment were completed using 10 factors: 1) director, 2) subject, 3) evaluation period, 4) measurement method and criteria, 5) selection of equipment, 6) measurement and evaluation, 7) suitability evaluation, 8) data sharing, 9) data storage, and 10) management according to the suitability grade. Results: We propose a set of 17 anthropometric dimensions for the size, cognition/perception action/behavior,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human errors regarding the MCR design variables through a case study. The 17 selected dimensions are height, sitting height, eye height from floor, eye height above seat, arm length, functional reach, extended functional reach, radius reach, visual field, peripheral perception, hyperopia/myopia/astigmatism, color blindness, auditory acuity, finger dexterity, hand function, body angle, and manual muscle test. We proposed criteria on these 17 anthropometric dimensions for a suitability evaluation and suggested an improv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dimension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improve the human performance of the crew in an MCR. These management guidelines and a procedure for an anthropometric suitability assessment will be able to prevent human errors due to inadequate anthropometric dimensions. Application: The proposed set of anthropometric dimensions can be integrated into a managerial index for the anthropometric suitability of the operating crews for more careful countermeasures to human errors in NPPs.

정맥주사 시 입원환아가 경험하는 동통에 대한 환아, 어머니, 간호사의 지각 (The Pain Perception of Children, Mothers & Nurses Experienced by Hospitalized Children at the Time of Intravenous Injection)

  • 김신정;김성희;유연엽;허용주;명지연;고은정;김광희;박선영;방문숙;염순림;박미라;정희숙;이세라;박소연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16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hospitalized children under the condition of painful procedure.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5th to Oct 30, 2003 from 68 hospitalized children suffer from acute disease, 68 mothers take care of children, 14 pediatric ward nurses. To evaluate the degree of pain perception of children, mothers & nurses, face pain rating scale and behavior characteristic were used. Result: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pain perception score of children, mothers & nurses. child perceived highest as the score of 3.60 2) The most frequent behavioral characteristic children were 'crying(47.1%)' mothers were 'soothing the child(54.4%)' and nurses were 'support not to move(52.9%)' 3) The degree of pain perception of children, mothers and nurses according to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ainful procedure, there were stastical difference according to children's age, mothers age and duration of painful procedure 4)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ain perception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mothers & nurses. Conclusion: Nurses should not underestimate children's pain and need to provide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the child and their parents regarding painful procedure.

  • PDF

Patients' perception about opioids and addiction in South Korea

  • Kim, Cho Long;Hong, Sung Jun;Lim, Yun Hee;Jeong, Jae Hun;Moon, Ho Sik;Choi, Hey Ran;Park, Sun Kyung;Kim, Jung Eun;You, Hakjong;Kim, Jae Hun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3권3호
    • /
    • pp.234-244
    • /
    • 2020
  • Background: Chronic pain affects approximately 22% of the world's population. Opioids can be useful in chronic pain management. However, some patients have negative perception of opioid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patients' perception about opioids and investigate problems associated with prescribing and taking opioids in South Korea. Methods: Patients who visited a pain clinic in 14 university hospitals of South Korea from September through October 2018 were asked to complete anonymous questionnaires about taking opioids. Results: Of the 368 patients that were surveyed (female 53.3%, male 46.7%), 56.8% were prescribed opioids. In the opioid group, 92.8% patients had heard of opioids from their doctor and 72.6% of them had a positive perception about opioids. The side effects associated with opioid use were constipation (35.4%), dizziness (24.6%), nausea and vomiting (17.4%), dysuria (6.2%), and addiction (2.0%). In the no opioid group, the primary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opioids were doctors (49.2%), mass media (30.8%), and the internet (16.2%). The main reasons why 39.0% patients did not take opioids were fear of addiction (57.7%) and side effects (38.5%). There were 71.5% and 60.9% patients in the opioid and no opioid group, respectively, who wished to take opioids when their numeric rating scale pain score was ≥ 7. Conclusions: Perception of opioids among patients who take them was either neutral or positive. However, 39.0% patients who have not been prescribed opioids did not want an opioid prescription, citing fear of addiction and side effects as the primary reasons.

뇌전증 소아청소년 환아의 부모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Parental Str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Epilepsy)

  • 정벼리;김가은;이향운;김의정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63-71
    • /
    • 2020
  • 본 연구는 뇌전증 소아청소년 환아의 부모 스트레스에 대한 임상 및 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뇌전증이 있는 소아청소년(n=90, age range 6~17 years)을 대상으로 뇌전증 관련 임상 변수를 조사하였고, 환아에게 우울 및 불안 증상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지능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의 스트레스, 부모 불안 및 환아의 주의력 문제, 행동 문제에 대한 설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뇌전증 환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변수들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경향성 분석,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분석으로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고, 부모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변수를 찾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상관 분석에서 발작의 치료 기간(r=0.253, p=0.016), 환아의 지능(r=-0.544, p<0.001), 주의력 문제(r=0.602, p<0.001), 우울 증상(r=0.335, p=0.002), 불안 증상(r=0.306, p=0.004), 행동 문제(r=0.618, p<0.001) 및 부모의 불안(r=0.478, p<0.001)은 부모의 스트레스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부모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환아의 행동 문제(β=0.241, p=0.010) 및 지능(β=-0.472, p<0.001) 그리고 부모의 불안(β=0.426, p<0.001)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스트레스에 대해 61.9%의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결 론 뇌전증을 가진 소아청소년 환아에서 부모의 스트레스는 환아의 행동문제와 인지기능 그리고 부모의 불안과 연관성이 높으며 따라서 임상의는 이에 주의를 기울이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뇌전증 환아 부모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뇌전증 환아의 지능과 행동문제를 조기에 평가하고 부모의 불안감에 대해서도 면밀하게 관찰하여 향후 뇌전증 치료에 반영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섭식장애의 발병과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 (Parental Behavior Influence on the Onset and Severity of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ervosa)

  • 이정은;이정현;정영철;박준영;남궁기;박동화;김경란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1호
    • /
    • pp.3-11
    • /
    • 2015
  • 연구목적 한국에서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신경성 폭식증을 진단받은 환자 군에서 부모 양육태도의 차이와 각 아형에서 부모 양육태도의 차이가 발병 나이와 섭식장애 증상의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67명의 섭식장애 환자(신경성 식욕부진증, N=49 ; 신경성 폭식증, N=118)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가보고식 설문지인 부모 양육행동 척도(Parental Behavior Inventory, PBI)를 시행하여 환자가 인식하는 부모님의 양육행동을 측정하였으며, 섭식장애 검사 개정판(The Eating disorder Inventory-2, EDI-2)를 통하여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를 발병 나이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16세 이후에 발병한 군보다 16세 이전에 조기 발병한 경우 낮은 아버지의 애정, 높은 아버지의 합리적 설명, 낮은 어머니의 과잉간섭을 보고하였다. 섭식장애 증상의 심각도(EDI-2)는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신경성 폭식증에서 어머니의 애정, 합리적 설명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단계별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아버지의 애정, 어머니의 과잉기대와 합리적 설명이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발병 나이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두 집단에서 모두 어머니의 애정이 높을 수록 EDI-2의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섭식장애 환자의 평가 및 치료에서 가족의 기능과 인식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겠다. 본 연구 결과는 아버지의 양육방식이 섭식장애 발병나이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이제까지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평가되었던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뿐 아니라, 섭식장애 증상의 심각도와 어머니의 애정과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가족 기능에 대한 평가가 치료에 필수적임을 입증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 및 적용을 위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겠다.

공황장애환자에서 감정표현불능증에 대한 연구 (A Study for Alexithymia in the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 최영희;장혁진;김민숙
    • 정신신체의학
    • /
    • 제14권1호
    • /
    • pp.53-61
    • /
    • 2006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표준화된 한국판 20항목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K)을 이용하여 공황장애에서 나타나는 감정표현불능증의 특성 및 감정표현불능증에 영향을 주는 불안과 우울 수준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아 이들 환자군에서의 감정표현불능증이 정상군에서와 어떤 다른 특성을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서울 소재 일 대학병원 신경정신과 공황장애 클리닉에 방문하여 두 명의 정신과 전문의가 DSM-IV 진단기준을 사용하여 진단한 공황장애 환자 167명, 일 대학 병원 직원 및 직장인, 대학원생 등을 포함하는 110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상 대조군과 공황장애 환자군 간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감정표현불능증과 그 하위 척도, 상태 및 특성 불안, 불안 민감도, 우울 척도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정상대조군 및 공황장애 환자군에서 감정표현불능증과 나머지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감정표현 불능증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수를 찾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공황장애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과 비교해서 감정표현불능증, 상태 및 특성 불안, 불안 민감도, 우울, 감정표현불능증의 총점(p<0.001) 및 하위척도의 요인 1(p<0.001)과 요인 2(p=0.001)는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요인 3은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공황장애 환자군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을 설명하는 변수는 특성불안$({\Delta}R^2=0.255)$과 불안 민감도$({\Delta}R^2=0.062)$였고 정상 대조군에서는 우울$({\Delta}R^2=0.144)$과 불안 민감도$({\Delta}R^2=0.033)$였다. 결론: 공황장애가 있는 경우 신체감각이 위험한 결과를 일으킨다고 믿는 정도를 측정하는 불안 민감도가 높으며 이러한 불안 민감도는 특성 불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점을 고려할 때 불안 민감도와 특성 불안이 공황장애 환자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을 설명하는 적합한 변수가 됨을 알 수가 있었다. 반면, 정상 대조군의 감정표현불능증은 불안 민감도보다는 우울이 좀 더 많은 설명 변량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차이를 보이는데 본 연구와 기존 연구간의 대상군의 균질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좀 더 구체적인 연구로 반복 확인이 필요하겠다.

  • PDF

Chloral hydrate 경구 진정에 실패한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한 두 가지 진정요법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TWO SEDATIVE REGIMEN USED FOR CHILD PATIENT WHO FAILED TO ORAL CHLORAL HYDRATE)

  • 이상민;김종수;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05-516
    • /
    • 2000
  • Chloral hydrate단독 경구투여는 소아치과 환자의 진정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중의 하나지만 실패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게 보게된다. Chloral hydrate의 처음 투여용량이 실패할 경우 추가 용량을 투여하기보다는 다른 약물의 투여가 바람직하며, 이는 안전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효과적인 진정에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chloral hydrate의 수면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소아환자에게 치료를 연기하지 않고 즉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재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아산화질소-산소와 enflurane 혼합가스를 이용한 초기 수면유도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었다. 의식하 진정을 이용한 치과치료가 예정된 건강한 환자에게 kg당 70mg의 chloral hydrate를 경구투여하고 조용한 방에서 60분이 경과한 다음, 환자가 수면상태에 이른 경우를 진정효과의 성공으로 평가하고 계획된 치료를 수행하였다(I군). 수면에 이르지 않아 실패로 평가된 환자는 50%의 아산화질소와 2vol%의 enflurane이 혼합된 가스를 약 $1\sim2$분간 투여하여 초기 수면유도를 시행한 후 예정된 치료를 수행하였고(III군), 다음 내원에는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2mg/kg)을 병용투여 하였다(III군). 대조군과 실험군 각각 35명씩 총 70명 (남자 44명, 여자 : 26명)의 환자가 실험대상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들의 평균 연령은 $35.9{\pm}8.9$개월 체중은 $14.4{\pm}2.2kg$이었다. 치료과정을 10단계로 나누어 환자의 생징후(말초 동맥혈 산소 포화도, 심박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를 측정하였으며, 행동양상은 video촬영하여 역시 10단계로 나누어 1명의 평가자가 OSU behavior rating scale과 Automated Counting System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생징후의 경우 각 군 모두 정상범위 내에서 안정된 양상을 보였으나, 개구기 삽입이나 국소마취 단계에서 발생하는 자극에 대한 말초 동맥혈 산소포화도와 심박수의 반응정도가 I군에 비해 II군에서 낮게 나타났다(p<0.05). 임상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양상(Q : Quiet)의 비율이 III군에 비해 II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II군과 I군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본 실험에서 시도한 두 가지 진정요법이 비교적 높은 임상적 치료 성공률(II군 : 97.14%, III군 : 88.57%)을 보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