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havior Pattern Survey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록색소비심리구성(韩国绿色消费心理构成):일개로경분석모형(一个路径分析模型) (Psychological Make-up of Korean Green Consumerism: A Path Model Analysis)

  • Kim, Joo-Ho;Kim, Yeon-Shin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249-261
    • /
    • 2010
  • 随着消费者对环境的关注不断增加, 许多公司都积极从事环境营销来实现其目标. 不过, 有关环境的消费者的高度关注并不总是反映在他们的购买行为. 这表明需要有一个绿色消费的范围内个人的信仰体系的发展有深入的了解. 考虑到心理学的方法, 大量的研究机构已测试的基本因素和生态意识的消费者行为, 这些因素的相互关系. 然而, 以往的研究大多数集中于西方国家. 本研究使用韩国消费者为研究样本, 试图了解韩国绿色消费的基础, 发现跨文化在指导消费者的环保态度和行为的重要的普遍价值. 为此, 我们联系了Schwartz在1992年提出的10个普遍价值和价值-态度-行为层次模式的环境行为. 参照价值-态度-行为的框架, 我们提出的概念模型可以解释韩国消费者的环保态度中表现出了什么动机, 以及后来此态度如何影响他们的绿色选择. 其中, 可利用相关的环保价值的关系模式, 我们首先假设激励价值类型和环境态度之间存在特定的关系. 在假设2中, 环境态度被假定用来预测环境行为. 这个假设的基础是对环境有利的态度可能会产生许多不同的行为, 我们认为消费者对环境的有利的态度和各种环保行为是相关的. 因为有环保态度的人们会对环保行动方面的知识更感兴趣. 与假设2一致, 我们推测在不同的环保行为之间存在正相关关系. 564名大学生参加了这项研究. 样本包括308名男性, 254名女性, 2名参与者没有注明性别. 参加者的平均年龄为22.5(标准差=2.11)岁, 年龄范围从19岁到39岁. 至于专业, 我们作出了特别努力使得参与者来自于大学的不同学科. 所收集的数据是通过自我完成问卷调查. 问卷评估参与者的价值优先, 环境态度和行为. 我们进行了路径分来测试所提出的模型. 观测的模型的整体适配度为x2=72.01(p=0.00), GFI的=0.983, CFI=0.982, NFI=0.970, RMR=0.070, 和REMSEA=0.050. 大部分适配值表明了数据与模型拟合良好. 因此, 环境态度价值, 环境的非购买行为和环境的购买行为的层级关系得到了确认. 所有的预测路径被路径系数评估, 几个主要影响假设被确认. 在10个价值类型之外, 普遍性和力量是显著的但是与环境态度的关系是相反的. 与其他研究一致, 我们的结果证实了环境态度是引导各种关注环境的行为的一个重要因素. 最后我们发现环境非采购和购买行为之间有显著关系. 路径分析支持普遍性价值为韩国消费者的绿色意识提供了动机而且他们通过对环境的有利态度间接的支持了环保行为. 我们发现拥有高环境态度的参与者积极的投入到各种关注环境的消费者行为中. 在本研究中, 考虑到价值导致环保主义和进一步证实先前的结果我们提供了测试跨文化差异的机会. 此外, 我们已测试了关于三个不同类型的环境行为的态度与行为的关系. 环境的态度和行为之间的路径的不同优势, 研究人员建议, 应考虑行为的特异性, 努力改善低的态度-行为的相关性. 最后, 本文阐明了随着对环境不断增长的关注, 人们生活中的绿色行为也不断的增加.

어린이가 선호하는 치과 의료진의 복장에 대한 연구 (STUDY ON CHILDREN'S PREFERENCE TOWARD ATTIRE OF DENTIST AND DENTAL HYGIENIST)

  • 남정란;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75-188
    • /
    • 2009
  • 어린이 치과 진료 시 진료에 도움을 얻고자 연구한 설문지조사 시 진료진들의 복장에 대한 선호도에 응한 650명의 어린이에 치과 진료진들에 대한 선호도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 여 치과의사의 복장으로 정장가운과 일상복 중 전반적으로 정장가운을 대상자의 특정별로 남자 67.7$\sim$87.6% 여자 59.2$\sim$75.9% 선호하였다. 2. 남자 치과의사의 정장가운 중 전형적인 흰색 긴가운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일반 긴가운, 짧은 자켓이나, 짧은 수술복 순으로 선호하였다. 3. 여자 치과의사의 가운 중 전형적인 흰색 긴가운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일반 긴가운, 짧은 자켓가운, 짧은 수술복 순으로 선호하였다. 4. 치과위생사의 가운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투피스 바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나, 원피스, 투피스 치마, 만화 캐릭터, 에이프런 가운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5. 가운의 색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흰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6. 가운의 무늬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전형적인 형태의 민무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 PDF

와인 이용 행태에 따른 와인 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 - 와인 소매점 이용고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Wine Selection Attributes by Wine Use Behavior - Focused on Wine Retail Shop Customers -)

  • 전현모;박미영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1-135
    • /
    • 2009
  • 최근 몇 년 전부터 불기 시작한 웰빙(well-being) 트렌드와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 증폭으로 인하여 소비자의 주류 패턴에도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특히 적당한 와인이 동맥경화, 심장병, 노화 방지 등 각종 성인병의 예방에 좋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와인의 소비를 가속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와인 구매 및 음용 시 고려하는 선택 속성 중요도를 파악하여 고객 만족과 와인 대중화, 저변화에 기여함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 연구와 실증 연구를 병행한 본 연구는 와인 소매점에서 구매 경험이 있는 서울지역의 내국인 거주자 및 주간 상주 인구를 대상으로 2008년 12월 1일부터 31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은 SPSS 12.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 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이용 행태에 따른 와인 소비자의 선택 속성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용 횟수, 음용 장소, 정보 원천을 제외한 생산지, 구매처, 구매 비용, 와인 음용 동반자에 따라 와인 구매 및 음용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브랜드 특성, 건강상의 역할 등의 와인 선택 속성 요인은 고객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도시철도역사 유형과 통행패턴과의 상관관계 분석 (An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ypes of Urban Railway Stations and Users' Travel Patterns)

  • 김황배;오동규;이상화;진상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553-1558
    • /
    • 2014
  • 도시철도역은 역사의 위치 및 기능에 따라 해당역의 이용객 수, 첨두집중률, 승강장 형태 등이 상이하고 이용행태도 서로 달라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역사 유형 구분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도시철도역사 유형은 각 연구의 목적에 따라 분류하고 있으며, 법적 기준 또한 단순히 보통역, 간이역으로 구분하고 있고, 열차유형, 승강장 형태, 설치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의 역사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하고, 그 기준에 따라 수도권의 모든 도시철도역사에 대한 전수조사를 수행하며,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향후 다양한 정책 수립 및 연구개발에 활용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역사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역사의 물리적 지리적 특성과 이용자의 통행 패턴간에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혀내었고, 상대적인 통계값을 이용하여 정책수립 및 연구 개발에 반영한다면 향후에 그 활용성이 더욱 클 것으로 기대된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수면 및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leep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 김금순;유경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8-210
    • /
    • 1999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leep patterns of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through a survey research.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97 patients registered in Hanyang University Hospital Rheumatoid Arthritis Center, and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July 15, 1998 to August 30, 1998.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easures of sleep, pain, and fatigue, and SPSSWIN 8.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 The patients went to bed between 11 and 12 p.m., but many of them found difficulty in falling asleep within 5 minutes. They woke up quite early at around 4 to 6 o'clock in the morning and remained in bed about 1 hour. Only 39 percent of the subjects reported satisfaction with their sleep. Fifty six percent of the subjects took a nap, generally did in the afternoon and 22.7 percent of them napped for half an hour. They suffered sleep disturbance, but their sleep environments were calm and comfortable, and they turn off the light when they went to sleep. As for the quality of sleep, over 50 percent of the subjects reported not being able to sleep deeply, 30 percent of the subjects woke up frequently during sleep, 60 percent experienced frequent arousal after sleep onset. Over 90 subjects slept for 6 to 8 hours. This shows that even though they had rheumatoid arthritis, the patients remained in bed fo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They also reported waking up or turning frequently during sleep. The sense of fatigue from sleep disturbance scored a relatively high 35.84 points on average against the possible score of 64 points. Behavior for sleep promotion was very active. Sleep disturbance occurred in proportion to the sense of fatigue and pain,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sleep. The pain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illness duration, sleep disturbance and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quality of sleep.

  • PDF

외식기업 온라인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기능별 지각 수준이 전환 행동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sumers Functional Recognition on Their Switching Behaviors, using Food Providers' Web Sites)

  • 최은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1-4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기능별 지각 수준이 다른 웹사이트로 전환하는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분석 방법은 외식기업 웹사이트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응답자들의 일반적인 특성 파악을 위해 빈도분석과 외식기업 웹사이트의 기능별 지각 수준이 전환 행동과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단순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식기업 웹사이트 기능별 지각 수준이 전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오락 기능, 광고 기능, 커뮤니케이션 기능, 구매 결정 기능 모두 전환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 수준이 높을수록 전환 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음의 요소들이 전환 행동에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오락 기능의 지각 수준 중 검색이 이해하기 용이했다. 광고 기능의 지각 수준 중에서는 레스토랑 이미지가 쉽게 각인된다. 커뮤니케이션 기능의 지각 수준에 있어서는 신 메뉴 출시를 쉽게 알 수 있다. 구매 결정기능의 지각 수준 중에서는 웹사이트 이용은 자유롭다에서 전환 행동에 높은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 PDF

화물자동차의 통행행태 분석(통행사슬 분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ruck Trip Chaining)

  • 성홍모;김찬성;신승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7-16
    • /
    • 2008
  • 본 연구는 그동안 여객보다 상대적으로 소홀히 되어온 화물통행의 행태분석을 통행사슬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화물자동차 통행분석에 대한 운행특성 지표들은 공간 및 통행패턴별로 설명되지 못하였음을 지적하고, 2005년 수행된 제3차 전국물류현황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전체 분석대상 화물자동차는 약 13,000대 이었으며 화물자동차의 통행일지 자료를 도면위에 맵핑을 통하여 통행사슬을 새롭게 분류하였다. 또한 약 13,000대의 화물자동차에 대한 물리적 특성지표 및 운행효율성지표를 산정하고 앞서 정의한 통행사슬과 연관지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업용 화물자동차가 자가용 화물자동차보다 다소 우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리적 지표에서 공간적으로 볼 때, 도시내와 광역권은 비슷하고 지역간은 통행거리와 통행시간이 길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운행효율성 지표는 지역간, 지역내 및 광역 권에서 자가용 화물자동차보다 영업용 화물자동차의 효율성이 약간 높은 것인 것으로 분석되었나 단순 왕복 및 복잡정도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영업용 화물자동차의 경우, 적재능력이 높을수록 효율성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성별에 따른 지지적.통제적 양육행동: 5개국 비교 연구 (The Gendered Pattern of Parental Support and Control over Adolescent Children: A Comparative Analysis)

  • 이선이;이여봉;김현주
    • 한국인구학
    • /
    • 제31권2호
    • /
    • pp.45-7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일본, 미국, 독일, 스웨덴 등 5개국 청소년 자녀에 대한 부모의 지지와 통제가 부모 및 자녀의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청소년 자녀에게 더 지지적이고 덜 통제적이며, 아들보다 딸에게 더 지지적이고 덜 통제적이어서, 모녀관계에서 지지적 특성이 가장 강하고 부자관계에서 통제적인 특성이 가장 강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로부터 시작한다. 이 연구를 위해서 한국청소년개발원이 2006년에 실시한 5개국 설문조사자료를 사용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한국사례에 대해서는 모든 가설이 지지되었으며, 다른 국가의 경우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5개국 모두에서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더 지지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부모가 아들보다 딸에 대해서 더 지지적인 것으로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자녀 성별의 효과는 부모 성별의 효과만큼 뚜렷하지는 않았다. 통제적 행동의 경우는 한국과 미국에서만 성별 효과가 나타났다.

고스트들의 협력전술에 의한 팩맨게임 난이도 제고 (Making Levels More Challenging with a Cooperative Strategy of Ghosts in Pac-Man)

  • 최태영;나현숙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89-98
    • /
    • 2015
  • NPC, 특히 적 캐릭터들의 인공지능은 게임의 설계 단계에 있어 난이도를 조절하기 위해 핵심적인 요소이다. 지능적인 적들은 게임을 보다 도전적으로 만들 뿐 아니라, 동일한 게임 환경에서도 유저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게임 유저들은 다수의 적들과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적 캐릭터들의 협업을 제어하는 것은 이전 어느 때보다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팩맨 게임의 적 인공지능에 구현될 수 있는 A* 알고리즘 기반의 협력전술을 제안한다. 17명의 피실험자로부터 얻은 설문 결과는 제안된 협력전술을 따르는 적으로 구성된 레벨이, 기존 팩맨게임에서의 적들 또는 비협력적인 적들로 구성된 레벨들보다 더 어렵고 흥미로웠음을 보여준다.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er Pattern and Addiction

  • Lee, Myung-Suk;Lim, Young-Ky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01-10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terns of unconsciousness smartphone use by using an app and a self-administered survey on smartphone addiction comparatively and examine differences between recognition and behavior about actual smartphone use and examine how smartphone addiction influences learning. With an app installed in smartphones, this author collected and analyzed data about users' unconsciousness using patterns for a month.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users' recognition and actual time for use and also frequency of turning on the display. Also, 22% of the subjects used their smartphone over 8 hours a day, and 76% more than 5 hours. Over 95% turned on the display more than 100 times a day, and in extreme cases, they did more than 300 times. In the meantime, users not only in the smartphone addiction high risk group and the potential risk group but also in the general user group are found to use their smartphone too long and too much and frequently turn on the display. The apps that the general user group is mainly using are entertaining apps, and their school records are rather good, so excessive use does not always lead to addiction or learning disorder. Therefore, if we develop more diverse contents for learning and provide digital literacy education, smartphone use will bring more positive effects instead. In follow-up research, the app should be corrected to collect more accurate information, and as variables in personal areas, this researcher will also measure depression, anxiety, stress, self-esteem, and emotional control, and so on to see how they are associated with smartphone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