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er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29초

맥주브랜드의 시각요소 비교연구 - 중국과 글로벌 맥주패키지의 라벨디자인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sual Elements of Beer Brand - Focusing on the Label Design of China and Global Beer Packages -)

  • 김희현;맹아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324-333
    • /
    • 2020
  • 본 연구는 현재 중국시장에 진출한 글로벌 맥주브랜드 판매량 상위 5개와 중국 맥주브랜드 상위 5개 브랜드의 시각요소를 비교한다. 연구목적은 맥주 패키지의 라벨디자인에서 시각요소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라벨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맥주 라벨디자인의 시각요소 중 브랜드로고, 칼라, 일러스트, 레이아웃을 중심으로 중국 맥주 및 글로벌 맥주 브랜드의 라벨디자인을 다속성 비교분석 방법을 통해 조사하며 리커드 5점 척도를 활용하여 중국과 글로벌 맥주 라벨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요소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연구결과 중국 맥주브랜드는 글로벌 맥주브랜드에 비해 사용된 시각요소가 복잡하고, 대부분의 레이아웃이 비슷해서 제품의 차별성이 약했다. 반면, 글로벌 맥주브랜드는 상징적인 시각요소와 레이아웃의 다양성을 기반으로 브랜드 정체성과 차별성을 확보하였다. 중국 맥주브랜드는 소비자의 마음에 강력한 브랜드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개성 있는 브랜드디자인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차별화된 라벨디자인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치열한 경쟁 환경 속에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중국 맥주의 라벨디자인을 만들고 중국맥주 시장의 매출과 디자인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Rapid detection of beer-spoilage lactic acid bacteria: Modified hop-gradient agar with ethanol method

  • Hong, Lim Seok;Kim, Ji Hyeon;Kim, Wang June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96-303
    • /
    • 2020
  • Hop-resistant lactic acid bacteria (LAB) are well-known, major beer-spoilage bacteria. The hop-gradient agar containing ethanol (c-HGA+E) method has been used to examine hop-resistance of beer-spoilage LAB. However, the selection of beer-spoilage bacteria by the c-HGA+E method is either too selective or too inclusive. Furthermore, it is accompanied by a complicated experimental procedure, high-cost and time.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the modified hop-gradient agar with ethanol (m-HGA+E) method was developed. The most remarkable modifications were the shape of the petri dish and the inoculation method for bacteria. The efficiency and validation of the m-HGA+E approach were proven by the formation of colonies at different hop concentrations in the bottom layer, co-culture with the bacteriocin producer and by PCR detection of hop-resistant gene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m-HGA+E is a rapid, economical, and easy method to monitor potential hop-resistant beer-spoilage LAB during the beer brewing process.

한국 및 일본산 맥주의 당에 관한 연구 - 2. 효소적 분석 - (Sugars in Korean and Japanese Beer - 2. Enzymatic Analysis -)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0-158
    • /
    • 1998
  • 한국산 맥주 3종류, 일본산 맥주 21종류의 한계 덱스트린을 에탄올 침전법으로 분리하였다. 한계 덱스트린의 양은 평균 1.1%로 전체 당 3.15%의 34.5%를 나타냈다. FPLC 분석 결과 한계 덱스트린은 평균 글루코오스 잔기 25개 정도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1H-NMR 분석으로 한계 덱스트린의 $\alpha$-1, 4-결합에 대한 $\alpha$-1, 6-결합의 비율은 평균 1:0.183을 나타냈다. 한계 덱스트린을 $\alpha$-아밀라아제와 $\alpha$-글로코시다아제로 5시간 가수분해 하여 소화성을 평가한 결과 평균 57.22% 가수분해 되었다. 그 중 한국산 맥주의 한계 덱스트린이 가장 높은 소화성 70.38%를 나타냈다. 아밀라아제로 소화된 부분과 에탄올 침전법으로 상징액으로 제거된 작은 당을 합하면 평균 86%가 소화성 당으로, 14%가 비피두스균 증식 인자로 평가된다.

  • PDF

발효 온도에 따른 맥주의 퓨린 함량 분석 (Analysis of purine content in beer according to fermentation temperature)

  • 곽희재;김수경;이병섭;리시후이;이준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79-383
    • /
    • 2018
  • 맥주는 가장 대중적인 알코올 발효주이지만 퓨린(purine) 함량이 높아 고요산혈증 및 통풍 발생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맥주 발효 온도를 달리함으로써 맥주의 퓨린 함량을 낮출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맥주 제조의 주된 발효법인 상면 발효와 하면 발효에서 주로 사용되는 $20^{\circ}C$$10^{\circ}C$ 온도에서 맥주를 발효한 후, 각각에서 대표적 퓨린 화합물인 adenine, guanine 그리고 xanthine들의 함량을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10^{\circ}C$ 발효 맥주가 $20^{\circ}C$ 발효 맥주에 비해 총 퓨린 함량이 낮았으며, 특히 adenine의 함량이 의미있게 낮아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맥주오염미생물의 동정과 specific PCR primer의한 신속한 검출 방법 (Characterization of beer-spoilage microorganism and its rapid detection by specific PCR primer)

  • 이택인;최신건
    • 산업기술연구
    • /
    • 제28권A호
    • /
    • pp.141-147
    • /
    • 2008
  • Several contaminated bacteria such as Lactobacillus brevis and Pediococcus damnosus in beer production cause beer spoilage by producing off flavours and turbidity. Detection of these organisms is complicated by the strict anaerobic conditions and lengthy incubation times required for their cultivation,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for more rapid detection methods. Recently, two contaminated strains were isolated from vessel of beer production and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pecies by API kit identificaton as well as 16S-23S ITS sequencing analyses. Two isolated strains were named as Lactobacillus sp. HLA1 and Lactobacillus HLB2, respectively.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rapid and specific detection of Lactobacillus sp.. Two sets of primer pairs (HLA1-F/HLA1-R and HLB2-F/HLB2-R) were designed for the amplification of a 1576 base pair (bp) fragment of the HLA1 16S-23S rRNA gene and 1888 bp fragement of the HLB2 16S-23S rRNA. Amplified PCR products were highly specific to detect corresponding bacteria when other contaminated strains were used as PCR templates. However, detection of both strains were limited when $100{\mu}{\ell}$ of cultured samples were mixed with $100m{\ell}$ of beer sample in arbitrary manner. The sensitivity of the assay still needs to be improved for direct detection of the small amounts of bacteria present in beer.

  • PDF

정량적 전자토모그래피를 위한 Beer's law의 실험적 검증 (Experimental Examination of the Beer's law for Quantitative Electron Tomography)

  • 김진규;송경;이수정;주형태;김윤중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2호
    • /
    • pp.117-12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의생물 시료에 대해 정량적 전자토모그래피의 기본 전제 조건인 Beer's law를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시료는 의생물 시료와 비슷한 흡수계수를 갖는 카본 지지막과 latex sphere의 시료를 선택하였으며, 연속적으로 기울어진 TEM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우선, 전자토모그래피를 수행하여 카본 지지막과 latex sphere의 기본 상태를 파악하였다. Beer's law의 검증을 위해 각각의 물질에 대해 경사각 기울기에 따라 입사빔의 강도와 투과빔의 강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RMS값 0.976의 범위에서 선형적인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Beer's law를 이용하여 카본 지지막과 latex sphere에 대한 각각의 상대적인 흡수계수를 구했으며, 그 값은 대략 1.71(5)/${\mu}m$과 2.67(6)/${\mu}m$으로 경사각 기울기에 대하여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밀한 실험조건에서 입사빔의 정보를 유추할 수 있다면 의생물 시료에 대해 엄밀한 Beer's law가 성립하는 정량적인 전자토모그래피가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쌀 첨가비율에 따른 맥주의 품질 특성 평가 (Evalu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r by addition of rice rate)

  • 이석기;박지영;박혜영;최혜선;조동화;오세관;김현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58-763
    • /
    • 2017
  • 본 연구는 쌀맥주에 적합한 쌀 첨가비율을 선정하기 위해 연질미인 한가루 품종을 이용하여 첨가비율에 따라 맥주를 제조하고 품질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쌀 첨가비율별로 제조한 맥주의 알코올 함량을 측정한 결과 3.93-4.40%로 나타났고, 쌀 첨가비율에 따라 가용성 고형분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H는 4.32-4.60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쌀 첨가비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쌀 첨가비율에 따라 맥주의 산도 및 아미노산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쌀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증가한 반면 적색도 및 황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쌀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쓴맛의 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맥주를 가공하는 데에 있어 쌀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쓴맛이 감소되고 색택이 개선되는 등 품질 개선의 효과를 얻었다. 본 연구결과는 쌀맥주를 대량으로 제조하는 데 있어서 품질이 우수한 최적 비율을 선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효소에 의한 제탁조작과 맥주의 발포성 제 III보 Papain 농도와 저장조건의 영향 (Enzymatic Chillproofing and Beer Foam Stability Part III. Effects of Papain Concentration and Storage Condition)

  • Pack, M.Y.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59-165
    • /
    • 1976
  • 신선한 풋맥주를 발포성의 손실을 피하기 위해 적은 양의 Papain으로 제탁시켰다. 맥주를 병에 넣은 다음 멸균은 시키지 않고 온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저장 시킨다음 발포성을 조사해 보았다. 15 ppm의 papain으로 $0^{\circ}C$에서 22일동안 제탁시키고 멸균을 하지 않았을 경우에 맥주의 발포성이 현저히 좋아졌다. 이 사실은 멸균을 하지 않는 생맥주제조에 이용될 것으로 본다.

  • PDF

즐겨 마시는 술의 종류와 음주 및 건강특성의 관련성 (Association of Drinking Patterns and Health Characteristics with Beverage Preference)

  • 이지전;오희철;정우진;이상욱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7권2호
    • /
    • pp.133-140
    • /
    • 2004
  • Purpose :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ype of preferred alcoholic beverage and drinking pattern and health characteristics. Methods :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from 22 April to 3 May in 2002. 301 females and 699 males aged 13 to 59 were personally interviewed. Data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rinking pattern and health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735 drinkers who were 19 year-old or over were included in analysis. Beverage preference was classified 3 categories: Beer drinker, wine drinker(including wine, makguly, chungju and yakju) and soju drinker (including soju and spirits). Results : Beer drinkers were likely to be females. Compared to wine or soju drinkers, beer drinkers were less frequently drank, and consumed less total alcohol per week and less alcohol per 1 drinking among both male and female. Controlling for various confounders, beer drinker had significantly less total alcohol consumption per week, and alcohol consumption per 1 drinking than wine and soju drinker. Conclusion : Beer drinking were associated with less smoking in males and healthy drinking pattern in both gender than soju drinking.

Brewing Rutin-Enriched Lager Beer with Buckwheat Malt as Adjuncts

  • Deng, Yang;Lim, Juho;Lee, Gang-Hee;Nguyen, Thi Thanh Hanh;Xiao, Yang;Piao, Meizi;Kim, Dom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6호
    • /
    • pp.877-886
    • /
    • 2019
  • Brewing with buckwheat as an ingredient has been proven to be successful in several previous studies. Howeve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effects of buckwheat on the ruti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eer. In order to develop a lager beer with high rutin content and desirable sensory characteristics, tartary buckwheat malt was used as a brewing adjunc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utin-degrading enzyme was the key factor affecting the rutin content in the wort and beer. Compared to beer made using the common mashing method, the rutin content in the buckwheat beers produced using an improved mashing method was approximately 60 times higher.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in buckwheat beers also depended strongly on the mashing methods, ranging from 530.75 to 1,704.68 mg QE/l. The rutin-rich beers also showed better oxidative stability during forced-aging. Meanwhile, the buckwheat beers were found to be acceptable in terms of the main quality attributes, flavor, and tas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