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d Ash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초

순환유동층 애시를 자극제로 사용한 고로슬래그 미분말 기반 비소성 시멘트의 수화 및 단열 특성 (Hydration and Insulation Characteristics of a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Based Non-Sintered Cement Using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Ash as a Activator)

  • 이승헌;이강혁;유동우;하주형;조윤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245-252
    • /
    • 2015
  • 최근 친환경 구조물의 관심 증가와 함께 비소성 시멘트는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비소성 시멘트의 경우 알카리 자극제의 종류에 따라 반응생성물 및 경화체의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 부산물인 순환유동층 보일러 애시를 자극제로 사용하여 고로슬래그 미분말 기반 비소성 시멘트를 제조하여, 순환유동층 보일러 애시의 함량에 따른 경화 특성 및 수화물을 검토하였다. 또한 비소성 시멘트 경량화에 따른 단열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수화물인 C-S-H와 ettringite가 주로 형성되었으며, 50 MPa 이상의 비소성 시멘트 경화체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또한 경량화 시 압축강도는 10 MPa로, 이때에 열전도율은 $0.127W/m{\cdot}K$ 수준이었다.

파일럿 규모 기포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연소 특성 분석 (Investigation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Sewage Sludge using Pilot-scale Bubbling Fluidized Bed Reactor)

  • 김동희;허강열;안형준;이영재
    • 청정기술
    • /
    • 제23권3호
    • /
    • pp.331-342
    • /
    • 2017
  • 하수 슬러지 고형연료 및 우드 펠렛의 연소 특성을 평가 하기 위하여 열중량 분석(TGA), 회 융점(AFT) 분석, 그리고 회분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TGA 분석 결과, 하수 슬러지 고형연료의 연소성이 우드 펠렛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지 않았다. 또한 AFT 분석을 통해 하수 슬러지 고형연료의 슬래깅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소성 평가를 위해 pilot-scale 기포 유동층 반응기를 적용하였으며, 장치는 예열기, 유동층 반응기, 연료 공급장치, 사이클론, 회분 포집 장치, 그리고 가스분석기로 구성되었다. 반응기는 직경 400 mm, 높이 4300 mm이며, 하수 슬러지는 $54.5{\sim}96.5kW_{th}$의 열량으로 실험을 수행하였고 우드 펠렛은 $96.1kW_{th}$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하수 슬러지 고형연료 연소의 경우 평균적으로 우드 펠렛의 연소 보다 배기가스 중 $NO_x$는 10.1배, CO는 3.5배 높았다. 또한 사이클론에서 포집한 회분을 분석한 결과, 모든 실험 조건에서 연소 효율은 99% 이상이었고, 회분의 성분 분석을 통해 슬래깅/파울링 가능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폐기물 소각로 베드에서의 연소현상 관찰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d Combustion Phenomena in MSW(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 민지현;신동훈;최상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3권2호
    • /
    • pp.159-165
    • /
    • 1999
  • Experimental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observe the basic phenomena of waste bed combustion in MSW incinerator. A reduced scale apparatus was utilized to simulate the combustion behavior in real plant with 1-dimensional transient behavior at the experimental setup, which uses wet cubic wood with ash content as simulated waste. LHV (lower heating value) of solid fuel, fuel particle size and flow rate of combustion air were taken as important parameters of the bed combustion.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FPR (flame propagation rate), TBT (total burn-out time) and PBT (particle burn-out time) was defined. LHV represent the capability of heat release of the fuel, so that a higher LHV results in faster reaction rate of the fuel bed, which is shown by higher FPR. Fuel particle size is related with surface area per unit mass as well as heat and mass transfer coefficient. As the particle size increases the FPR decreases owing to decreasing specific surface area. Air injection supplies oxygen to the reaction zone. However oversupply of combustion air increases convection cooling of the bed and possibly extinguishes the flame.

한국 전통목가구 평상(平床) 연구 2 - 평상을 적용한 모듈화 다용도 침대 개발 - (A Study on Traditional Korean Furniture, PyeongSang II - Developing Modularized and Multi-useful Bed adopting PyeongSang -)

  • 김민경;문선옥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45-155
    • /
    • 2017
  • This study explores developing a piece of modularized and multi-useful bed adapting PyeongSang followed by the last issue, 'a study on traditional Korean furniture, PyeongSang I'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furniture from theory and history. Adopted From the joints and ornament, the modularized elements were designed and developed in order to compose the head board, the side board, the foot board, and the seat bottom. The joints are sambang miter, samae miter, dado, and mortise and tenon, which are strong in holding the bed. And the ornament is lattice patterns like geokjamun and manjamun, elephant eyes patterns like ansangmun from the traditional furniture. Using the elements, the bed is composed with six modules which make people free and easy to move and transform them. Hence, the bed is multi-useful by using the double, the twin the single, and various sofas by the way to display them such as two, three, four, five, and six modules. And the bed was made of bright zelkova tree and dark heat treated ash expressing contrast of black and white, the design concept modern and easy to make many people access to them.

발전소 비산재를 결합재로 활용한 로내탈황용 석회 흡수제의 탈황효율 (Desulfurization Efficiency of Lime Absorbent in In-Furnace Desulfurization as Fly Ash Binder in Power Plant)

  • 서준형;백철승;조진상;안지환;윤도영;조계홍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7권3호
    • /
    • pp.58-65
    • /
    • 2018
  • 국내 순환유동층보일러형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석탄재의 재활용을 위해 석회석 미분말과 CFBC 비산재를 이용하여 0.2~0.4 mm 크기를 가지는 석회계 흡수제를 제조하였다. 석회계 흡수제에 소석회를 소량 혼합한 결과 칼슘실리케이트 성분이 입자 표면에 형성되어 강도가 향상되었으며, 탈황특성을 비교한 결과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로내탈황용 석회석보다 약 10% 정도 높은 전환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탈황 흡수제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국내 무연탄과 미분을 성형한 무연탄의 순환유동층 연소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of Korean Anthracite and Fabricated Anthracite Fines)

  • 선도원;배달희;오창섭;김헌창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553-558
    • /
    • 2010
  • 순환유동층에서 나타나는 국내 무연탄의 낮은 연소성을 극복하고 비산재로 배출되는 미연분의 손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분탄과 비산회를 혼합하여 성형한 성형탄과 무연탄의 혼소를 0.1 MW급 순환유동층에서 수행하였다. 비교 시험에서 원탄 연소는 다량의 미분의 비산과 연소로 상부에서의 과열을 일으켰으나 조립탄 연소의 경우 미분을 제거하였으므로 일정한 온도에서 연소되었고 운전이 가장 안정적이었다. 조립탄과 원탄이 혼합된 석탄은 다소 운전이 불안하였으나 원탄만을 연소시킬 때보다는 안정적 연소가 가능하였다. 조립탄에 성형탄을 혼합한 경우 조립탄 연소의 경우와 같이 원활한 운전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는 상용 순환유동층 보일러에서 성형탄 혼소가 국내 무연탄의 연소성 개선에 도움이 됨을 보여 주었다.

순환유동층 보일러 바텀애시의 혼합시멘트 자극제 활용을 위한 타당성 연구 (The Feasibility Study for Utilization of Blended Cement as a Activator of Bottom Ash from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er Boiler)

  • 박종탁;정권수;강창호;오홍섭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255-262
    • /
    • 2020
  • 순환유동층 보일러는 낮은 온도에서 연소되기 때문에 플라이 애시와 바텀애시내에 Fe2O3, free-CaO, SO3 등의 함유량이 높아 시멘트 수화반응시 고온과 이상응결 등이 발생하고, 입자가 크기 때문에 콘크리트에서의 활용도가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와 바텀애시를 혼합 분쇄하여 미분말을 석고대체제 자극제로 활용하고, 볼밀로 혼합분쇄시 폐철은 분리함으로서 재활용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원상태와 소량의 수분으로 기수화시킨 바텀애시를 슬래그와 혼합분쇄하여 자극제로서 시멘트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기수화된 바텀애시를 사용한 경우 초기강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시멘트의 초기강도 향상을 위한 고로슬래그와 바텀애시 혼합비를 5:95와 10:90으로 혼합한 자극제를 혼합시멘트에 6% 정도 첨가하였으며, 석고와 유사한 초기 강도를 발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arbonation Behavior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Using Coal Fly Ash

  • Lee, Jae Hoon;Lee, Ki Gang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54-36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by mixing coal fly ash of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CFBC) with cement, and to develop uses for recycling by analyzing carbonation behavior resulting from a change in conditions for pressurized carbonation. For concrete, CFBC coal fly ash was mixed with Portland cement to the water-binder ratio of 0.5, and aging was applied at room temperature after 3 days of curing at $20^{\circ}C$, RH 60%. For carbonation, temperature was fixed at $60^{\circ}C$ and time at 1 h in the use of autoclave. Pressures were controlled to be $5kgf/cm^2$ and the supercritical condition of $80kgf/cm^2$, and gas compositions were employed as $CO_2$ 100% and $CO_2$ 15%+N2 85%. In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ed lightweight concrete, the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resulting from carbonation reaction were affirmed through rate of weight change, carbonation depth test, air permeability, and processing analysis for the day 28 specime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present approach could provide a viable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eco-friendly lightweight foamed concrete from CFBC coal fly ash stabilized by carbonation.

A study on heavy metal migration in fly ash/bentonite using a reactive transport model

  • Jung, Yoo-Jin;Cho, Hee-Chan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fusion technology
    • /
    • pp.629-636
    • /
    • 2003
  • The retardation of heavy metals in a mixture of fly ash and bentonite was studied as a potential barrier material for a landfill. Column tests were conducted using synthetic leachate having 100 mg/L and 50 mg/L of lead (Pb) and cadmium (Cd), respectively. Results indicated that the mixture had obvious retardation ability for heavy metals. To investigate the retardation factor caused by adsorption, batch adsorption tests were conducted at various concentrations. Test results were correlated with both Langmuir and Freundlich isotherms. The adsorption of the lead ion was applicable to the Langmuir isotherm and the adsorption of the cadmium ion was applicable to the Freundlich isotherm. In addition,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the migra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through the bed of fly ash and bentonite mixture were investigated using the PHREEQC, a reactive transport model, under the real conditions of the landfill liner.

  • PDF

공탑속도 및 과잉공기비에 따른 석탄유동층연소로의 조업특성 (Effect of Excess Air and Superficial Air Velocity on Operation Characteristics in a Fluidized Bed Coal Combustor)

  • 장현태;차왕석;태범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84-92
    • /
    • 1999
  • The effects of air velocity and excess air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in a fluidized bed combustor. The domestic low-grade anthracite coal with heating value of 2010 kcal/kg and the imported bituminous coal from Australia with heating value of 6520 kcal/kg were used as coal samples.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mixed fuels in a fluidized bed combustor could be interpreted by pressure fluctuation properties, ash distribution and gas emission. The properties of the pressure fluctuations, such as the standard deviation, cross-correlation function, dominant frequency and the power spectral density function, were obtained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From this study, the combustion reg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air velocity but decreased with excess air due to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nthracite and bituminous co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