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m-Middle Column Connection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3초

반강접성을 고려한 강뼈대 구조물의 비선형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n-linear Analysis of Steel Frame with Semi-rigid Connections)

  • 이종석;이상엽;김정훈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7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1-118
    • /
    • 1997
  • Generally, H-section is used for columns and beams in the middle and low building steel structure, But it has a axis and a weak axis. Thus if H-section is used for columns, the structure needs reinforcement on the weak axis. Therefore recently, square hollow section(S.H.S) is used for columns because it is able to cover the vulnerability of H-section. Structural analysis is usually execu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connections are either ideally pinned joint or fully joint. Actually all connections are semi-rigid which possess a rotational stiffness. Therefore it can be designed economically as using the property of connections which has a rotational stiffness. This paper presents a prediction model curve which is fitted with Kishi-Chen Power Model about the behavior of connection between H-beam and S.H.S column in the previous experimental paper. It also suggests the new analysis algorithm considering the non-linear of semi-rigid connection and the geometrical non-linear under the effect of axial force.

  • PDF

개량 T-stub를 이용한 반강접 골조의 거동 (The Structural Behavior of the Frames with Semi-Rigid Connections Using Reformed T-stubs)

  • 이명재;조원혁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통권47호
    • /
    • pp.339-350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량 T-stub를 이용한 1층 1스팬 골조의 구조적 거동을 파악하고 중층규모의 건축물에 대하여 개량 T-stub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개량 T-stub 및 기존 T-stub를 이용한 반강접 골조의 반복가력실험을 하였으며 개량 T-stub의 플랜지 두께와 볼트중심거리를 변수로 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및 해석결과로부터 개량 T-stub의 거동을 정성적으로 파악하고 반강접합부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브래킷형 완전강접합 모듈러 시스템의 반복가력실험과 해석적 평가 (Cyclic Loading Test and an Analytical Evaluation of the Modular System with Bracket-typed Fully Restrained Moment Connections)

  • 박재성;강창훈;손수덕;이승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4권3호
    • /
    • pp.19-28
    • /
    • 2018
  • Key factors that ensure competitiveness of modular unit include consistent high quality and connection condition that ensures high structural performance while minimizing the overall scale of the on-site process. However,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connection of modular unit, and its structural analysis and design method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nection to its development, which affects the seismic performance of its final design. In particular, securing the seismic performance is the key to designing modular systems of mid-to-high-rise structure. In this paper, therefore,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modular system with bracket-typed fully restrained moment connections according to stiffness and the shapes of various connection members was evaluated through experimental and analytical methods. To verify the seismic performance, a cyclic loading test of the connection joint of the proposed modular system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oretical values and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initial stiffness, hysteresis behavior and maximum bending moment of the modular system. Also, the connection joint was modeled, using the commercial program ANSYS, which was then follow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maximum resisting force of the proposed connection exceeded the theoretical parameters, which indicated that a rigid joint structural performance could be secured. These results almost satisfied the criteria for connection bending strength of special moment frame listed on KBC2016.

고력볼트 Split Tee 접합부의 인장내력 (Structural Tensile Capacities of Split-Tee Connection with High Strength Bolts)

  • 최혜경;최성모;김진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5권5호통권66호
    • /
    • pp.541-549
    • /
    • 2003
  • 고력볼트 인장접합 형신인 Split Tee 접합은 접합부의 효율성과 시공성이 우수하여 유럽등지에서는 중저층의 건축물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널리 사용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는 고력볼트와 Split Tee를 구성하는 판재의 강성에 따라 지레작용의 효과를 포함하는 보트의 인장 전단파괴와 Split Tee의 송성파괴가 상호작용을 일으켜 해석과 설계가 복잡하다는 점과 시공상의 정밀도 확보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Split Tee접합에 관한 연구는 미국, 일본, 유럽등지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아직 초보적 단계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한 Split Tee접합부의 거동, 즉 지레작용의 영향과 그에 따른 반력작용의 특성을 파악하여 Split Tee접합 설계를 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량 T-stub 반강접합부의 기초적 연구 (The Basic Study of Semi-Rigid Connections with Reformed T-stubs)

  • 유봉현;이명재;김원기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통권33호
    • /
    • pp.479-487
    • /
    • 1997
  • 강구조 건축물의 접합에서 강접합, 단순접합 이외에 반강접합의 이용이 고려될 수 있다. 반강접합의 장점으로서는 시공의 용이성과 부재의 효율적인 모멘트 분배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T-stub를 더 많은 회전능력이 생기도록 한 개량 T-stub를 접합요소로 선정하여 중층정도의 건축물에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적 단계이다. 연구방법으로서는 개량 T-stub의 역학적 거동을 조사하기 위한 개량 T-stub요소의 인장 및 압축 실험과 개량 T-stub를 이용한 기둥-보 접합부의 단순재하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결과로부터 개량 T-stub의 정성적인 거동을 파악하였고, 개량 T-stub를 이용하면 반강접합으로서의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