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cN 망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4초

광대역 통합망(BcN) 시범 서비스 추진동향

  • 신용식;박용길;정원석;임종태
    • 정보와 통신
    • /
    • 제21권11호
    • /
    • pp.92-103
    • /
    • 2004
  • 광대역 통합망은 유무선 통합, 통신과 방송 응합, 음성 및 데이터의 통합을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를 서비스 계층, 제어 계층, 전달망 계층, 접속 계층, 유비쿼터스 접속 및 가입자 단말 계층으로 구분한다. BcN은 사용자가 원하는 품질과 보안의 정도에 따라 차별화된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및 관리가 가능한 네트워크이다. 본고는 현재 진행 중인 BcN 시범 사업에 대하여 기술한다. 우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인프라인 광대역 통합망(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의 개념, 서비스 특징 및 발전방향 등을 간략히 나타낸다. 그리고 정부의 IT839 전략의 중점 추진과제로 진행 중인 1단계 BcN 시범 사업의 내용과 시범 사업자로 선정된 3개 컨소시엄의 서비스 내용 등을 제시한다. 현재 BcN 시범 사업자로 UbiNet 컨소시엄, Octave 컨소시엄 및 광개토 컨소시엄이 선정된 상태이다. 각 컨소시엄에서는 BcN 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서비스 모델 발굴 및 기술개발을 위해 BcN 시범 서비스를 진행할 예정이며, 제공 예정인 BcN 시범 서비스에는 음성 데이터 통합 서비스, 유무선 통합 서비스, 통방 융합 서비스 및 기타 응용 서비스 등이 있다.

BcN 전달망 QoS 제공 구조 및 방안

  • 최준균
    • 전자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37
    • /
    • 2004
  • BcN 전달망은 광대역통합망(BcN)의 핵심 부분으로 유 · 무선, 통신 · 방송 등이 융합 수용되는 품질보장형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끊김없이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는 전송망, 교환망, (백본망, 접속망), 제어망을 포함하는 정보통신 인프라이다. BcN 전달망은 서비스 품질(QoS) 보장, 고도의 통신망 관리기능과 보안기능(Security), 차세대 인터넷 주소체계(IPv6) 수용, 다양한 서비스를 쉽게 창출할 수 있는 개방형 망구조(Open API)가 도입된 통신망으로 유선, 무선, 방송 등의 다양한 가입자망의 특성을 통합 수용하며,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양한 응용서비스의 개발 및 이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중략)

  • PDF

PSTN에서 BcN으로 전환 후 음성 트래픽 비교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Voice Traffic Comparison From PSTN with the BcN after converting)

  • 이영학;김석;한승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600-603
    • /
    • 2007
  • 미래 지식정보사회는 컴퓨터, 통신, 방송 등 모든 정보통신 기기가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BcN 기반의 네트워크사회(Broadband Network Society)로 빠르게 진화할 전망이다. BeN은 엑세스망, IP전달망, 제어/서비스망(교환망 IP전환)의 3개 계층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나 엑세스망, IP전달망은 기존과 통일한 IP방식으로 추진 중이어서 IP기반의 제어/서비스망 신규 구축 및 교환망의 IP로의 전환을 협의의 BcN이라 정의 한다. PSTN에서 BcN망으로 전환 시 BeN망의 구성 요소는 소프트스위치, TGW, AGW, SGW, 응용서버, 미디어서버 등이 있다. PSTN망이 BcN망으로 전환시 크게 3단계의 과정을 거친다. 1단계로 2007년 상반기에 전남 목포지역의 지능망 서비스가 불가한 시외교환기가 BcN으로 전환되었다. 전환 후의 IP망을 경유하는 음성호의 트래픽을 측정한 결과는 발생호는 증가하였으며 완료율은0.06% 감소하였지만 관리 기준내의 양호한 수준이었다. 향후 음성호의 통화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 품질 측정을 통한 기준 미달 항목을 조치하고 트래픽 측정을 통한 소통율, 완료율 불량 구간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 활동을 해야 한다.

  • PDF

BcN에서의 침입감내를 위한 네트워크 디자인 연구 (Research on Network Design for Intrusion Tolerance of BcN)

  • 박현도;김수;이희조;임채태;원유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4권5호
    • /
    • pp.305-315
    • /
    • 2007
  • 광대역통합망(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BcN)은 전화, 인터넷, 방송 네트워크 등 개별적으로 운용되어오던 네트워크들을 하나의 통합망으로 구축, 구동, 관리하는 차세대 네트워크이다. 개별적으로 운용되어오던 네트워크들이 하나로 통합되면서 서비스 별로 산재해 있던 네트워크의 위협요소는 하나의 통합망에서 더욱더 위력적인 요소로 다가올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BcN 서비스들이 악성 공격에 대해 지속적인 서비스 운영을 보장하기 위한 네트워크 디자인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 시간과 공간 중요도를 바탕으로 BcN 필수 서비스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구성요소의 형태에 따라 서버 형태, 게이트웨이 형태, 복합 형태의 세 가지 타입으로 구분한다. BcN 환경에서 발생 가능한 공격 시나리오들을 통해 BcN 필수 서비스의 침입감내 기술 적용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통하여 하드웨어 중복성과 Policy 서버의 보안 정책 설정을 통한 BcN 침입감내 네트워크 디자인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프로토타입 네트워크를 BcN에 적용하기 전과 적용한 후 BcN에서 공격이 발생되었을 때의 시나리오를 통하여 BcN의 침입감내를 가능케 함을 보인다.

국방 광대역통합망(D-BcN) 아키덱쳐 모델링 (Modeling an Architecture of the Defence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D-BcN))

  • 김한관;이길섭;이승종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3)
    • /
    • pp.196-198
    • /
    • 2004
  • 국내에서는 고도의 정보인프라 구축을 위한 광대역통합망(BcN) 추진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져 가고 있다. 한편, 미래의 전쟁수행개념은 정보우위 확보를 위한 네트워크 중심의 전투(Network Centric Warfare)수행이며 이러한 전쟁수행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통합망 연구가 중요하나 아키텍처 모델 제시 등 D-BcN을 위한 연구실적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BcN에 대한 하나의 아키텍처를 모덱링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BcN 개념 및 구조, 외국군 사례, 현 국방 정보통신망 문제점 분석을 통해 국방아키텍처 프레임워크(MND-AF) 지침에 의한 개발방법을 적용, 최상위 운용 및 체계관점에서 하나의 아키텍처 모델링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상용 BcN과 비교하여 주요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D-BcN 아키텍처 모델링은 보다 구체적인 D-BcN 아키텍처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BcN/NGN에서의 보안 및 액세스 인증 기술

  • 정수환;최재덕
    • 정보와 통신
    • /
    • 제24권3호
    • /
    • pp.15-24
    • /
    • 2007
  • 개방형 망 구조의 지원으로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통신망에 대한 액세스가 쉬워지는 BcN/NGN 망에서 이를 악용한 많은 위협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BcN/NGN 망에서 보안 및 인증 기술은 큰 이슈다. 본 고에서는 BcN/NGN 망에서의 보안 위협과 최근 ITU-T에서 NGN보안 표준과 관련하여 진행중인 NGN 망에서 인증, 시그널링 데이터 보호, 미디어 데이터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보안 메커니즘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최근 ITU-T SG 13에서 개최한 NGN을 위한 디지털 아이디 워크샵에 대한 근황을 알아본다.

차세대 mBcN을 위한 5G+ 연동보안게이트웨이 (A Cooperative Security Gateway cooperating with 5G+ network for next generation mBcN)

  • 남구민;김형식;이현진;조학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29-140
    • /
    • 2021
  • 차기 mBcN에서는 초고속·초연결을 지원할 수 있는 무선망과 연계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5G 무선망과 mBcN의 연계하기 위한 연동망 구조와 연동에 필요한 연동보안게이트웨이의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연동보안게이트웨이는 gNB와 UPF의 사이에 위치하며 LBO 기능, SFC 기능 및 다양한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제안하는 연동망 구조 및 연동보안게이트웨이를 통해 다양한 이점을 확보할 수 있다. 첫 번째는 mBcN망과 연결이 필요한 사용자 단말은 5G망의 무선망을 활용하여 mBcN망과 연결할 수 있다. 두 번째는 mBcN으로 전달되는 트래픽은 5G 코어망을 경유하지 않고 mBcN으로 전송되어 5G 코어망에 망부하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종단간 전송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군응용체계 패킷이 5G코어망으로 전파되지 않고 연동 보안게이트웨이와 연결된 기지국을 통해서만 mBcN과 연결할 수 있어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5G 테스트배드 환경에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연동 보안 게이트웨이의 LBO 기능, SFC 기능 및 보안모듈의 기능을 제공 가능함을 제시한다.

BcN 단말 기술 발전 방향

  • 공용문
    • 정보와 통신
    • /
    • 제21권8호
    • /
    • pp.122-128
    • /
    • 2004
  • 광대역 통합망 (BcN)은 통신, 방송, 인터넷을 동시에 수용하는 미래기간 인프라로 정부의 IT 8-3-9 전략의 일환인 3대 첨단망 구축의 핵심이 되는 기간 망이다. 이러한 BcN을 서비스 관점에서 이해하자면, 유선, 무선, 인터넷, Wireless LAN, 방송 등의 망기반위에 All-IP에 기반 한 서비스가 Virtually 하나의 Network로 통합되어 제공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BcN을 둘러싼 제반 환경은 시장, 기술, 고객 Needs, 데이터 서비스 관점에서 아래와 같이 예상할 수 있다.(중략)

BcN에서 멀티 홉 사용자 액세스 망 수용을 위한 자동 주소 설정 (Address Auto-configuration i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s for Supporting Multi-Hop User Access Networks)

  • 박일균;김영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6호
    • /
    • pp.809-816
    • /
    • 2005
  • MANET(mobile ad hoc network)은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의 액세스 망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노드는 코어망에 멀티홉으로 접속되am로 기존과 다른 새로운 주소 자동 설정 기능이 요구된다. 이에 관련하여 기존 유선 BcN 기반 자동 주소 설정 방식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감안한 독립형 MANET의 자동 주소 할당 방식들이 제안되었으나 내부 BcN 망과 연결되는 형태의 액세스 망으로서의 MANET에 관한 주소 설정 방식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뚜선 노드들이 BcN 게이트웨이를 통해 BcN 코어망에 접속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MANET 환경에서의 전역 주소의 할당 기능이 포함된 새로운 자동 주소 할당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 IPv6 NDP(neighbor discovery protocol) 메시지 및 추가 확장을 통해 전역 주소에 사용되는 프리픽스 정보를 모든 모바일 노드들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했으며, 메시지 브로드캐스팅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네트워크 성능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BcN 시스템 위한 적응형 QoS 제공 방법 (Adaptive QoS Provision for BcN Systems)

  • 이승희;조성호;김종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A)
    • /
    • pp.331-333
    • /
    • 2005
  • BcN은 현존하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망과 앞으로 도래할 새로운 액세스 망이 공통된 IP 기반의 전달 망을 중심으로 통합되는 시스템으로, 서비스 측면에 있어서도 유무선의 유기적인 결합 및 통신과 방송의 융합 등을 목표로 하는 유비쿼터스 통신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종 액세스 망이 상호 연동하는 BcN 통신 환경에서, 단일 망만을 고려하여 개발된 특정 QoS 기술을 통하여 QoS를 보장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BcN 시스템에 적합한 적응형 QoS 제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