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yesian state space Schaefer model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한국 해역의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개체군 자원평가를 위한 베이지안 상태공간 잉여생산량 모델의 적용 (A Bayesian State-space Production Assessment Model for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ock Caught by Multiple Fisheries in Korean Waters)

  • 안동영;김규한;강희중;현상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769-781
    • /
    • 2021
  • Given data about the annual fishery yield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and the catch-per-unit-effort (CPUE) data from multiple fisheries from 2000-2018, we applied a Bayesian state - space assessment model for the squid population. One of our objectives was to do a stock assessment, simultaneously incorporating CPUE data from the following three fisheries, (i) large trawl, (ii) jigger, and (iii) large purse seine, which comprised on average a year about 65% of all fisheries, allowing possible correlations to be reflected. Other objectives were to consider both observation and process errors and to apply objective priors of parameters. The estimated annual exploitable biomass was in the range of 3.50×105 to 1.22×106 MT, the estimated intrinsic growth rate was 1.02, and the estimated carrying capacity was 1,151,259 MT. Comparison with available results from stock assessment of independently analyzed single fisheries revealed a large difference from the estimated values, suggesting that stock assessment based on multiple fisheries should be performed.

한·중·일 해역의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자원평가 연구 (A Study on Stock Assessment of Japanese Flying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Korea·China·Japan Waters)

  • 임성수;김도훈;홍재범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31권4호
    • /
    • pp.451-480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상업적 중요성을 가지며 국민 선호도가 높은 살오징어의 자원상태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살오징어 자원평가 연구와의 차별성으로 두 가지를 고려하였다. 첫째, 한국에서 살오징어를 어획하는 업종들의 어획 자료를 자원평가 분석에 최대한 활용하였다. 둘째, 살오징어를 공동 어획하는 인접국인 중국과 일본의 어획 자료를 모두 포함하여 자원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에 있어서는 어획량 기반 자원평가 모델인 Monte Carlo 방법을 활용한 CMSY(catch-maximum sustainable yield) 모델과 Schaefer 함수를 기반으로 한 Bayesian state-space(BSS) 모델을 이용하여 활용 가능한 자료의 종류와 범위에 따라 '한국' 그리고 '한·중·일'로 해역 범위를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살오징어 자원량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현재 최대지속어획량을 달성할 수 있는 자원량 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살오징어 자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개별 국가들의 적극적인 자원관리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한·중·일 공동 자원조사 및 평가 그리고 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