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yesian Global VAR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International Transmission of Macroeconomic Uncertainty in China: A Time-varying Bayesian Global SVAR Approach

  • Wongi Kim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8권1호
    • /
    • pp.95-140
    • /
    • 2024
  •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international transmission of China's uncertainty shocks. It estimates a time-varying parameter Bayesian global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ve model (TVP-BGVAR) using time series data for 33 countries to evaluate heterogeneous international linkage across countries and time. Uncertainty shocks are identified via sign restrictions. The empirical results reveal that an increase in uncertainty in China negatively affects the global economy, but those effects significantly vary over time. The effects of China's uncertainty shocks on the global economy have been significantly altered by China's WTO accession,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recent US-China trade conflict. Furthermore, the effects of China's uncertainty shocks, typically on inflation, differ significantly across countries. Moreover, Trade openness appears crucial in explaining heterogeneous GDP responses across countries, whereas the international dimension of monetary policy appears to be important in explaining heterogeneous inflation responses across countries.

거시경제 및 통화정책 기조 변화가 통화정책의 유효성에 미친 영향 분석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in Korea Due to Time Varying Monetary Policy Stance)

  • 김태봉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6권3호
    • /
    • pp.1-23
    • /
    • 2014
  • 본고는 4개의 거시변수들을 포함한 Time Varying VAR 모형을 통해 한국의 통화정책 변화를 평가하였다. 첫째, 외환위기나 금융위기 때와 같이 통화정책이 환율변동에 대해 민감하게 변화하는 시기가 존재하므로 위기를 포함한 긴 표본 안에서 한국의 통화정책을 평가할 때는 환율을 모형안에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표본기간 내에서 이례적인 큰 변동성이 때때로 나타나는 한국 거시변수들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stochastic volatilities를 TVP-VAR 모형 내에서 설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2000년대 거시변수들의 안정화는 stochastic volatilities의 감소에 의해 설명되며, 부분적으로는 거시경제의 구조를 반영하는 충격반응함수에 의해서도 설명된다. 셋째, 통화정책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유효성의 크기는 예전에 비해 최근 약화된 편이나 유효성의 지속성은 비교적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플레이션 안정화에 대한 통화정책의 기조는 물가안정목표제가 도입되기 전에 비해 그 후에 적극적인 방향으로 개선되어 왔음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통화정책은 그 기조가 경기변동에 비해 인플레이션 안정화에 대하여 여전히 덜 적극적인 것을 감안할 때 개선될 여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