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uhaus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9초

VCHUTEMAS와 러시아 전위미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ussian avant-gard arts& vchutemas)

  • 김인준
    • 디자인학연구
    • /
    • 16호
    • /
    • pp.65-74
    • /
    • 1996
  • 러시아 전위 예술은 서유럽에서 발생한 새로운 미술사조를 러시아 예술가들이 그들의 전통문화와 접속시켜 독자적인 미술사조로 발전시킨 것에 커다란 의미가 있다. 러시아 혁명이후 사회 개혁에 러시아 전위 예술가들은 적극적으로 동참했다. 그들은 사회주의 사회의 이상 실현을 위해 미술, 영화, 건축, 연극 등 각 장르에서 활동했다. 이러한 새로운 사회에 필요한 전문 기능인력의 양성을 목적으로 Vchuthmas가 설립되었다. 학교의 교육목표는 예술분야(건축, 회화, 조각, 그래픽, 금속, 목공예, 도자기, 텍 스타일 등)의 지도자를 양성하는 것이었다. Vchuthmas에서는 러시아 전위예술가들의 구성주의와 기능주의의 원리에 바탕을 둔 교수법을 통해 학생들을 지도하였으며 이는 독일의 Bauhaus 교육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 PDF

Reinforcement design for the anchorage of externally prestressed bridges with "tensile stress region"

  • Liu, C.;Xu, D.;Jung, B.;Morgenthal, G.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11권5호
    • /
    • pp.383-397
    • /
    • 2013
  • Two-dimensional tensile stresses are occurring at the back of the anchorage of the tendons of prestressed concrete bridges. A new method named "tensile stress region" for the design of the reinforcement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basic idea of this approach is the division of an anchor block into several slices, which are described by the tensile stress region. The orthogonal reinforcing wire mesh can be designed in each slice to resist the tensile stresses. Additionally the sum of the depth of every slice defined by the tensile stress region is used to control the required length of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bars. An example for the reinforcement design of an anchorage block of an external prestressed concrete bridge is analyzed by means of the new presented method and a finite element model is established to compare the results.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the transverse and vertical prestressing on the ordinary reinforcement design is taken into account. The results show that the amount of reinforcement bars at the anchorage block is influenced by the layout of the transverse and the vertical prestressing tendons. Using the "tensile stress region" method, the ordinary reinforcement bars can be designed more precisely compared to the design codes, and arranged according to the stress state in every slice.

BAUHAUS의 조형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Education Program of BAUHAUS)

  • 하상오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
    • /
    • pp.209-219
    • /
    • 1996
  • 바우하우스의 공업사회에 있어서 디자이너로서, 또는 수 공예가, 조각가, 화가 혹은 건축가로서의 예술적 재능을 지닌 사람들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여 출발하였으며, 건축공작에 있어서 협동의 목적을 지니고 예술과 형태의 면에서 모든 수공예의 완전한 조직훈련을 그 기초로 하고 있었다. 이러한 창조력을 지닌 인간양성의 원동력이 된 예비과정은 그 것을담당한 교사들의 교육이념과 교육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조형활동과 방법을 통하여 연구되어지고 실천에 옮겨졌으며, 그 근간을 형성하는 공통된 접근 방법은 인간을 조형원리의 중심에 두고 생물학적 기능의 분석 나아가 정신적이고 철학적인 부분에 이르기까지 철저히 분석함과 동시에 종합적으로 관찰하고 사고하며 표현하는 조형연습에 주안점을 두고 있었다. 아울러 바우하우스 조형교육의 독특한 구조는 교사와 학생을 구분하지 않고 자유로운 비판을 통하여 서로의 해결책을 비교토록 함으로써 어떤 과제를 어떤 형태로 추구하여 해결할 것인가를 스스로 체득케 하는 집단 요법 식 교육방식을 취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 PDF

독일 디자인 이미지 형성에서의 산업디자인 기초 과정의 역할에 관한 고찰 (The role of foundation courses in industrial design in formation of german design image)

  • 윤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99-207
    • /
    • 1998
  • 지금의 독일 디자인이 지니고 있는 이미지 형성에 있어 바우하우스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독일의 산업 디자인 기초 교육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현 시대가 요구하고 있는 산업디자인 기초 교육과정에서는 조형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과학과 문화의 통합적 개념에서 산업디자인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 산업디자인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조형대학의 시대적 설립배경을 분석하여, 독일 조형대학들간의 기본적인 산업디자인 기초 교육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바우하우스, 울름 조형대학과 현재의 독일 조형대학에서의 산업디자인 기초 교육과정의 결과물과 독일 디자인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제품의 조형적 의미를 비교 분석하여 디자인 기초 교육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우리의 산업디자인 기초 교육과정을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독일 현대가구의 특성 분석 ($1946{\sim}2005$) (Characteristics of German Contemporary Furniture ($1946{\sim}2005$))

  • 조숙경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9-79
    • /
    • 2006
  • German furniture design had been downward in trend after Bauhaus closed and through the War. Meanwhile Italy emerged as a center in furniture industry after the Second World War. After the Unification in 1989, however, German furniture still play predominant role in the world since they have their own unique quality and territory. This study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German furniture design by three different eras-Post-war recession (1946-1965), Arising times (1966-1989), Contemporary (1990-2005)-and categorized the major characteristics are summarized as in the below. First, function oriented design Second, pursuing perfection of technology Third, simplicity and purity of design.

  • PDF

반 두즈버그의 시.공간 표현형식 (An Expression Method of Space-Time in Van Doesburg's works)

  • 이광인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77-83
    • /
    • 2009
  • Van Doesburg founded the magazine De Stijl with Mondrian in 1917. De Stijl movement was influenced by Cubist painting as well as by the mysticism and the ideas about ideal geometric forms in the neoplatonic philosophy. De Stijl proposed ultimate simplicity and abstraction by using only straight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and rectangular forms. Furthermore, their formal vocabulary was limited to the primary colours, red, yellow, and blue, and the three primary values, black, white, and grey. The works avoided symmetry and attained aesthetic balance by the use of opposition.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are positioned in layers or planes that do not intersect, thereby allowing each element to exist independently and unobstructed by other elements In 1924 their different concepts about space and time were split between Van Doesburg and Mondrian. Van Doesburg launched a new concept for his art, Elementarism, which was characterized by the diagonal lines and rivaled with Mondrian's Neo-Plasticism. The works of De Stijl would influence the Bauhaus style and the international style of architecture.

  • PDF

미국 스튜디오퍼니쳐 운동의 대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ergence of the Studio Furniture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 김성아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9-59
    • /
    • 2002
  • The studio furniture movement that expanded in the United States after the Second World War was truly American creation representing highly sophisticated individualism versus industrial anonymity. The studio furniture movement can be traced back to the 1930s in terms of its influences and emergences. Based on the ideals of Arts and Crafts movements from the earlier decades, studio furniture movement emerged in the 1950s in reaction to Bauhaus inspired industrially produced furniture. Studio furniture has represented an alternative for people who wanted individual objects in their homes rather than industrially produced products. Opposed to plastics and industrial materials, artists in studio furniture mainly focused on one natural material, emphasizing its singular beauty. There were significant roles and influences of craft education along with Scandinavian influences in terms of spreading out the movement. A historical examination of furniture from the 1930s until the 1960s illustrates how this significant movement began in the mid-century.

  • PDF

De Stijl 에 있어서의 실내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in De Stijl)

  • 한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8호
    • /
    • pp.16-22
    • /
    • 1996
  • In terms of modern design history, De Stijl movement had continued as one of influential groups by 1931, and it attempted to pursue universial reality that combined painting and architecture, seeking a new style based on Neo-Plasticism and succeeded the nineteen century's Art and Craft movement and Art Nouveau. Especially, the De Stijl movement provided 1920's rationalism with new space pattern and its ideas greatly affected the Bauhaus movement such as Walter Gropius or Mies van der Rohe. De Stijl's utopian idea that claimed on the conformity of art and life contributed modernism movement combined with scientific and rational view, and even now experts its lasting power with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free from simple cube in modern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The tue meaning of the De Stijl movements is that is sis the basis of general ideas, and the change of modern architecture is based on this modern styled foundation. It may be the unchangeable fact like Russell Hitchocok says, "The architectural style and pattern which everyone admitts its importance has the value of living."

  • PDF

Analysis of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elastic waves in heterogeneous nanobeams employing a new two-step porosity-dependent homogenization scheme

  • Ebrahimi, Farzad;Dabbagh, Ali;Rabczuk, Timon;Tornabene, Francesco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35-143
    • /
    • 2019
  • The important effect of porosity on the mechanical behaviors of a continua makes it necessary to account for such an effect while analyzing a structure. motivated by this fact, a new two-step porosity dependent homogenization scheme is presented in this article to investigate the wave propagation responses of functionally graded (FG) porous nanobeams. In the introduced homogenization method, which is a modified form of the power-law model, the effects of porosity distributions are considered. Based on Hamilton's principle, the Navier equations are developed using the Euler-Bernoulli beam model. Thereafter, the constitutive equations are obtained employing the nonlocal elasticity theory of Eringen. Next, the governing equations are solved in order to reach the wave frequency. Once the validity of presented methodology is proved, a set of parametric studies are adapted to put emphasis on the role of each variant on the wave dispersion behaviors of porous FG nanobeams.

굿디자인(Good Design)의 재해석 - 람스(Rams)와 노만(Norman)의 굿디자인 비교를 중심으로 (The Reinterpretation of Good Design - The Comparison between Rams and Norman)

  • 김동하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413-422
    • /
    • 2003
  • 20세기 초 영, 독일의 미술과 공예협회인 독일 베르크분트(Deutcher Werkbund)로부터 산업제품을 위한 디자인 표준화의 제기와 기능주의의 새로운 미를 적용하려는 노력은 시작되었다. 같은 맥락에서 1919년 독일의 바우하우스(Bauhaus)에 의해 굿디자인은 기술과 예술의 혼합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현대적 개념의 디자인이 그 뒤를 이었다. 1950-1955년, 뉴욕 MOMA(Museum of Modem Art)에 의해 행해진 소비자 교육프로그램인 굿디자인(Good Design) 전시회에 의해 그 용어는 현대적으로 사용되었으며, 굿디자인의 임무는 모던디자인을 일반대중에게 인식시키는 것이었다. 20세기 후반 이후 많은 전문가들은 각기 독특한 입장에서 굿디자인을 다양하게 정의하기 시작하였다. 그 정의는 디자이너, 기술자, 생산자, 비즈니스맨, 소비자들에게 이르기까지 각 영역의 특성에 맞게 해석되어 적용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디자인 학자인 람스(Rams)와 노만(Norman)은 물리적, 심리적인 관점으로부터 굿디자인을 해석하고 있으며, 기능, 미, 테크놀로지, 등에 관련해 구체적으로 굿디자인의 표준과 올바른 접근방향을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굿디자인의 역사적 고찰과 정의 및 람스와 노만의 주장을 비교와 분석을 통해 굿디자인의 세부적인 기준과 정의의 관계를 정립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그들이 주장하는 물리적, 심리적으로 접근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이 굿디자인임을 찾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