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diomycetes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6초

긴꼬리말불버섯 (Lycoperdon pedicellatum)의 항암 면역활성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Lycoperdon pedicellatum)

  • 정경수;김진향
    • 약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463-469
    • /
    • 2000
  • Protein-polysaccharide fractions separated from nine Korean wild mushrooms were subjected to an in vitro screening test for lymphoblastogenic activity. Of these, PPLP, the protein-polysaccharide fraction of Lycoperdon pedicellatum, showed the most potent activity and were further investigated for its antitumor activity. When intraperitoneally injected into ICR mice once daily for six days at a dose of 30 mg/kg, PPLP strongly inhibited the growth of sarcoma 180 tumor cells, showing the inhibition ratio of 97.6%. PPLP also showed in vitro inhibitory activity on sarcoma 180 or leukemia L1210 at the concentration of 500 $\mu\textrm{g}$/$m\ell$ or higher.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PPLP might exert its antitumor activity through immunostimulation as well as inhibitory activity on the tumor cells.

  • PDF

들송이(Agrocybe cylindracea)와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ius)을 배양한 대두추출물의 암예방 효과 (Chemopreventive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Soybean Fermented with Basidiomycetes)

  • 김소연;손준호;하효철;이항우;이재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4-13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버들송이(Agrocybe cylindracea)와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ius)을 배양한 대두 추출물의 암예방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in vitro상에서 암발생 억제물질 연구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작 즉, Quinone reductase(QR), glutathione S-transerase(GST)의 활성 유도, glutathione(GSH)의 생성 촉진 그리고, polyamine 합성대사의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버들송이와 말똥진흙버섯를 배양한 대두 추출물이 마우스 hepatoma Hepa1c1c7 cell 배양에서 QR과 GST 유도활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GSH 생성량은 버들송이를 배양한 대두 추출물에서 20%, 말똥진흙버섯를 배양한 대두 추출물에서 40%로 증가하였다. 한편, 버들송이와 말똥진흙버섯을 배양한 대두 추출물의 polyamine 합성대사의 억제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Acanthamoeba castellanii의 증식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버들송이와 말똥진흙버섯을 배양한 대두 추출물 20mg/3ml와 40mg/3ml를 처리할 경우 A. castellanii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담자균을 배양한 대두 추출물은 in vitro상에서 나타난 암과 관련된 각종 활성으로부터 암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rametes villosa Lignin Peroxidase (TvLiP): Genetic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 Carneiro, Rita Terezinha de Oliveira;Lopes, Maiza Alves;Silva, Marilia Lordelo Cardoso;Santos, Veronica da Silva;Souza, Volnei Brito de;Sousa, Aurizangela Oliveira de;Pirovani, Carlos Priminho;Koblitz, Maria Gabriela Bello;Benevides, Raquel Guimaraes;Goes-Neto, Aristoteles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179-188
    • /
    • 2017
  • White-rot basidiomycetes are the organisms that decompose lignin most efficiently, and Trametes villosa is a promising species for ligninolytic enzyme production. There are several publications on T. villosa applications for lignin degradation regarding the expression and secretion of laccase and manganese peroxidase (MnP) but no reports on th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gnin peroxidase (LiP), a relevant enzyme for the efficient breakdown of lignin.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partially characterize, for the first time, gDNA, mRNA, and the corresponding lignin peroxidase (TvLiP) protein from T. villosa strain CCMB561 from the Brazilian semiarid region. The presence of ligninolytic enzymes produced by this strain grown in inducer media wa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nalyzed by spectrophotometry, qPCR, and dye fading using Remazol Brilliant Blue R. The spectrophotometric analysis showed that LiP activity was higher than that of MnP. The greatest LiP expression as measured by qPCR occurred on the $7^{th}$ day, and the ABSA medium (agar, sugarcane bagasse, and ammonium sulfate) was the best that favored LiP expression. The amplification of the TvLiP gene median region covering approximately 50% of the T. versicolor LPGIV gene (87% identity); the presence of Trp199, Leu115, Asp193, Trp199, and Ala203 in the translated amplicon of the T. villosa mRNA; and the close phylo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vLiP and T. versicolor LiP all indicate that the target enzyme is a lignin peroxidase. Therefore, T. villosa CCMB561 has great potential for use as a LiP, MnP, and Lac producer for industrial applications.

한국산 구름버섯의 균주간(菌株間)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 비교(比較) (Comparisons of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n Coriolus versicolor Intraspecific Strains)

  • 박영도;황완균;허재두;김성환;박원목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13
    • /
    • 1989
  • 구름버섯에 있어 3계통(系統)의 한국산(韓國産)과 1종(種)의 일본산(日本産) 균주간(菌株間) 생리유전적(生理遺傳的) 유연관계(類緣關係)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各) 균주(菌株)의 생리적(生理的) 특징(特徵)과 전기영동법(電氣泳動法)에 의한 생화학적(生化學的)인 차이 및 인공재배(人工栽培)에 의한 자실체(子實體)의 형태(形態)를 비교(比較)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각(各) 균주(菌株)의 생육조건중(生育條件中) 배지(培地)의 선택성에는 대체로 동일한 경향(傾向)을 보였는데 고체배지상(固體培地上)에서는 PDA, CVT-I 그리고 MES가 양호했으며, 액체배지(液體培地)에서는 927과 CVT-III가 가장 양호하였다. 또 최적(最適) pH는 5.6이었으며 온도(溫度)는 $25{\sim}30^{\circ}C$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영동법(電氣泳動法)에 의한 단백질(蛋白質) 및 동위효소(同位酵素)들의 pattern에 있어서는 16001과 KD88001이 대체로 유사하였으나 다른 균주(菌株)들 간(間)에는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각(各) 균주(菌株)를 인공재배(人工栽培)하여 자실체(子實體)의 형태(形態)를 조사한 결과(結果) 16001과 KD88001은 형태(形態)나 색상(色相)에서 매우 유사함을 보여 동일 계통(系統)으로 나타났으나 16002와 CVT-80은 현저한 차이를 보여 서로 다른 계통(系統)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담자균으로부터 생산되는 균체 Laccases 및 이 효소의 유도특성 (Fungal laccases from basidiomycetes and their inducibility)

  • 안드레 레오노비치;엥 빌코오즈카;제이 로갈스키;김동훈;조남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27-139
    • /
    • 2004
  • Laccase는 여러개의 Cu를 포함하는 효소로서 분자상 산소를 환원시키면서 패놀성 및 비페놀성화합물의 산화를 촉매하는 작용을 한다. 이들 효소들은 미생물 고유의 혹은 유도상의 동위효소의 형태로 목질화된 세포벽을 침투하게 된다. 백색부후균은 많은 종류의 고유의 혹은 유도상의 동위효소를 생산한다. 이들 균체 laccase효소들은 통상 $Cu^{2+}$, $Cd^{2+}$ $Ca^{2+}$, $Li^+$, $Mn^{2+}$, $Ag^+$, $Hg^{2+}$, Mn 및 $Fe^{3+}$이온과 같은 금속이온들, 페놀성 화합물, ethanol, isopropanol, cAMP, caffeine, p-anisidine, viscosinamide 및 paraquat 등과 같은 유기화합물, 질소 및 열충격 등에 의하여 유도될 수 있다. Cu 및 pHB (p-hydroxybenzoic acid)의 조합으로 laccase 활성을 30배이상 유도시킬 수 있었다. 여러 가지 inducer 가운데, 2,5-xylidine이 담자균 및 기타 다른 고등균류로부터 160배이상의 가장 효과적인 laccase의 유도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laccase효소는 Pycnoporus cinnabarinus의 gene family로부터 자주 code로 표시되었는데, lcc3-1 혹은 lac1 및 lac3-2의 페어 gene으로 클론 및 시퀀싱되었다. 유도형 laccase의 경우 mRNA의 합성에 의존하여 laccase가 생성되며, 이러한 유도효과는 결국 새로운 단백질의 합성으로부터 기인된다.

  • PDF

담자균(擔子菌)에 관한 연구(硏究)(2) - 느타리와 목이의 진탕 배양(培養)에 의한 균사체(菌絲體) 생산(生産)에 관하여 - (Studies on Basidiomycetes(2) - Production of Mushroom Mycelium(Pleurotus ostreatus and Auricularia auricula-judae) in Shaking Culture -)

  • 홍재식;권용주;정기태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
    • /
    • 1983
  • 진탕배양에서 느타리와 목이의 균사체(菌絲體) 생산(生産)에 대한 실험(實驗)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균사체생산(菌絲體生産)에 양호(良好)한 탄소원(炭素源)은 P. ostreatus경우 glucose와 mannitol이었고 A. auricula-judae는 mannitol과 fructose이었다. 유기산(有機酸)중에서는 양균주(兩菌株) 모두 fumaric acid에서 제일 양호(良好)하였다. 2. 균사체생산(菌絲體生産)에 양호(良好)한 질소원(窒素源)은 P. ostreatus 경우 peptone, urea와 asparagin, DL-threonine이 었고 A. auricula-judae는 peptone, Casamino acid와 L-Serine, DL-threonine이었다. 3. 균사체생산(菌絲體生産)에 양호(良好)한 vitamin은 A. auricula-judae 경우 folic acid, thiamine이었고 A. auricula-judae는 folic acid, inositol, riboflavin이었다. 4.양균주(兩菌株)가 $MgSO_4$는 0.08%, $KH_2PO_4$ 0.2%에서 균사체생산(菌絲體生産)이 양호(良好)하였다. 5. 균사체생산(菌絲體生産)의 최적온도(最適溫度)와 pH는 P. ostreatus에서 $25{\sim}30^{\circ}C$, $pH\;5.5{\sim}6.0$이고 A. auricula-judae에서 $25{\sim}30^{\circ}C$, $pH6.0{\sim}7.0$이었다.

  • PDF

담자균류(擔子菌類)에 의(依)한 섬유질류(纖維質類) 분해(分解)에 관(關)한 연구(硏究) (Decomposition of Fiber by the Basidiomycetes)

  • 김삼순;김기주
    • 한국균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6
    • /
    • 1975
  • 담자균(擔子菌) Pleurotus ostreatus, Pholiota nameko, Flammulina velutipes가 생산(生産)하는 각종(各種) 효소(酵素)에 의(依)한 톱밥류와 농산물 폐물인 고구마줄기, 옥수수대 및 보리짚의 영양사료(榮養飼料)에 관하며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활엽수, 포플라 및 밤나무의 톱밥과 고구마줄기 옥수수대 및 보리짚의 비율을 $42{\sim}49$ 대(對) 30으로 조절(調節)하고 쌀겨 $18{\sim}25$의 비율로 배합한 기질(基質)에서 수분함량(水分含量) $67{\sim}70%$, 온도(溫度) $24{\sim}26^{\circ}C$가 발육(發育)에 적합(適合)하였다. 2. 20일간(日間) 각시험구(各試驗區)에서 생장(生長)시킨 후(後) 원료기질중(原料基質中)의 섬유를 조사(調査)한 바, $47{\sim}50%$ 분해(分解)하여 다당류화(多糖類化)시켰고 리그닌은 $20{\sim}25%$ 분해(分解)하였고 단백질함량은 처음의 약 3배량(倍量)이었다. 3. 조(粗)섬유의 농후사료화(濃厚飼料化)가 가능(可能)하였다.

  • PDF

담자균(擔子菌)이 생산(生産)하는 효소(酵素)에 관한 연구(硏究) - 제1보(第一報). 조효소(粗酵素)의 생산(生産)에 관하여 - (Studies on the Enzymes Produced by Basidiomycetes - Part 1. The Production of Crude Enzymes -)

  • 홍재식;김동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1호
    • /
    • pp.7-14
    • /
    • 1981
  • 몇개의 담자균류(擔子菌類)중 볏짚배지(培地)에서 효소생산(酵素生産)이 양호(良好)하고 균사생육(菌絲生育)이 빠른 균주(菌株)로 P. ostreatus 301과 L. edodes 3-1을 선정(選定)하여 이들 균주(菌株)의 효소생산(酵素生産)에 대한 최적배양조건(最適培養條件) 및 배지(培地)에 부원료(副原料)와 무기염류(無機鹽類)를 첨가(添加)했을때 효소생산(酵素生産)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Cellulase와 xylanase의 생산(生産)은 L. edodes 3-1이 protease는 P. ostreatus 301이 우수하였다. 2) 효소생산(酵素生産)의 최적조건(最適條件)은 배양온도(培養溫度)가 cellulase는 $30^{\circ}C$, xylanase와 protease는 $25^{\circ}C$, 수분함량(水分含量)은 75%, $pH\;5.0{\sim}6.0$이었다. 3) 배양기간(培養期間)은 P. ostreatus 301이 30일(30日) L. edodes 3-1은 35일(35日) 배양(培養)했을때가 효소생산(酵素生産)이 양호(良好)하였다. 4) 부원료(副原料)중에서는 대두박(大豆粕), 유채박(油菜粕), 참깻묵을 첨가(添加)했을때가 효소생산(酵素生産)은 양호(良好)하였으나 균사생육(菌絲生育)은 오히려 불량(不良)하였으며 미강첨가량(米糠添加量)은 30%첨가(添加)에서 좋았다. 5) 무기염류(無機鹽類)의 첨가(添加)는 대체적으로 효소생산(酵素生産)에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CaCO_3$는 5%, $CaSO_4$는 2% 첨가구(添加區)에서 좋았다.

  • PDF

구름버섯의 균사배양액 및 자실체로부터 얻어진 단백다당체의 수율비교 (Comparisons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 Contents Obtained from Mycelial Cultured Broth and Fruit body of Coriolus versieolor)

  • 박영도;홍용기;황완균;허재두;박신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23-228
    • /
    • 1989
  • 구름버섯의 균사체배양액과 자실체로부터 높은수율의 단백다당체를 얻기 위하여 균주 및 배지별에 따른 차이와 폐기물을 이용한 균배양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계통이 다른 4종의 균주 중에서 16002 균주가 0.58%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나머지 3균주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평판배지상에서 균사의 생장이 양호했던 배지들 중 액내 배양하여 단백다당체를 추출한 결과 CVT-III가 0.51%로 가장 양호했으며 각 배지간에는 큰 차이를 보였다. 약재추출박과 구름버섯의 자실체 추출박을 배지의 성분으로 이용했을 때 구름버섯의 추출박을 이용한 배지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대등한 수율을 나타냈으며 인삼추출박을 첨가했을 때는 11.4-48%의 수율증가를 보였다. 인공재배를 한 자실체간에 있어 단백다당체의 수율을 비교했을 때 균사배양액에서와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높은 수율의 단백다당체를 얻기 위해서는 어린시기에 자실체를 수확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 PDF

Anti-Varicella Zoster Virus Activity of Water Soluble Substance from Elfvingia applanata Alone and in Combinations with Acyclovir and Vidarabine

  • Kim, Soo-Dong;Eo, Seong-Kug;Kim, Young-So;Han, Seong-S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107-111
    • /
    • 1999
  • To investigate less toxic antiviral agents from Basidiomycetes, EA, the water soluble substance, was isolated from the carpophores of Elfvingia applanata (pers.) Karst. Anti-varicella zoster virus (Oka strain; anti-VZV/Oka) activity of EA was examined in MRC-5 cells by plaque reduction assay in vitro. And the combined antiviral effects of EA with nucleoside anti-VZV agents, acyclovir and vidarabine, were examined on the multiplication of VZV/Oka. EA exhibited a concentration-dependent reduction in the plaque formation of VZV/Oka with a 50% effective concentration $(EC_{50})$ of $464.14\;{\mu}g/ml$. The results of combination assay were evaluated by the combination index (CI) that was calculated by the multiple drug effect analysis. The combination of EA with acyclovir showed more potent synergism with CI values of $0.18{\sim}0.62$ for $50{\sim}90%$ effective levels than that of EA with vidarabine with CI values of $0.67{\sim}1.04$.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