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c vocational competenc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156초

치과위생사의 전문직업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기초능력요소 (Vocational Competency Constituents Affecting the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ists)

  • 양승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558-6566
    • /
    • 2015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전문직업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기초능력요소를 추출하고자 2013년 12월부터 2014년 2월까지 대학병원, 치과병(의)원, 보건(지)소에 각각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30명 중 207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일반적 사항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및 전문직업성은 one-way ANOVA 및 t-test를 이용하여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초직업능력 구성요소는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표준화 회귀계수(${\beta}$)로 나타냈다. 연구 결과 자기개발능력, 조직이해능력과 수리능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자기개발능력은 토의법, 조직이해능력은 팀티칭을 통해 교수-학습 방법을 진행하고, 인턴쉽과 현장실습을 보다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운영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신입생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의 전문직업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기초능력 요소를 분명히 주지시키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학생 개인과 학과, 대학차원의 노력과 프로그램 개발이 선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을 활용한 평생 직업능력 개발 일본 사례 연구 (Case of Japan on the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Utilizing the University)

  • 김재훈;조준희;이상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57-62
    • /
    • 2016
  • 본 사례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사례를 분석하여 대학의 평생직업 능력개발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평생학습의 보편화를 위해 일과 학습을 구분 짓는 시각에서 벗어나 일과 학습이 순환되고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본의 경우 경제사회가 고도 성장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세계를 선도하는 기술력과 그 기술력을 지탱하는 인재에 의해서 발전을 이룩해 왔다. 세계화 속에서 지금까지 축적해 온 기술과 인재를 활용하면서 한층 더 경제성장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성장이 예상되는 분야의 인재육성 경제 전체의 성장으로 연결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일본의 대학은 "생애학습 진흥을 위한 시책 추진체재 등의 정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후 본격적으로 직업능력개발에 참가하여 교육기본법에 생애학습의 이념을 새롭게 규정하여 평생 직업능력개발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재챌린지를 위한 학습지원 사업과 시즈오카대학의 위탁업무 코스에 대한 사례를 기반으로 대학을 활용한 평생 직업능력 개발 연구 자료를 이용하여 현장실습의 대한 실습능력을 강화시키고 현장실습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교육요구도 분석 (Educational needs analysis for key vocation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 황영희;박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95-603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기초능력 항목의 현재수준과 중요수준을 파악하고, 직업기초능력 항목에 대한 교육요구도 우선순위를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도권, 강원 및 중북권 소재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 6월 1일부터 6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411명의 응답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정,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기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은 직업기초능력항목 중 '직업윤리능력',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의 현재수준은 높은 것으로 인식하였고, '의사소통'과 '조직이해능력'의 현재수준은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간호대학생은 직업기초능력 항목 중 '직업윤리능력', '자기개발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원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 '수리능력'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직업기초능력 10개 항목 모두 중요수준과 현재수준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우선순위 분석결과 '의사소통', '문제해결', '자원관리', '자기개발'의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교육요구도를 고려한 직업기초능력의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예비보육교사의 직업기초능력, 교직 인·적성, 행동유형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Teaching Personality·Aptitude, and Behavior Type of Preschool Teachers)

  • 임명희;박윤조;김성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45-16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의 NCS 직업기초능력, 교직 인 적성 및 DISC 행동유형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D대학의 예비보육교사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NCS 직업기초능력측정검사', '교직 인 적성 검사도구', 그리고 'DISC 행동유형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계수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도성의 성격요인은 수리능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교성의 성격요인은 자기개발능력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안정성의 요인은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기초능력과 교직 인 적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직 인 적성의 요소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주도성의 특성은 문제해결력/탐구력, 판단력, 창의/응용력, 지도성, 지식/정보력, 계획성, 성실/책임감과 같은 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난 반면에서 안정성은 문제해결력. 탐구력, 판단력, 창의응용력, 지도성, 성실/책임감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화 고등학교의 섬유·의류 전문 교과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제안 (Analysis and Proposal of the Textiles and Clothing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 이지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13-129
    • /
    • 2022
  •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의 섬유·의류 전문 교과 교육과정 중 의류 관련 학과의 교과목 개설 현황을 바탕으로 의류 관련 학과 교육과정 및 내용을 분석하고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자료와 문헌을 분석하고, 의류 관련 학과 전공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후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과목으로는 '패션 디자인의 기초' 또는 '의복 구성의 기초'가 개설된 학교 수가 많았다. 이는 특성화 고등학교 의류 관련 학과에서 기술 교육이 우선시 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론 교과목에 대한 보다 현실적이고 교육 가능한 부분에 대한 논의와 탐색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실무 과목에서도 기초 과목의 선택 결과와 비슷하게 2~3과목에 편중되어 개설된 현황을 살펴볼 수 있었다. 반면, 많은 기자재와 높은 기술력의 필요한 '니트 의류 생산' 교과목과 '가죽·모피 디자인 생산'의 교과목에 대해서는 교육부 차원에서의 교사 연구 기회 확대 및 기자재 확충 사업이 구성되기를 희망한다. 셋째, 실무 과목 내의 NCS 능력 단위 편제의 경우 실습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이 수업을 진행하는 데 용이하거나, 각각의 학과에서 제시한 인력 양성 유형과 밀접한 능력 단위에 집중되어 있었다. 넷째, 의류 교사들의 설문과 FGI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직업 탐색을 고려한 선택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기술 교육이 진행되기 위한 산업체와 연계된 교사 연수와 기자재 및 실습 부자재 지원이 학교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차기 섬유·의류 전문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의류 관련 학과의 교과 교직 과목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교에서 특성화 고등학교 현장 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기를 기대한다. 또한, 학생들에게는 전공 관련 교과목의 선택권을 확대함으로써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는 시점에서 의류과 관련 교과목 개발 및 안착에도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수산·해운계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요소 개발 (A Development of the Elements on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Students)

  • 이상철;원효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627-638
    • /
    • 2014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sis the elements associated with a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students. Fisheries & maritime key competencies were defined as the abilities that include the essential knowledge, skills, attitude, and experiences required for the workforce on the fisheries and maritime job condition. This research collected preliminary data from 177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 teachers. Data were analyzed to obtain item quality,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argely, fisheris & maritime key competencie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basic vocational skills and fisheries-maritime job skills. Second, fisheries & maritime key competencies were consisted of communicative competence, numeracy skills, thinking skills,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self-management skills, interpersonal competency, selection & application of alternative, marine technology & information skills, marine consciousness and maritime professional ethics. Third, each key competency consisted of 2-9 sub-competencies.

전문대학 졸업생 역량 분석을 통한 전문대학 교육과정 방향성 제고 (A Suggestion on College Curriculum through the Competencies analysis of College Graduates)

  • 이병화;김수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448-545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졸업생의 전공지식과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역량을 분석해 보고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선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전문대학 졸업생 23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전공지식과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졸업생의 역량중요도-역량실행도를 분석하고, 역량중요도와 대학기여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대응표본 t-test와 IPA를 활용하였다. 전공지식과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역량중요도와 역량실행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12개 영역에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PA 분석 결과 1사분면에 4개 영역, 2사분면에 1개 영역, 3사분면에 4개 영역, 4사분면에 3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역량중요도와 대학기여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12개 영역 모두 유의수준 .001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역량중요도에 비해 대학기여도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전문대학에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 있어 실질적인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자동차정비직무를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Development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for Automotive Maintenance)

  • 지명석;노희규;한영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2권2호
    • /
    • pp.81-87
    • /
    • 2014
  • 자동차정비직무의 "일과 학습의 연계"를 위해 현장에서 필요한 직무수행능력을 기준으로 자동 차정비 분야에 대한 교육훈련과 자격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자동차정비 현장전문가들이 국가직무 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자동차정비직무의 국가 직무능력표준 개발영역과 직무체계를 수립하였고 직무능력단위별 수행준거, 지식, 기술, 태도 및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자동차정비직무의 능력단위별 직업기초능력의 영역별 수준을 제시하였으며 자격기준안을 제시하여 교육과 평가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공작실습에서 프로젝트 학습법의 적용이 학생들의 직업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the Practice for the Arts and Crafts by machine for Project Based Learning upon Improving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Key Competency for Vocation)

  • 이영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4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프로젝트 학습법에 의한 기계공작실습이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이와 유사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현직교사 및 예비교사들에게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 관심을 둔 직업기초능력은 의사소통 능력, 정보활용 능력, 팀워크 능력, 문제해결 능력, 도구활용 능력, 책임감 및 자신감 영역이었다. 이 여섯가지 영역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따라서, 전통적인 실습 방법보다 프로젝트 학습법의 적용이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로 공업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해 그리고 후속연구의 질적 제고를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정보활용능력과 같은 직업기초능력이 있는 인재들을 효과적으로 양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모색과 활용이 필요하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교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보다 객관적인 검사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프로젝트 학습법은 학습자들의 전인적 직업기초능력을 함양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에 비추어볼 때, 공업계 고등학교의 수업개선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와 적용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학습법에 대한 교원연수를 강화하고 다양한 지원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교사의 역량 분석 (Analysis of Competency of Nursing Teacher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 윤인경;장명희;곽미선;박지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3호
    • /
    • pp.85-111
    • /
    • 2018
  • 이 연구는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의 역량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 태도를 도출하여 역량군과 하위역량을 검증하고,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특성화고 간호과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3명을 전문가 패널로 선정하여 델파이와 계층화분석(AHP) 기법을 적용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의 역량군과 하위역량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의 역량군은 교수 학습 지도, 학생지도,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학교 경영 지원, 산학 및 대외협력, 자기계발 및 전문성 향상으로 총 6개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역량은 담당교과 관련 전공 지식 및 기술, 수업계획 및 준비, 수업 운영, 실험 실습 지도, 수업평가, 교수 학습매체 개발 및 활용, 수업환경 조성, 교과 외 학생 교육활동 지도, 진로 지도, 생활 지도, 학급 경영, 기술 및 자격취득 지도, 학교 교육과정 개발 지원,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현장실습 계획 및 운영, 업무기획, 학교경영업무 지원, 교사 평가 및 인사관리 지원, 학습지원(실습실 및 기자재) 관리, 산학협력 구축 및 운영, 지역사회 협력 강화, 학교(학과) 홍보, 교육활동 개선을 위한 현장연구, 학회 및 연수 참여, 최신 지식과 기술의 탐구와 정보활용, 동료 교사 장학으로 총 26개로 도출되었다. 상대적 중요도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되는 역량군은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이었으며, 역량군별로 우선순위가 높게 나온 하위역량은 실험 실습 지도, 기술 및 자격취득 지도, 현장실습 계획 및 운영, 학습지원(실습실 및 기자재), 관리와 업무 기획, 산학협력 구축 및 운영, 최신 지식과 기술의 탐구와 정보 활용이었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역량 체계는 향후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의 양성교육 및 연수 그리고 교원 평가에 적용하고,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