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eflow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31초

중소유역의 일별 용수수급해석을 위한 하천망모형의 개발(I) - 중소유역의 일유출량 추정 - (A Streamflow Network Model for Daily Water Supply and Demands on Small Watershed (1) -Simulating Daily Streamflow from Small Watersheds-)

  • 허유만;박창헌;박승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0-49
    • /
    • 1993
  •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were to develop a modified tank model that is capable of simulating daily streamflow from a small watershed using daily watershed evapotranspiration and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to different watersheds. Tank model was restructured to consist of three series of tanks, each of which may mathematically reflect watershed runoff mechanisms from different components of surface runoff, interflow, and baseflow. And pan evaporation was correlated to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stimated from a combination method, and was multiplied by monthly crop and landuse coefficients, and watershed storage coefficient to estimate the watershed evapotranspiration losses. Ten watersheds were selected to calibrate model parameters that were defined using an optimization scheme, and the results were correlated with watershed parameters. Simulated daily runoff was compared to the observed ones from the tested watersheds. The simulating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values when optimal and calibrated parameters were used. Ungaged conditions were also applied to compare simulated values to the observed. And the results were in fair conditions for all the tested watersheds which differ considerably in their sizes, landuse types, and physiological features.

  • PDF

경사급변점을 이용한 기저유출분리와 Nash 모형에 의한 대표단위도 추정 (Separation of Baseflow using Antecedent Recession Requirement and Estimation of Representative Unit Hydrograph by the Nash model)

  • 정진영;강부식;차영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62-1767
    • /
    • 2007
  • 일반적으로 유역의 대표단위도 산정에는 적용의 간편성을 이유로 수평직선분리법을 주로 사용하여 왔으며 이를 단기호우사상에 대한 모의에 적용해 왔다. 그러나 수평직선분리법에 의한 기저유량의 산출은 연구자의 주관성이 반영될 수 있는 가능성이 다분하며 총유출에 대한 기저유출의 기여가 상대적으로 크게 되는 장기유출모의에 대해서는 그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유출모의에서는 신뢰성있는 기저유출분리를 통한 합리적인 대표단위도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USGS(U.S GEOLOGICAL SURVEY)에서 개발한 기저유출분리 프로그램인 PART(stream flow Partitioning)를 이용하여 기저유출을 분리하고 Nash 모형을 이용하여 유역의 대표단위도를 유도했으며 검증을 위해 강우-유출 모형인 HEC-HMS에 유도된 대표단위도와 합성단위도를 적용하여 실제유출량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Nash모형의 매개변수를 n은 6.4, K는 0.33으로 산정할 수 있었고, PART에 의해 기저유출을 분리하여 유도된 단위도가 수평직선분리법에 의해 유도된 대표단위도 보다 장기유출모의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실측유출량과 모의유출량의 첨두값에 대한 오차도 PART에 의한 방법이 더 작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관개기관중 답유역에서의 강우유출량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infall runoff from paddy fields in the small watershed during Irrigation period)

  • 김채수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9-108
    • /
    • 1982
  • This thesis aims to estimate the rainfall runoff from paddy field in a small watershed during irrigation period. When the data observed at the proposed site are not available, the Monthly Runoff Equation of Korean Rivers which was derived from data observed under the following assumptions is used to study the water balance. a. Monthly base flow was assumed as 10. 2mm even if these is no mouthly rainmfall. b. Monthly comsumption of rainfall was ranged from 100 to 2OOmm without relation to the rainfall depth. However, the small watershed which consists mainly of paddy fields encounters severe droughts and accordingly the baseflow is negligible. Under the circumstances the author has developed the following equation called "Flood Irrigation Method for Rainfall Runoff "taking account of the evapotranspiration, precipitation, seepage, less of transportation, etc. R= __ A 7000(1 +F) -5n(n+1)+ (n+1)(Pr-S-Et)] where: R: runoff (ha-m) A: catchment area (ha) F: coefficient of loss (o.o-0. 20) Pr: rainfall (mm) S: seepage Er: evapotranspiration (mm) To verify the above equation, the annual runoff ratio for 28 years was estimated using the Monthly Runoff Equation of Korean Rivers the Flood Irrigation Method and the Complex Hydrograph Method based on meteorological data observed in the Dae Eyeog project area, and comparison was made with data observed in the Han River basin. Consequently, the auther has concluded that the Flood Irrigation Method is more consi- stent with the Complex Hydrograph Method and data observed than the Monthly Runoff Equation of Korean Rivers.

  • PDF

SWAT BFlow 프로그램을 이용한 계절별 alpha factor 적용 (Application of Seasonal Alpha Factor using SWAT BFlow Program)

  • 강현우;류지철;금동혁;정영훈;임경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62-462
    • /
    • 2012
  • 수문 분석과 갈수기 유량 산정, 가뭄관리에 직접/기저 유출 분리 및 평가는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많은 모형들이 개발되었고, 실제 유역에 적용되어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이들 중 Baseflow filter program(BFlow)을 이용한 감수곡선의 Alpha factor 산정 방법이 직접/기저 유출 분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BFlow는 장기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그 유역을 대표할 수 있는 Alpha factor 만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계절별/연별로 변화하는 감수곡선의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기에는 많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절별로 변화하는 감수곡선 특성을 조금 더 정확하게 실제 유역에 적용하기 위하여 BFlow 프로그램이용, 장기간의 유량 특성을 분석하여 계절별 Alpha factor를 산정하고 이를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 모형에 적용하여 기존의 방법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SWAT 모형의 경우 alpha factor가 실제로는 Hydrologic Response Unit (HRU) 별로 활용되기 때문에, 계절별 Alpha factor 산정이 미치는 영향이 실제로 다소 크게 분석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저유량 부분의 차이를 면밀히 분석하여 Alpha factor 저유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SWAT 모형의 단점인 저유량 산정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유역관리모형을 이용한 금강유역 유출특성 해석 (Analysis of Runoff Characteristics in the Geum River Basin using Watershed Management Model)

  • 류경식;황만하;맹승진;이상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27-534
    • /
    • 2007
  • To operate scientifical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t needs to identify clearly the quantitative variation and moving pathway of water resources in a basin. Moreover, it needs to also estimate more precisely the amount of runoff generating from the precipitation. Thus, in this study, to carry out more reliable hydrologic analyses, the runoff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etailed runoff components and water balance in a basin are analyzed. As a result of yearly water balance analyses, during the period of drought year, the loss is bigger than that of 6-year mean loss and the return flow of groundwater is the most dominant component of runoff. During the period of flood year, the loss is smaller about 4% than that of 6-year mean loss and the subsurface water is the most dominant component of runoff. The loss due to the interception and evapotranspiration for 6-year mean loss is about 53% of the total rainfall, the mean runoff ratio is about 27% and the baseflow is about 22%.

유역 모델 특성 및 국내 적용 현황과 발전 방향에 대한 검토 (Review of Features and Applications of Watershed-scale Modeling,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it in South-Korea)

  • 박윤식;류지철;김종건;금동혁;임경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92-610
    • /
    • 2020
  • In South Korea, the concept of water environment was expanded to include aquatic ecosystems with the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mplementation. Watershed-scale modeling is typically performed for hydrologic component analysis, however, there is a need to expand to include ecosystem variability such that the modeling corresponds to the social and political issues around the water environment. For this to be viable, the modeling must account for several distinct features in South Korean watersheds. The modeling must provide reasonable estimations for peak flow rate and apply to paddy areas as they represent 11% of land use area and greatly influence groundwater levels during irrigation. These facts indicate that the modeling time intervals should be sub-daily and the hydrologic model must have sufficient power to process surface flow, subsurface flow, and baseflow. Thus, the features required for watershed-scale modeling are suggested in this study by way of review of frequently used hydrologic models including: Agricultural Policy/Environmental eXtender(APEX), Catchment hydrologic cycle analysis tool(CAT),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HSPF), Spatio-Temporal River-basin Ecohydrology Analysis Model(STREAM), and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

보스턴 넷폰셋강의 수질체계에 대한 스왓모델의 교정과 유효성 검증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SWAT for the Neponset River Watershed in Boston)

  • 이자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9-26
    • /
    • 2008
  • SWAT 기법은 자연지형을 기반으로 수질관련 현상을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하며 복합적인 수질 체계를 연구하는데 널리 쓰여왔다. 이는 기후와 관련된 온도, 강수량을 주 데이터로 소규모 지역단위부터 광범위한 지표면의 수질 체계를 토양, 토지이용 행태, 그리고 경사면의 정도와 연계시켜 지역적 토양과 수질의 특성을 파악한다. 모든 자료는 일간으로 구성되며 첫 일정 연도는 데이터의 셋업과정으로 분석이 되고 중간의 일정 연도는 변화정도를 파악하는 기간으로 활용이되며, 마지막 일정연도는 검증과정으로 분석이 된다. SWAT 기법은 수질오염은 물론, 지표면의 오염형태를 파악함으로써 농업활동의 분석과 연구에 도움을 주고, 도시에서 배출되는 오염원의 유형과 그것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해 내어 지역 환경개발에 유익한 모델 기법이다. 지역적인 수질 환경을 모델화시키기 위하여 수치의 교정과정이 필요하고 지속적인 연구로 활용하기 위하여 어떠한 인자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가에 관한 차후 분석이 뒤따르고 있으며, 결과화된 수치의 유효성 검증이 중요시되고 있다. SWAT 2005 버전은 ArcView 3.3과 ArcGis9.1에서 공간분석이 가능하다.

  • PDF

민감도 분석을 통한 분산형 연속 강우유출모형(HYSTAR)의 수문학적 거동 평가 (Evaluating Hydrologic Behavior of Hydrology Simulation using Time Area (HYSTAR) Model through Sensitivity Analysis)

  • 허용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7권3호
    • /
    • pp.41-54
    • /
    • 2015
  • 시간-면적 기법을 이용해 유역의 수문과정을 묘사하는 분산형 (distributed) 연속 (continuous) 강우유출모형인 HYSTAR의 거동특성과 주요 매개변수에 대한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유역의 수문조건에 따른 모형거동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연속되는 4개의 개별 강우사상에 대한 민감도를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또한, 매개변수의 상호작용이 민감도 분석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두 가지 서로 다른 기법 (one-factor-at-a-time 과 all-factor-at-a-time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된 민감도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모형의 직접유출량, 첨두유량 및 도달시간 모의결과는 유출곡선번호 (curve number)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양의 깊이, van Genuchten 식의 매개변수, 작물계수에 큰 영향을 받았다. 한편, 모의된 기저유출량은 토양의 깊이를 비롯하여 van Genuchten 식의 매개변수, 작물계수 (crop coefficient), 이방성계수 (anisotropic coefficient), 유출곡선번호의 변화에 민감하였다. 매개변수에 대한 민감도는 분석에 이용된 강우사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유역의 토양수분조건에 따라 다르게 거동하는 모형의 중요한 특성을 잘 반영하였다. 두 가지 서로 다른 기법을 이용한 민감도 분석결과는 모의된 직접유출량 및 기저유출량의 변화가 매개변수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한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는 HYSTAR 모형의 매개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서 해당 모형의 거동을 정량적으로 보여주었고, 이를 통해 모형의 건전성 (soundness)을 입증할 수 있는 하나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HYSTAR 모형을 이용한 수문분석 시 보정을 위한 매개변수 선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민감도의 수문조건 (또는 선정된 강우사상)에 대한 의존성은 연속유출 모형의 민감도 분석을 위한 강우 사상 선정 및 민감도 분석결과의 해석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HSPF 모형을 이용한 안양천 유역의 물순환 및 BOD 부하량 분석 (Analysis of Hydrologic Cycle and BOD Loads Using HSPF in the Anyancheon Watershed)

  • 이길성;정은성;이준석;홍원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8호
    • /
    • pp.585-60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안양천 유역에 대해 HSPF 모형을 구축하고 중유역과 전체유역의 물순환 현황 및 BOD 부하량을 정량적으로 파악하였다.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HSPF모형의 수량 및 BOD 농도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매개변수를 선택하였다. 또한 다양한 특성을 갖고 있는 안양천 유역을 토지이용, 경사도 및 사용한 기상자료 등에 따라 4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검 보정을 실시하여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물순환 모의 결과 하류로 갈수록 도시화 비율이 높으며 이로 인해 기저유출량은 11.1 % $\rightarrow$ 5.0 %로 줄어들고 직접유출량은 42.5 % $\rightarrow$ 56.9 %로, BOD 농도는 3.3 mg/L $\rightarrow$ 15.0 mg/L로, 단위면적당 원단위는 55.4 kg/ha/year $\rightarrow$ 354.5 kg/ha/year로 늘어났다.

토양-식생-대기 이송모형내의 육지수문모의 개선 (Improvements to the Terrestrial Hydrologic Scheme in a Soil-Vegetation-Atmosphere Transfer Model)

  • 최현일;지홍기;김응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529-534
    • /
    • 2009
  • Climate models, both global and regional, have increased in sophistication and are being run at increasingly higher resolutions. The Land Surface Models (LSMs) coupled to these climate models have evolved from simple bucket models to sophisticated Soil-Vegetation-Atmosphere Transfer (SVAT) schemes needed to support complex linkages and processes. However, some underpinnings of terrestrial hydrologic parameterizations so crucial in the predictions of surface water and energy fluxes cause model errors that often manifest as non-linear drifts in the dynamic response of land surface processes. This requires the improved parameterizations of key processes for the terrestrial hydrologic scheme to improve the model predictability in surface water and energy fluxes. The Common Land Model (CLM), one of state-of-the-art LSMs, is the land component of the Community Climate System Model (CCSM). However, CLM also has energy and water biases resulting from deficiencies in some parameterizations related to hydrological processes. This research presents the implementation of a selected set of parameterizations and their effects on the runoff prediction. The modifications consist of new parameterizations for soil hydraulic conductivity, water table depth, frozen soil, soil water availability, and topographically controlled baseflow. The results from a set of offline simulations are compared with observed data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new model. It is expected that the advanced terrestrial hydrologic scheme coupled to the current CLM can improve model predictability for better prediction of runoff that has a large impact on the surface water and energy balance crucial to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stud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