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nyardgrass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18초

홀로그램(H) QSAR 방법에 따른 1-(5-methyl-3-phenylisoxazolin-5-yl)methoxy-2-chloro-4-fluorobenzene 유도체들의 Protox 저해 활성에 관한 이해 (Understanding the Protox Inhibition Activity of Novel 1-(5-methyl-3-phenylisoxazolin-5-yl)methoxy-2-chloro-4-fluorobenzene Derivatives Using Holographic 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HQSAR) Methodology)

  • 송종환;박경용;성낙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3호
    • /
    • pp.351-356
    • /
    • 2004
  • HQSAR 방법으로 일련의 새로운 1-(5-methyl-3-phenylisoxazolin-5-yl)methoxy-2-chloro-4-fluorobenzene 유도체들중 A = 3,4,5,6-tetrahydrophthalimino, B = 3-chloro-4,5,6,7-tetrahydro-2H-indazolyl 및 C = 3,4-dimethylmaleimino 치환체들의 구조 변화에 따른 벼(Orysa sativa L.)와 논피(Echinochloa crus-galli) 뿌리와 줄기부위 사이의 살초활성 관계를 연구하였다. 두 가지 초종의 뿌리와 줄기의 살초활성에 대하여 유도된 4개의 HQSAR 모델들은 예측성, cross-validated $r^2\;_{cv.}$$(q^2\;=\;0.760{\sim}0.924)$, non-cross-validated 상관계수$(r^2\;_{cv.}\;=\;0.868{\sim}0.970)$ 및 PRESS 값$(0.123{\sim}0.261)$에 근거하여 매우 양호한 통계값들을 나타내었다. 유도된 HQSAR 모델들은 벼 보다는 논피에 대하여 양호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CoMFA 모델에 비하여 예측성은 좋았으나$(q^2\;=\;HQSAR\;>\;CoMFA)$ 저해활성과의 상관성은 약간 낮은$(r^2\;=\;HQSAR\;<\;CoMFA)$ 경향이었다. 또한, HQSAR 기여도로부터 논피에 대한 선택적인 살초활성은 2-fluoro-4-chloro-5-alkoxy anilino 및 C-phenyl 고리상 $R_3-$치환기에 의존적임을 알았다.

Oxyfluorfen에 대한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의 생리활성(生理活性) 기구(機構) - II. 잎 표면(表面), 해부(解剖) 및 미세구조(微細構造) 반응(反應) (Different Physiological Activity of Selected Rice Cultivars to Diphenylether Herbicide, Oxyfluorfen - II. Different Anatomical and Ultrastructural Responses)

  • 국용인;구자옥;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4-63
    • /
    • 1996
  • Oxyfluorfen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과 감수성(感受性)인 피에 대하여 oxyfluorfen 처리에 따른 잎 표면구조(表面構造) 및 해부(解剖) 특성(特性)과 미세구조(微細構造) 반응(反應)을 관찰하였으며, 유이제초제(類似除草劑)에 대한 해부학적(解剖學的) 변화를 비교 관찰하였다. 1.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들은 oxyfluorfen 처리에 따른 잎 면적(表面)의 구조적(構造的)인 피해를 볼 수 없었으나, 감수성(感受性)인 벼품종(品種)은 납질(蠟質)의 손상이 크고, 감수성(感受性)인 피는 조직이 불규칙하게 붕괴되는 현상까지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과 피에서는 엽신(葉身)의 두께 감소도 컸다. 2.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들은 oxyfluorfen 처리에 따른 해부학적(解剖學的)인 변화가 적었으나,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과 피에서는 표피세포(表皮細包), 엽육세포(葉肉細包) 및 유관속초세포의 파괴가 컸으며 특히, 처리 후 24시간의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에서는 조직이 완전히 붕괴되었다. 3. Oxyfluorfen 처리에 의해 chloroplast 모양의 불규칙성과 chloroplast envelope의 distortion이 전반적으로 관찰되었고, 전분(澱粉)도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이와 같은 구조적(構造的) 손상은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보다는 감수성(感受性)인 벼품종(品種)과 피에서 더 심했다. 4. Oxyfluorfen과 유사한 제초제(除草劑) 처리에 의하여서도 엽신(葉身)의 두께 감소는 oxyfluorfen > acifluorfen > bifenox > oxadiazon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보다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에서 더 커지는 경향이었다. 특히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은 oxyfluorfen과 bifenox 처리 후 24시간에 이미 표피세포(表皮細包) 및 유관속초세포 손실 등으로 조직이 상하게 붕괴되는 현상을 보였다.

  • PDF

벼와 피에 대한 Fenoxaprop-ethyl의 이성체효과 (Chiral effect of fenoxaprop-ethyl on rice (Orysa sativa) and barnyardgrass (Echinochloa crus-galli))

  • 김태준;김진석;최정섭;장해성;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8-61
    • /
    • 2001
  • Fenoxaprop-ethyl R(+), S(-) 및 racemic mixture의 벼와 피에 대한 온실조건에서 제초활성 및 선택성과 aryloxyphenoxypropionate계열 제초제의 작용점으로 알려진 ACCase의 억제정도를 비교하였다. 온실에서의 벼와 피에 대한 식물체반응에서 R(+) 이성체가 가장 강한 생육저해를 보였고, S(-) 이성체에서 가장 약한 반응을 나타내어 fenoxaprop-ethyl R(+) 이성체가 활성형태임을 확인하였다. 온실에서 피에 대한 억제정도는 ACCase에 대한 in vitro 억제반응의 결과와 일치하여 fenoxaprop의 작용점은 효소 ACCase임을 알았다. 벼, 피간의 선택성 지수의 비교에서 온실실험의 결과 R(+)과 racemic mixture인 경우에는 각 각의 값이 0.6과 0.8로 비교적 낮았으나, S(-) 이성체의 경우에는 약 1.5로써 S(-) 이성체의 벼에 대한 안전성 폭이 R(+) 이성체보다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경향이 in vitro수준에서는 이성체간 선택성지수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작용점상에서 fenoxaprop-ethyl의 벼, 피간 근본적 선택성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새로운 N-{5-[(Pyrazolylmethyl)oxy]phenyl}imide 유도체들의 합성 및 제초활성 (Synthesis and Herbicidal Activity of New N-{5-[(Pyrazolylmethyl)oxy]phenyl}imides)

  • 김경만;송종환;전동주;김형래;최정섭;오도연;유응걸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2-75
    • /
    • 2000
  • 제초제 후부물질로서 3,4-Dimethyl-N-[4-chloro-2-fluoro-5-{(pyrazolylmethyl)oxy}phenyl]maleimide 유도체들과 또는 3,4,5,6-tetrahydro-N-[4-chloro-2-fluoro-5-{(pylazolylmethyl)oxy}phenyl]phthalimide 유도체들을 합성하여 제초활성을 온실조건에서 평가하였다. 이들 중 N-methyl-5-pyrazolylm-ethyloxy를 갖는 화합물들이 처리량 60 g/ha이하에서 이앙벼에 안전하면서 논피에 강한 제초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Bioassay on Natural Herbicidal Potential in Common Thistle (Cirsium pendulum Fisch.)

  • Chon, Sang-U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01-106
    • /
    • 2006
  • Common thistle contains water-soluble substances that are phytotoxic to neighboring plant species. A series of aqueous extracts from leaves, stems, roots and flowers of common thistle (Cirsium pendulum Fisch.) were assayed against alfalfa (Medicago sativa) seedlings to determine their allelopathy, and the results showed highest inhibition in the extracts from flowers and leaves, and followed by stems, and roots. The extracts at 40 g dry tissue $L^{-1}(g\;L^{-1})$ applied on filter paper in a Petri-dish significantly inhibited root growth of test plant by 87%. Methanol extracts at 100 g $L^{-1}$ from leaves inhibited root growth of alfalfa and barnyardgrass (Echinochloa crus-galli) by 89 and 98%, respectively. Hexane and ethylacetate fractions of common thistle reduced alfalfa root growth more than did butanol and water fractions. Incorporation into soil with the leaf residues at $100g\;kg^{-1}$ inhibited shoot fresh weights of barnyardgrass and eclipta (Eclipta prostrate) by 88 and 58%, respectively, showing higher sensitivity in grass spec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mon thistle plants had allelopathic potential for eco-friendly vegetation management, and that especially their activities were differently exhibited depending on plant part.

N-{2,4-Dichloro-5-(3-pyrazolyl)phenyl}imides 유도체의 합성 및 제초활성 (Synthesis and Herbicidal Activity of N-{2,4-dichloro-5-(3-pyrazolyl)Phenyl} imides)

  • 김경만;이병회;유응걸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5-18
    • /
    • 2000
  • 제초제 후보물질로서 N-{2,4-dichloro-5-(N-methylpyrazol-3-yl)phenyl}imides 7과 N-{2,4-dichloro-5-(N-methy-lpyrazol-5-yl))Phenyl}imides 8의 유도체들을 합성하여 제초활성을 온실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처리량 1 kg/ha에서 pyrazole moiety에 carboxylate나 carboxamide 치환기가 있는 화합물들 (7c-7l) 제초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pyrazole moiety에 trifluoromethyl기가 있는 화합물들은 처리량 63-250 g/ha에서 논피, 물달개비, 너도방동산이등의 잡초들에 대해 제초활성을 보였고 벼에 대해서는 안전한 결과를 보였다.

  • PDF

In vitro Metabolism of Pyribenzoxim

  • Kim, Ki Young;Kim, Jin;Liu, Kwang Hyeon;Lee, Hye-Suk;Kim, Jeong-Ha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1호
    • /
    • pp.49-53
    • /
    • 2000
  • The in vitro metabolism of a new herbicide pyribenzoxim, {benzophenone O-[2,6-bis[(4,6-dimethoxy-2-pyrimidinyl)oxy]benzoyl]oxime} was studied using rice, barnyardgrass and rat liver microsomes. No metabolism of pyribenzoxim was observed with rice and barnyardgrass microsomes though the cvtochrome P450 was active, which was evidenced by the metabolism of cinnamic acid. With rat liver microsomes, four metabolites (M1, M2, M3, and M4) were produced while parent compound decreased. M1 and M2 were from the hydrolysis reactions and NADPH-dependent metabolites were M3 and M4 (major metabolite) which were hydroxylated by cytochrome P450. They were identified as bispyribac-sodium (M1), benzophenone oxime (M2), {benzophenone O-[2,6-bis[(5-hydroxy-4,6-dimethoxy-2-pyrimidinyl)oxy]-benzoyl]oxime}(M3), and {benzophenone O-[2[(5-hydroxy-4,6-dimethoxy-2l-pyrimidinyl)6-(4,.6dimethoxy-2-pyrimidinyl)oxy]benzoyl]oxime} (M4) through LC/MS/MS analyse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metabolic map of pyribenzoxim is proposed.

  • PDF

한국산(韓國産) 피[Echinochloa crus-galli (L.) Beauv.] 수집종(蒐集種)의 잡초생태학적(雜草生態學的) 분류(分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第)II보(報) 다변량(多變量) 해석법(解析法)에 의한 수집종(蒐集種) 피의 분류(分類) (Weed-Ec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Collected Barnyardgrass [Echinochloa crus-galli(L.) Beauv.] in Korea - II. Classification of collected barnyardgrass in growth pattern by multivariate clustering)

  • 임일빈;구자옥;이영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5
    • /
    • 1989
  • 1986년(年)에 전국적(全國的)으로 수집(蒐集)한 피 [E. crus-galli(L.) Beauv.]를 '87년(年)에 2회(回)에 걸쳐 증식(增殖) 및 선발(選拔)하였으며, 선정(選定)된 강피 6종(種)과 피 17종(種)을 '88년(年)에 공시(供試)하였다. 시험(試驗)은 PE film house 내(內)의 1/5000a의 Wagner pot에 의하여 수행(遂行)되었으며, 피 수집종(蒐集種짧)에 대한 잡초(雜草)로서의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을 파악(把握)할 목적(目的)으로 이루어졌다. (1) 초형관련형질(草型關聯形質) 가운데서도 초장(草長), 최고분얼수(最高分蘖數), 입형(立型), 간장(稈長) 및 수형(穗型)의 차이(差異)에 의하여 5개군(個群)으로의 분류(分類)가 가능(可能)하였다. (2) 종(種) 식별형질(識別形質) 가운데서는 색깔 유무(有無), 제(第) 1 포영형태(苞潁形態), 입상(立狀) 등에 의하여 3 집단군(集團群)과 2 단독군(單獨群)의 분류(分類)가 되었다. (3) 신장관련형질(伸長關聯形質) 가운데서는 초장(草長), 간장(稈長), 수장(穗長), 엽장(葉長), 엽폭(葉幅), 절간장(節間長) 및 소수장(小穗長)의 차이(差異)에 의하여 4 개(個) 집단군(集團群)으로 종(種) 특이성(特異性)을 구분(區分)할 수 있었다. (4) 생장량형질(生長量形質) 가운데서는 초장(草長), 간장(稈長), 수장(穗長), 절간장(節間長), 엽초장, 분얼수(分蘖數), 수수(穗數), 소수장(小穗長), 제(第) 1 포영장(苞潁長), 과장(果長) 및 과중(果重)의 차이(差異)에 의하여 4개(個) 집단군(集團群)과 1개(個) 단독군(單獨群)으로의 분류(分類)가 되었다. (5) 생장속도관련형질(生長速度關聯形質) 중(中)에서는 일당(日當)의 초장신장속도(草長伸長速度)(유묘(幼苗) 및 성묘(成苗)), 건물중증가속도(乾物重增加速度), 분얼수증가속도(分蘖數增加速度) 및 초장대건중비(草長對乾重比)의 차이(差異)에 의하여 4개(個) 집단군(集團群)과 1개(個) 단독군(單獨群)으로 분류(分類)될 수 있었다. (6) 유묘생장관련형질(幼苗生長關聯形質) 가운데서는 치묘(稚苗)의 제(第) 1 엽장폭(葉長幅), 초장(草長), 분얼수(分蘖數), 건물중(乾物重)과 중묘(中苗)힘의 초장(草長) 및 분얼수(分蘖數)에 의하여 4개(個)의 특이유형집단분류(特異類型集團分類)가 가능(可能)하였다. (7) 파종기(播種期) 차이(差異)에 따라 출수기(出穗期)가 달라지므로써 어느 경우에나 빠른 감온성군(感溫性群)과 늦고 일정(一定)한 감광성군(感光性群) 및 중간현군(中間型群)의 구별(區別)이 가능(可能)하였다. (8) 양적(量的) 및 질적형질(質的形質)의 종합분석결과(綜合分析結果), 종적생장(縱的生長)이나 횡적생장습성(橫的生長習性), 체색유뮤(體色有無) 및 잎형(立型)에 의하여 4개(個)의 집단군(集團群)과 2개(個)의 단독군(單獨群)으로 분류(分類)가 되었다.

  • PDF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벼와 피의 생장(生長) 및 해부형태학적(解剖形態學的) 차이(差異) - IV.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제초제(除草劑) Butachlor에 대(對)한 벼와 피간(間)의 해부형태학적(解剖形態學的) 반응(反應) 차이(差異)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wth of Rice and Barnyardgrass under Various Cropping Patterns - IV. Difference in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Response to Butachlor)

  • 천상욱;구자옥;김용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9-211
    • /
    • 1994
  • 다양(多樣)한 재배양식(栽培樣式), 건답직파(乾畓直播), 담수직파(湛水直播) 및 이앙재배조건하(移秧栽培條件下)에서 제초제(除草劑) butachlor에 대한 벼와 피의 해부형태학적(解剖形態學的) 반응차이(反應差異)가 검토되었다. 파종(播種) 및 이앙(移秧)후 5일(日)째에 butachlor를 추천량(推薦量)의 배양(倍量)인 3,600g ai/ha를 토양처리(土壤處理)한 후(後) 10일 및 20일째에 외부형태(外部形態) 및 해부학적(解剖學的) 반응(反應)을 조사(調査)하였다. 1. 초장(草長)과 근장(根長)은 건답(乾畓)보다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 토중(土中)벼보다는 표면(表面)벼에서 억제정도(抑制程度)가 컸고 이앙(移秧)벼는 피해정도가 경미하였다. 2. 지상부생체중(地上部生體重)은 건답(乾畓)벼에서 무처리(無處理)에 대비(對比)하여 15% 미만, 피는 53% 억제되었으며 담수(湛水)벼는 70% 이상, 피는 94%로 크게 억제되었다. 지상부생체중(地下部生體重)은 담수상태(湛水狀態)에서만 벼와 피 모두 91% 이상 높은 억제율(抑制率)을 보였다. 3. 잎 형태변화(形態變化)도 건답(乾畓)에서의 피가 엽생장(葉生長)은 엽령(葉齡) 및 제(第) 1 엽(葉) 신장에서 경미(輕微)하게, 엽초장과 제(第) 2 엽(葉) 신장은 무처리(無處理)에 대비(對比)하여 30-50% 억제되었으나, 벼의 제(第) 2 엽(葉) 신장과 엽령(葉齡)은 6~42%와 6~29% 억제(抑制)되었다. 담수상태(湛水狀態)에서의 피는 100% 억제(抑制)되었고, 벼는 침엽기(針葉期)에 생육이 지연되었고, 이앙(移秧)벼는 제 1 엽초장만 23% 억제되었다. 4. 중경장(中莖長)은 담수(湛水)피가 무처리(無處理)에 대비(對比)하여 33%, 건답(乾畓)피는 57%까지 억제되었다. 5. 줄기횡단명(橫斷面)의 해부특징(解剖特徵)은 건답(乾畓)의 경우 피에서만 최외곽(最外廓)엽초의 두께 감소와 부분적 조직파괴(組織破壞)가 있었고, 담수(湛水)에서는 표면(表面)벼의 엽시원체(葉始原體) 두께 감소(減少)와 위축현상(萎縮現狀)이 있었고 토중(土中)벼는 세포(細胞)의 위축현상(萎縮現狀)이 나타났다. 담수(湛水)피는 엽시원체(葉始原體) 생장(生長)이 정지(停止)된 간엽(簡葉)을 형성하였다. 6. 줄기종단면(縱斷面)의 해부특징(解剖特徵)은 건답(乾畓)에서의 피와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의 표면(表面)벼 및 피가 분제조직(分製組織)의 신장억제(伸長抑制)가 있었고 특히 담수(湛水)피에서 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