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tea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1초

대구지역 대형 식품접객업소 조리기기 및 환경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 of Cooking Utensils and Environment of Large Foodservice Establishments in Daegu city)

  • 남은정;강영재;이연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34-240
    • /
    • 2006
  • 대구지역 대형식품접객업소 한식, 양식, 일식, 중식 각 3곳씩 12개 업소를 대상으로 조리기기 및 용기(칼, 도마, 행주, 집게, 바구니 등),조리종사자 손 및 조리 작업환경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를 분석하였다. 일부 한식당 조리수와 음용수의 일반세균 및 대장군균수가 $10^5\;CFU/mL,\;10^2{\sim}10^3\;CFU/mL$범위로 검출되어 기준치에 부적합하였다. 특히 끓여서 식힌 보리차를 제공할 경우 음용수에 대한 미생물적 수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양식당과 일식당의 음용수도 기준치에 부적합하였다. 모든 유형의 업소에서 대부분의 조리기구의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수가 기준치인 $2.5{\times}10^3\;CFU/100cm^2,\;1.0{\times}10^1\;CFU/100cm^2$를 초과하여 위생상태가 매우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중식당의 칼, 도마에서 E. coli가 $10^1{\sim}10^2\;CFU/100cm^2$ 검출되어 이에 대한 시정조치가 필요하였다. 대부분 업소에서 맨손으로 작업하였으며 조리종사자의 손의 일반세균 수 범위는 $10^2{\sim}10^7/hand$, 대장균군의 범위는 $0{\sim}10^6/hand$로 그 수치가 높아 손에 의한 음식물의 오염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부 한식당 조리종사자 손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1.3{\times}10^3/hand$로 검출되어 조리종사자의 손의 위생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작업대와 주방에서의 일반세균 및 진균의 공중낙하균이 최고 52 CFU/plate/10 min, 19 CFU/plate/10 min로 검출되어 작업환경 오염도가 높았으며 일부 업소에서는 냉장고 내의 공중부유물 오염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식품접객업소의 작업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이 요구되었다.

식후 정상 한국인의 혈장 gastrin 농도 (Plasma Gastrin Concentration after a Carbohydrate Meal and a Protein Meal in Normal Human Subjects)

  • 김명석;박형진;조양혁;권경옥;이윤렬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5권2호
    • /
    • pp.83-89
    • /
    • 1981
  • 한국 정상 성인에서 탄수화물 음식물(쌀밥)과 단백질 음식물(햄버거)의 섭취가 혈장 gastrin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평균 연령이 28세($20{\sim}40$세)되는 정상 성인 남녀 8명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15시간 이상 절식한 이들에게 쌀밥(250 g) 및 햄버거(200 g)의 섭취전 30분, 섭취직전, 섭취후 15, 30, 45, 60, 90 및 120분에 각각 말초 정맥에서 채혈한 다음 방사면역 측정방법(radioimmunoassay)으로 혈장 gastrin 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쌀밥 및 햄버거의 섭취로 인하여 혈장 gastrin 농도가 공복시의 값에 비하여 각각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2) 햄버거의 섭취로 인한 혈장 gastrin 농도의 상승은 쌀밥에 의한 상승값에 비하여 유의하게 더 많았다. 3) 햄버거의 섭취후 gastrin 분비가 많았던 개인은 쌀밥의 섭취후에도 그 분비가 많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단백질 음식물의 섭취가 gastrin 분비에 촉진적 영향을 미침과 아울러 탄수화물 음식물의 섭취도 gastrin 분비에 촉진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